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59c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45122228 | |
005 | 20100806034849 | |
007 | ta | |
008 | 040716s2004 icka b 001c kor | |
020 | ▼a 8989443032 ▼g 03340: ▼c \18,000 | |
035 | ▼a KRIC09408586 | |
040 | ▼a 211059 ▼d 211009 ▼d 244002 | |
082 | 0 4 | ▼a 951.902. ▼2 21 |
085 | ▼a 953.059 ▼2 DDCK | |
090 | ▼a 953.059 ▼b 2004f | |
100 | 1 | ▼a 김용구 ▼g 金容九 , ▼d 1937- ▼0 AUTH(211009)86922 |
245 | 1 0 | ▼a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 ▼b 사대질서의 변형과 한국 외교사 / ▼d 김용구. |
260 | ▼a 인천 : ▼b 원 , ▼c 2004. | |
300 | ▼a xiv, 347 : ▼b 삽도 ; ▼c 24 cm. | |
500 | ▼a 부록: 1, 『갑신일록』기사로 본 1884년 12월 4일 저녁의 정변 상황. - 2, 1880~1885년 주요일지. | |
504 | ▼a 참고문헌(p. 315-330)및 색인수록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953.059 2004f | Accession No. 111295388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2-07-04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953.059 2004f | Accession No. 11129538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953.059 2004f | Accession No. 15128672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953.059 2004f | Accession No. 111295388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2-07-04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953.059 2004f | Accession No. 11129538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953.059 2004f | Accession No. 15128672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용구(지은이)
1937년 인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와 같은 대학원을 나왔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교수를 거쳐 같은 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2002년 정년퇴임했다.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한국국제정치학회장,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장을 역임했고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학민국학술원 회원이다. 저서로는 『소련국제법이론연구』(1979), 『세계관 충돌과 국제정치학』(1997), 『장 자크 루소와 국제정치학』(2001), 『세계관 충돌과 한국외교사, 1866~1882』(2001), The Five Years Crisis: Korea in the Maelstrom of Western Imperialism(2001), 『외교사란 무엇인가』(2002), 『임오군란과 갑신정변-사대질서의 변형과 한국 외교사』(2004), Korea and Japan: The Clash of Worldviews, 1868~1876(2006), 『세계외교사』(1988, 2006), 『만국공법』(2008), 『거문도와 블라디보스토크-19세기 한반도의 파행적 세계화 과정』(2009), 『근대한국외교문서』 1~5(공편, 2009~2012), 『약탈제국주의와 한반도』(2013), 『러시아의 만주·한반도 정책사, 17~19세기』(2018)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ⅲ 범례 = xiii 약어표 = xiv 제1장 임오군란 제1절 임오군란을 어떻게 볼 것인가 = 5 사건의 개요와 의의 일본 공사관의 철수 이리 분쟁 중국의 새로운 조선 정책 사대질서 변형과 조선 조정(1) - 고종의 훈령(1882년 4월 4일)과 어윤중 사대질서 변형과 조선 조정(2) - 고종의 자문과 별록 사대질서 변형과 조선 조정(3) - 어윤중과 저우푸 회담(1882년 5월 19일) '속방'과 '속국' 사이의 고민 - 유길준의 양절체제론 제2절 임오군란과 일본 = 31 1881년 정변과 사쓰마-죠슈의 합작 정부 일본의 초기 대응 시모노 세키 회담(1882년 8월 7∼9일) - 이노우에와 하나부사 일본 정부의 후퇴 제3절 한일교섭(1) = 41 예비 교섭 하나부사의 인천 체류(1882년 8월 12∼16일) 서울 회담(1)(1882년 8월 20일) - 고종과 하나부사 서울 회담(2)(1882년 8월 20일) - 대원군과 하나부사 일본 정부의 추가 훈령 홍순목과 하나부사 제4절 한일교섭(2) = 55 인천 회담(1)(1882년 8월 28일) - 이유원, 김홍집, 그리고 하나부사 인천 회담(2)(1882년 8월 29일) 제물포 조약(1882년 8월 30일) 한일수호조규 속약(1882년 8월 30일) 제5절 조선과 임오군란 - 서양 공법 질서의 수용 = 65 고종의 교지(1882년 9월 16일) 서양 공법 이론과 전파 - 지석영과 변옥 『한성순보』 제6절 일본의 새로운 조선 정책 = 76 일본의 정책 구상(1) - 이와쿠라, 야마가타, 다케조에, 그리고 이노우에 고와시 일본의 정책 구상(2) - 에노모토 다케아키 제7절 임오군란과 중국 = 85 중국의 초기 대응(1) - 장수성, 리수창, 그리고 요시다 중국의 초기 대응(2) - 김윤식 - 저우푸 회담과 중국 군대의 조선 파병 대원군 압송(1) - 쉐푸청과 장수성 대원군 압송(2) - 실행 과정 강경론의 대두(1) - 허루청과 리수창 강경론의 대두(2) - 덩청슈와 장페이룬 제8절 중국의 새로운 조선 정책 = 101 한중상민수륙무역장정(1882년 10월 1일)의 의의 장정과 임오군란 장정의 내용 - 조선의 인사 파견 요청 중국의 차관 중국 군대의 주둔 제9절 임오군란과 구미 열강(1) - 영국, 러시아, 독일 = 113 영국 러시아 브란트 제10절 임오군란과 구미 열강(2) - 미국 = 122 영 공사 빙엄 공사 미국의 한반도 경시 정책(1) - 슈펠트 미국의 한반도 경시 정책(2) - 푸트 공사 미국의 한반도 경시 정책(3) - 고종, 미국 정부, 그리고 푸트 공사 제2장 갑신정변 제1절 갑신정변을 어떻게 볼 것인가 = 141 사건 개요와 의의 월남 문제 갑신정변 서술의 문제점 - 갑신정변 전사(前史) 『갑신일록』의 판본들 갑신정변 연구의 도화선 제2절 중국-프랑스 전쟁과 일본 = 159 프랑스와 일본의 접근 트리쿠와 에노모토 갑신정변과 『자유당사』기록 야마베 겐타로와 펑더저우 시앙키에비츠 공사의 보고(1884년 9월 15일) 시앙키에비츠, 고토, 이타가키의 회견(1884년 9월 9일) 페리 수상의 전보(1884년 11월 7일) 『자유당사』기록의 몇 가지 문제 제3절 일본의 새로운 조선 정책 = 175 다케조에 신이치로 다케조에의 서울 귀임 다케조에의 비밀 보고(1884년 11월 12일) 개화파와 일본 공사관의 최종 합의 제4절 조선 조정과 갑신정변 사후 처리 = 189 김홍집의 조회(1884년 12월 6일) 인천 회담(1884년 12월 9일∼1885년 1월 1일) - 조병호와 다케조에 특사 파견 문제 제5절 갑신정변과 일본 = 195 요시다, 에노모토, 하라 리훙장과 하라 총서와 에노모토 구리노, 이노우에 고와시 이노우에 외무경의 「사명사실시말서」 제6절 한일교섭 = 206 제1차 서울 회담(1885년 1월 7일) 제2차 서울 회담(1885년 1월 8일) 우다청의 회의장 난입 한성조약(1885년 1월 9일)의 내용 제7절 갑신정변과 중국 = 216 중국 정부의 대응 강경론 리수창과 수청자오 우다청 우다청의 전권 문제 제8절 갑신정병과 구미 열강(1) - 프랑스와 미국 = 228 프랑스 미국(1) - 푸트 미국(2) - 포크 미국(3) - 영 제9절 갑신정변과 구미 열강(2) - 영국과 러시아 = 240 영국 러시아(2) - 묄렌도르프, 쉬네우르, 그리고 크로운 러시아(2) - 기르스 외상의 현상유지 정책 러시아(3) - 쉬페이에르의 조선 파견 러시아(4) - 러시아 정부의 태도 러시아(5) - 권동수와 김용원 러시아(6) - 코르프, 묄렌도르프, 다비도프 제10절 톈진 회담(1) = 253 중국 군대의 조선 주둔 문제 이노우에의 훈령(1885년 2월 9일) 리홍장과 이토 히로부미 베이징 회담 제11절 톈진 회담(2) = 265 제1차 회담(1885년 4월 3일) 제2차 회담(1885년 4월 5일) 제3차 회담(1885년 4월 7일) 제4차 회담(1885년 4월 10일) 제5차 회담(1885년 4월 12일) 제6차 회담(1885년 4월 15일) 톈진 조약(1885년 4월 18일) 결론에 대신하여 = 281 부록 = 289 1.『갑신일록』 기사로 본 1884년 12월 4일 저녁의 정변 상황 2. 1880∼1885년 주요일지 참고문헌 = 315 찾아보기 =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