목차
추천사 = 3
책 머리에 = 5
제1부 고대교회사
제1장 초대교회의 기본 특성들
1. 머리말 = 19
2. 로마 제국의 시대적 상황 = 21
1) 정치적 상황 = 21
2) 사회적 상황 = 22
3) 종교적 상황 = 23
3. 그리스도 시대의 유다 민족 = 25
1) 정치적 상황 = 25
2) 사회와 종교적 상황 = 26
유다 사회의 중심기관 = 27
예수 시대의 유다인 지도계층 구분 = 27
4. 교회의 창립과 사도시대의 교회 = 28
1) 나자렛 예수와 그리스도교회의 창립 = 28
예수의 역사성(성서 외적 근거) = 28
교회의 창설자 예수 그리스도 = 30
2) 예루살렘 원시교회 = 31
3) 이방계 그리스도교 = 35
안티오키아 교회 = 35
로마 교회 = 36
5. 최초의 충돌 : 유다이즘의 독자성과 보편주의 = 38
6. 두 번째 충돌 : 영성주의적 요소들과 교계제도의 법적 요소의 충돌 = 42
7. 세 번째 충돌(모순) : 교회는 선택된 소집단의 모임인가, 아니면 모든 백성, 즉 의인과 죄인들의 모임인가? 방임주의에 빠지지 않으면서도 어떻게 엄격주의를 피할 수 있는가 = 47
8. 네 번째 충돌 : 초기교회의 일치성과 여러 이단들 = 50
1) 이성주의의 교회침투 : 영지주의(Gnosticismus) = 52
2) 이단들 = 54
3) 이교들 = 59
9. 다섯 번째 충돌 : 종말론과 육화론 사이의 대립, 그리고 계약파기론과 계약준수론과의 대립 = 60
10. 3세기의 그리스도교의 확장 = 63
1) 제국의 동부지역 = 63
2) 제국의 서부지역 = 67
11. 교회학문의 발전 = 70
1) 사도교부(使徒敎父) = 70
2) 호교교부 = 75
3) 3세기의 교부들 = 81
그리스계 교부들 = 81
라틴계 교부들 = 84
제2장 박해들
1. 박해의 원인들 = 97
2. 박해들에 대한 기본사료들 = 101
3. 카타꼼바들 = 104
4. 순교자들의 숫자 = 107
5. 박해들의 두 국면 = 108
1) 박해의 첫 국면 = 113
2) 박해의 둘째 국면(셉티모 세베로 황제부터 디오클레시아노 황제까지) = 116
제3장 콘스탄티누스적 전환점과 교회사적 의의
1. 당대의 역사가들과 오늘날 역사가들의 비판적 견해 = 127
2. 콘스탄티누스 최초의 그리스도인 황제 = 131
3. 콘스탄니누스적 전환의 역기능들 = 136
4. 역사적 평가의 시도 = 140
5. 이방인들의 반응 = 142
6. 4세기에 발생한 최초의 교리논쟁 : 아리우스 = 144
제4장 6-7세기의 삼위일체론과 그리스도론 논쟁
1. 니체아 공의회 후의 아리우스주의 = 153
2. 라오디체아의 아폴로나리우스주의와 에페소 공의회 = 161
3. 에우티케스주의와 칼체돈 공의회 = 167
4. 화해를 위한 시도들과 마지막 그리스도론 논쟁 = 174
제5장 은총에 관한 논쟁 : 펠라지우스주의와 유사 펠라지우스주의
1. 논쟁의 기원, 주요인물들, 펠라지우스주의의 중심내용 = 181
2. 아우구스티노 논쟁과 그의 최후 승리 = 186
3. 그 후의 논쟁들 : 엄률 아우구스티노주의, 유사 펠라지우스주의, 온건 아우구스티노주의 = 192
제6장 고대의 교회생활
1. 성사생활, 윤리생활 = 201
1) 성사생활 = 201
2) 윤리생활 = 205
2. 성인공경과 유해공경, 성화상 공경과 순례 = 210
3. 동·서방에서 수도원의 기원과 발전 = 214
1) 동방에서 수도원의 기원과 발전 = 215
2) 서방에서 수도원의 기원과 발전 = 218
제2부 중세교회사
도입부
1. '중세'라는 표현의 유래와 의미 = 229
2. 중세사 시기구분의 필요성과 시대배경 = 230
1) 시대구분의 필요성 = 230
2) 중세사의 시대배경 = 230
3) 중세의 시기구분 = 231
3. 중세기 교회역사의 본질적인 국면들 = 232
1) 교황들의 세속권에 대한 기원 = 233
2) 신성 로마 제국 = 236
3) 교황좌의 쇠퇴시대 = 239
4) 교황좌와 제국간의 투쟁(11세기부터 13세기까지) = 241
5) 중세의 신정정치를 위한 주장들에 대한 언급들 = 245
6) 이단심문(Inquisitio) = 249
제1장 중세 초기(500-700년)
1. 유럽 형성의 개척자로서의 교회 = 255
2. 교회와 게르만 민족간의 최초의 만남 = 256
3.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교회와 대륙 포교 = 257
1) 아일랜드의 그리스도교화 = 257
2) 아일랜드인의 대륙 포교, 골룸바노 = 259
4. 브리타니아의 그리스도교 및 앵글로색슨인들의 대륙 포교 = 260
1) 영국 포교 = 260
2) 앵글로 색슨인의 대륙 포교 = 264
제2장 중세 2기(700-1050년)
1. 빈프리트 보니파시오와 그리스도교적 유럽의 기반 = 273
2. 교황직과 프랑크 왕국과의 동맹 = 275
1) 시대적 배경 = 275
2) 프랑크 왕국의 새 과제 = 277
3. 카알 대제와 유럽 제권의 기반 = 278
1) 카알 대제의 생애와 활동 = 278
역사적 배경 = 278
카알 대제의 대관식 = 279
2) 카알의 제국이념 = 281
4. 성화상 논쟁 = 282
1) 성화상의 개념 = 282
2) 구약성서에서의 상(像) = 283
3) 초대교회에서의 상 = 284
4) 성화상에 대한 신학적 바탕 = 285
5) 성화상에 대한 논쟁 = 286
성화상 파괴논쟁 제1기 = 286
성화상 숭배의 회복과 니체아 공의회 = 290
니체아 공의회와 카알 대제 = 292
성화상 파괴논쟁 제2기 = 293
제3장 제3기(1050-1300년) 중세 중기 교회의 전성기
1. 클뤼니와 수도회 개혁운동 = 297
1) 수도생활의 위기 = 297
2) 수도생활 개혁의 구체적인 시도 = 298
3) 클뤼니(Cluny) 개혁 = 299
창설(910) = 299
클뤼니 수도원 창설자 베르노의 개혁(910-926년) = 300
클뤼니 수도원 쇄신의 주역 오도(926-942년) = 301
클뤼니 관례 = 302
4) 클뤼니 수도생활 쇄신운동의 결과 = 304
2. 동·서 교회의 분열 = 304
3. 그레고리오 7세 교황의 개혁과 임직권 논쟁 = 307
1) 개관 = 307
일반적 시대상황 = 307
수트리 교회회의 = 307
스테파노 9세 교황(1057-1058) = 309
니콜라오 2세 교황(1058-1061) = 310
알렉산델 2세 교황(1061-1073)의 개혁 = 312
2) 그레고리오 7세 교황 = 314
인물 = 314
그레고리오 7세 교황의 개혁준비 = 315
임직원 논쟁(그레고리오 7세 교황과 하인리히 4세) = 320
4. 중세 3기의 교회개혁 = 325
1) 새로운 수도생활의 출현 = 325
2) 재속 성직자의 개혁 = 328
3) 기사수도회들 = 329
5. 대탁발수도회들 = 333
1) 일반적인 탁발수도회들과 본당신부들과의 관계 = 333
2) 아씨시의 성 프란치스코와 그의 수도회 = 336
3) 도미니코회와 다른 탁발수도회들 = 339
도미니코회 = 339
가르멜 탁발수도회(Ordo Fratrum B. Mariae Virginis de Monte Carmelo) = 341
성 아우구스티노 은수회 = 342
6. 청빈운동과 이단심문의 형성 = 343
1) 개관 = 343
용어와 기원 = 343
13세기의 시대적 상황 = 344
호노리오 3세 교황의 치하(1216-1227년) = 347
그레고리오 9세(1227-1241년) 교황과 종교재판 = 349
7. 십자군 운동 = 351
1) 시대적 배경(11-14세기) = 351
2) 십자군운동의 원인 = 353
3) 십자군운동의 과정 = 356
제1차 십자군 원정 = 356
제2, 3차 십자군 원정(1147-1149년) = 357
제4차 십자군운동(1202-1204년) = 358
제5차 십자군 원정(1228-1229년) = 359
제6차 십자군운동(1248-1270년) = 359
십자군운동의 결과 = 360
제4장 교회생활과 교황권 쇠퇴기(1300-1517년)
1. 아비뇽 유폐(1309-1378년) = 365
2. 유럽 대이교(Grande scisma) = 368
3. 콘스탄츠 공의회 = 370
4. 중세시대 교회의 개혁 = 373
1) 교회개혁의 주요 대상들 = 374
2) 수도생활의 개혁 = 374
새로운 공동체들 = 374
엄률수도회 = 375
3) 근대신심(Devotio Moderna) = 383
용어의 기원 = 383
초기(피아밍가 지역) 근대신심 = 383
또 다른 형태의 근대신심들 = 384
근대신심의 중요특징 = 385
4) 교구성직자들의 개혁 = 386
주교들의 개혁 = 386
하급성직자들 = 388
성사적 사목생활 = 393
신심생활 = 397
5) 이단재판(Inquisizione)과 가톨릭 왕들의 개혁 = 399
검은 전설(Leggenda Nera) = 399
15세기 스페인 사회의 전환 = 400
이단재판 = 402
가톨릭 왕들의 개혁 = 404
6) 중세문화의 개혁 = 406
전통의 지속과 새로움 = 406
문예부흥 = 410
개혁과 자선생활 = 429
7) 위클리프와 후스 = 436
요한 위클리프(John Wyclif ; 1330-1384년) = 436
요한 후스(Jan Hus ; 1370-1415년) = 439
부록
고·중세 교회사의 연대기적 사건들 = 447
인명 찾아보기 = 463
지명 및 용어 찾아보기 = 482
역대 교황 일람표 = 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