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k 4500 | |
001 | 000045121215 | |
005 | 20170426085825 | |
007 | ta | |
008 | 041004s2004 ulka 001a kor | |
020 | ▼a 8901047160 ▼g 04910 | |
020 | 1 | ▼a 8901047152 (세트) |
040 | ▼a 244002 ▼c 244002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951.93 ▼2 23 |
085 | ▼a 953.9 ▼2 DDCK | |
090 | ▼a 953.9 ▼b 2004c | |
100 | 1 | ▼a 김성보 ▼0 AUTH(211009)111233 |
245 | 2 0 | ▼a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북한 현대사 : ▼b 1945- / ▼d 김성보, ▼e 기광서, ▼e 이신철 지음 |
260 | ▼a 서울 : ▼b 웅진닷컴, ▼c 2004 | |
300 | ▼a 309 p. : ▼b 삽화 ; ▼c 24 cm |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기광서, ▼e 저 ▼0 AUTH(211009)97889 |
700 | 1 | ▼a 이신철, ▼e 저 ▼0 AUTH(211009)125397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9 2004c | 등록번호 11129638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9 2004c | 등록번호 11129638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953.9 2004c | 등록번호 14103882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953.9 2004c | 등록번호 12110466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953.9 2004c | 등록번호 12110466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953.9 2004c | 등록번호 13102011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7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953.9 2004c | 등록번호 151160058 | 도서상태 분실(장서관리)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8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953.9 2004c | 등록번호 15116414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9 2004c | 등록번호 11129638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9 2004c | 등록번호 11129638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953.9 2004c | 등록번호 14103882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953.9 2004c | 등록번호 12110466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953.9 2004c | 등록번호 12110466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953.9 2004c | 등록번호 13102011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953.9 2004c | 등록번호 151160058 | 도서상태 분실(장서관리)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953.9 2004c | 등록번호 15116414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1945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건립부터 사회주의 몰락 이후 변화의 과정을 거치고 있는 2004년까지의 북한 현대사를 알기 쉽게 풀어썼다. 역사문제연구소가 기획하고 북한학을 이끌고 있는 젊은 역사학자들이 참여해 북한 정부의 탄생부터 성공과 시련, 일반 주민들의 생활 모습 등을 역사적 흐름 속에서 설명했다.
김일성 지도체제의 수립부터 북한식 사회주의를 확립까지의 과정,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북한 지도부의 선택 및 이를 지키기 위해 실시한 정책 등을 국제관계의 흐름 속에서 서술함으로써 남북관계를 국제관계의 차원에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키울 수 있도록 한 점이 돋보인다.
정치사를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지만 북한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 사회가 추구하는 핵심적 가치 등을 함께 이해할 수 있도록 관련 자료를 배치한 점도 주목할만 하다.
그간 소개되지 않았던 러시아 자료들 및 북한과 중국 등을 직접 방문해 찰영한 사진 등 300여 컷이 넘는 풍부한 연표와 도판을 싣고 캡션을 달아 상세하게 설명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성보(지은이)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북한 현대사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남북 분단의 문제를 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충북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거쳐 연세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있으며, 역사문제연구소·아시아평화와 역사교육연대 등에서 활동 중입니다. 《북한의 역사 1》을 쓰고,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북한 현대사》, 《미래를 여는 역사》를 여러 학자들과 썼습니다.
기광서(지은이)
조선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북한정치사를 전공했으며, 한국전쟁과 북한정치와 관련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대표논저로 <북한 국가의 형성과 소련>, <Understanding North Korea: Indigenous Perspectives>(공저), <해방 후 북한 반소반공운동의 실상> 등이 있다.
이신철(지은이)
남북관계로 성균관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사)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한일 역사인식 논쟁, 남북관계, 동아시아평화, 공공역사학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며 활동하고 있다.
역사문제연구소()
우리 역사의 여러 문제들을 공동 연구하고 그 성과를 일반에 보급함으로써 역사 발전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사회의 민주화와 통일에 기여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1986년 설립된 순수 민간 연구단체이다. 대한민국 역사 부문 최고의 싱크탱크로 여러 차례 선정된 바 있다.

목차
목차 추천사 : 통일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북한 역사 이해 = 4 저자 서문 : 북한 현대사를 한눈에 읽을 수 있는 글 = 6 1장 1945∼1948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세우다 1―건국의 중심이 된 인민위원회 = 7 2―돌아온 공산주의자들 = 26 3―변화의 바람을 몰고 온 토지개혁 = 38 4―대립, 협상, 그리고 두 개의 정부 = 46 5―사회주의 개혁의 시작 = 54 역사노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기와 국화 = 25 김일성과 보천보 전투 = 37 여성 해방과 사회주의적 슈퍼우먼 = 45 2장 1949∼1953 : 참혹한 전쟁, 민족의 비극 1―평화와 전쟁의 갈림길 = 69 2―1950년 6월 25일 = 78 3―죽음의 땅, 상처뿐인 휴전 = 90 4―권력구조가 바뀌다 = 100 5―전쟁과 사회주의 생활양식 = 106 역사노트 중국은 왜 전쟁에 참전했을까 = 77 서해 NLL의 어제와 오늘 = 99 표준어와 문화어 = 105 북한의 낯선 지명들 = 113 3장 1953∼1960 : 폐허 위에 세운 사회주의 1―폐허의 땅에 사회주의를 건설하다 = 119 2―땅도 공장도 집단 소유로 = 126 3―수령의 권력에 도전하다 = 134 4―천리마를 탄 기세로 = 142 5―수도 평양의 재건과 전후 복구 시기의 문화 = 148 역사노트 로력 영웅 = 133 8월 종파사건의 시작과 끝 = 141 인민에게 호소하는 각종 구호들 = 155 4장 1961∼1970 : 주체의 시대 1―인민의 열성을 바탕으로 발전을 모색하다 = 161 2―자주노선의 선택과 주체사상의 탄생 = 170 3―모든 것을 수령 중심으로 = 178 4―격랑 속의 남북관계와 북미관계 = 184 5―전면적인 사회주의 건설기의 사회문화 = 192 역사노트 주체사상의 형성과 변화 = 168 노동자의 하루 = 177 가계도로 보는 김일성 일가 = 191 5장 1970∼1990 : 모습을 드러낸 우리식 사회주의 1―수령이 다스리는 사회 = 203 2―후계자에 이르는 길 = 214 3―한계에 부딪친 자력갱생의 꿈 = 222 4―가식과 대결로 얼룩진 남북관계 = 232 5―집단주의 생활양식과 문화 = 240 역사노트 김일성의 통치 스타일 = 221 단군릉 이야기 = 230 혁명가극 피바다 = 239 북한에서도 재산을 가질 수 있을까? = 247 6장 1991∼ : 위기의 북한, 새로운 선택은 1―현실 사회주의 몰락과 북한 = 253 2―새로운 수령의 등장 = 262 3―남과 북, 갈등과 화해의 변주곡 = 272 4―고립을 극복하기 위한 갈림길 = 280 5―주체적 삶의 강화인가 변화인가 = 292 역사노트 북한 인권 이야기 = 261 북한의 민속 명절 = 271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 = 279 수령제는 어떻게 유지되는가 = 290 연대표 = 302 찾아보기 =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