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교육 연구
1. 교육 연구의 의미 = 17
1.1. 연구의 의미 = 17
1.1.1. 연구의 정의 = 17
1.1.2. 문제 해결 = 17
1.1.3. 과학적 방법 = 19
1.1.4. 교육 연구 = 19
1.2.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 19
1.3. 조사연구와 실험연구 = 21
2. 논문의 체제 = 23
2.1. 논문의 요건 = 23
2.1.1. 정확성(正確性 ; accuracy) = 23
2.1.2. 객관성(客觀性 ; objectivity) = 24
2.1.3. 불편성(不偏性 ; impartiality) = 24
2.1.4. 검증성(檢證性 ; verification) = 24
2.1.5. 평이성(平易性 ; readability) = 24
2.2. 논문의 구성과 순서 = 24
2.3. 논문 체제의 실례 = 26
3. 논문작성의 준비 = 36
3.1. 논문작성 및 제출요령 숙지 = 36
3.2. 연구 자료의 준비 = 37
3.3. 연구논문의 제목 = 37
3.4. 학위논문작성계획서의 제출 = 39
4. 연구계획서 = 41
4.1. 연구계획서의 작성 = 41
4.2. 연구계획서의 내용과 체계 = 42
4.3. 연구계획서 작성 실례 = 44
제2부 논문작성의 유의점
1. 논문편집 = 57
1.1. 용지의 규격과 글자 크기 = 57
1.2. 번호부여 방법 = 58
1.2.1. 제목 번호 = 58
1.2.2. 페이지 번호 = 60
1.3. 목차 표기 = 60
1.3.1. 목차의 번호부여 = 60
1.3.2. 표 목차와 그림 목차 = 61
1.4. 시제 표기 방법 = 62
1.4.1. 과거형을 사용하는 경우 = 62
1.4.2. 현재형을 사용하는 경우 = 63
1.4.3. 미래형을 사용하는 경우 = 64
1.5. 인칭, 숫자표기 방법 = 65
1.5.1. 인칭 사용 = 65
1.5.2. 숫자의 사용 = 65
1.5.3. 통계와 관련한 표기 = 68
2. 문장과 인용 = 69
2.1. 문장의 사용 = 69
2.1.1. 문어체의 사용 = 69
2.1.2. 문장의 나열 = 69
2.2. 문장의 인용 = 71
2.2.1. 문장의 직접 인용 = 71
2.2.2. 문구의 생략 부호 = 72
2.2.3. 시의 인용 = 72
2.2.4. 인용부분에서 임의의 자구 삽입과 강조 = 73
3. 참고문헌과 각주의 작성 = 75
3.1. 본문내에서의 문헌의 인명 인용 = 75
3.2. 참고문헌 및 각주 = 76
3.2.1. 각주와 참고문헌의 차이점 = 76
3.2.2. 각주의 작성 = 77
3.2.3. 참고문헌의 작성 = 79
4. 논문초록 및 부록 = 83
4.1. 논문 초록의 작성 = 83
4.2. 부록의 작성 = 84
제3부 논문의 작성
1. 서론 = 87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88
1.2. 연구의 목적 = 90
1.2.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의 작성 실례 = 91
1.2.2.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의 목적 분리작성 실례 = 93
1.3. 연구문제 = 97
1.3.1. 연구문제의 작성 실례 = 100
1.3.2. 서론에서 연구문제의 진술 실례 = 103
1.4. 연구의 중요성 = 107
1.4.1. 연구의 중요성 작성 방법 = 107
1.4.2. 연구의 중요성 작성 실례 = 107
1.5. 용어의 정의 = 109
1.5.1. 용어의 정의 작성 방법 = 109
1.5.2. 용어의 정의 작성 실례 = 109
1.6. 연구의 제한점 = 110
1.6.1. 연구의 제한점 작성 방법 = 110
1.6.2. 연구의 제한점 작성 실례 = 111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고찰 = 112
2.1. 이론적 배경의 체제 = 112
2.1.1. 이론적 배경의 작성 방법 = 112
2.2. 선행연구의 고찰 = 113
2.2.1. 선행연구고찰의 작성 방법 = 113
2.2.2. 선행연구고찰의 작성 실례 = 114
2.3. 연구의 가설 = 115
2.3.1. 가설의 설정 = 115
2.3.2. 연구 가설의 서술 위치 = 116
2.3.3. 가설의 설정 방법 = 117
2.3.4. 연구 가설의 작성 실례 = 119
3. 연구방법 = 122
3.1. 연구대상 = 123
3.1.1. 연구대상의 작성 방법 = 123
3.1.2. 연구대상의 작성 실례 = 124
3.1.3. 등분산의 가정 = 128
3.2. 측정도구 = 129
3.2.1. 측정도구의 작성 방법 = 129
3.2.2. 측정도구의 작성 실례 = 129
3.3. 연구(실험)설계 = 135
3.3.1. 연구(실험)설계의 작성 방법 = 135
3.3.2. 실험설계의 작성 실례 = 135
3.4. 연구(실험)절차 = 136
3.4.1. 연구(실험)절차의 작성 방법 = 136
3.4.2. 연구(실험)절차의 작성 실례 = 137
3.5. 자료분석 = 143
3.5.1. 자료분석의 작성 방법 = 143
3.5.2. 자료분석의 작성 실례 = 143
4. 연구결과 = 145
4.1. 연구결과의 작성 방법 = 145
4.2. 연구결과의 작성 실례 = 146
4.2.1. 빈도 및 백분율 분석에 의한 작성 = 146
4.2.2. 평균, 표준편차, 분산분석 결과 = 147
5. 논의 = 151
5.1. 논의의 작성 방법 = 151
5.2. 논의의 작성 실례 = 152
6. 결론 및 제언 = 156
6.1. 결론 = 156
6.2. 제언 = 157
6.3. 결론과 제언의 작성 실례 = 157
제4부 조사표의 작성과 집계
1. 조사표의 작성 = 167
1.1. 설문의 작성 = 167
1.1.1. 설문의 문제점 지적 = 169
1.1.2. 회답의 형식 = 170
1.1.3. 리커드법(Likert's method) = 171
2. 표집방법 = 174
2.1. 모집단과 표본 = 174
2.2. 조사연구대상의 표본 크기 결정 = 175
2.3. 실험연구대상의 표본 크기 = 178
2.4. 표본의 추출 방법 = 179
2.4.1. 무작위추출(random sampling) = 179
2.4.2. 유의추출(purposive sampling) = 181
3. 조사표의 집계 = 182
3.1. 단수회답의 단순 집계 = 183
3.2. MS엑셀에서 데이터 입력 및 SPSS로 불러오기 = 184
3.2.1. MS엑셀에서 데이터 입력 = 184
3.2.2. MS엑셀의 데이터를 SPSS로 불러오기 = 185
3.3. SPSS에서 데이터 입력하기 = 190
3.3.1. 변수 정의(Define Variable) = 190
3.3.2. 척도의 유형 = 194
3.4. 복수회답의 단순 집계 = 196
3.5. 실험연구의 데이터 입력하기 = 198
제5부 논문통계분석
1. 변수의 기초 분석 = 203
1.1. 빈도분석 = 203
1.1.1. 범위(range : R) = 204
1.1.2. 급간(class interval) = 204
1.1.3. 정확한계(real limits)와 표현한계(apparent limits) = 204
1.1.4. 급간의 크기(class interval size : ) = 205
1.1.5. 빈도(frequency : ) = 205
1.1.6. 사례수(number of cases : ) = 205
1.1.7. 비율과 백분율(proportions and percentages) = 206
1.1.8. 단순빈도분포(simple frequency distribution) = 206
1.1.9. 묶음빈도분포(grouped frequency distribution) = 207
1.2. 빈도분석의 통계량 = 209
1.3. 통계량 출력옵션 = 210
1.3.1. 백분위수 값(Percentile Values) = 210
1.3.2. 산포도(Dispersion) = 210
1.3.3. 중심경향(Central Tendency) = 211
1.3.4. 분포(Distribution) = 211
1.3.5. 논문에서의 작성 실례 = 213
1.4. 빈도분석의 도표 = 214
1.4.1. 막대도표 = 214
1.4.2. 논문에서의 작성 실례 = 215
1.4.3. 히스토그램의 작성 = 216
1.5. 교차분석 = 218
1.5.1. 빈도(Counts) = 219
1.5.2. 퍼센트(Percentages) = 220
1.5.3. 잔차(Residuals) = 220
1.5.4. 논문에서의 작성 실례 = 221
1.6. 기술통계분석 = 222
1.6.1. 기술통계와 추리통계 = 222
1.7. 집중경향치 = 225
1.7.1. 평균(mean) = 225
1.7.2. 중앙치(median : Md) = 226
1.7.3. 최빈치(mode : Mo) = 227
1.8. 변산도 = 227
1.8.1. 범위(range : R) = 227
1.8.2. 평균편차(average deviation : AD) = 228
1.8.3.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 SD) = 230
1.8.4. Z 점수 = 232
1.8.5. T 점수 = 233
1.8.6. 사분편차(semi-interquartile range : Q) = 233
1.9. 탐색적 데이터 분석 = 233
1.10. 집단별 평균 분석 = 235
2. 평균에 관한 분석 = 237
2.1. 가설검정의 개요 = 237
2.1.1. 가설검정 = 237
2.1.2. 검정 통계량 = 238
2.1.3. 유의수준과 기각역 = 240
2.2. 단일표본 T검정 = 241
2.2.1. 단일표본 T검정의 이해 = 241
2.2.2. 논문에서의 작성 실례 = 242
2.3. 독립표본 T검정 = 244
2.3.1. 두 모평균 차에 관한 검정 = 245
2.3.2. 논문에서의 작성 실례 = 251
2.4. 대응표본 T검정 = 251
2.4.1. 대응 표본의 모평균 차에 관한 검정 = 252
2.4.2. 논문에서의 작성 실례 = 255
3. 단일변량분산분석 = 257
3.1. 분산분석의 의미와 절차 = 257
3.2.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 259
3.2.1. 일원분산분석의 실행 = 259
3.2.2. 논문에서의 작성 실례 = 262
3.3. 사후분석 = 263
3.3.1. 사후분석의 이해 = 263
3.3.2. 논문에서의 작성 실례 = 265
3.4.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 = 267
3.4.1. 이원분산분석의 이해 = 267
3.4.2. 논문에서의 작성 실례 = 277
3.5. 공변량분석 = 278
3.5.1. 통계적 분석 방법 = 278
3.5.2. 논문에서의 작성 실례 = 280
4. 카이제곱검정 = 282
4.1. χ²검증의 이해 = 282
4.2. 적합도 χ²검증의 영가설 = 283
4.3. 독립성 χ²검증의 영가설 = 284
4.3.1. SPSS에서의 분석 방법 = 285
4.3.2. 논문에서의 작성 실례 = 288
5. 상관분석 = 290
5.1. 상관관계 = 290
5.2. 상관계수 = 291
5.2.1. 상관계수의 분석 방법 = 291
5.2.2. 산점도의 이해 = 294
5.2.3. 논문에서의 작성 실례 = 298
참고문헌 = 299
찾아보기 = 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