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98n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45121098 | |
005 | 20100915055312 | |
007 | ta | |
008 | 041004s2004 ulk 001a kor | |
020 | ▼a 8995355077 ▼g 93700 : ▼c \48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a kor ▼h fre | |
082 | 0 4 | ▼a 401.9 ▼2 21 |
090 | ▼a 401.9 ▼b 2004a | |
100 | 1 | ▼a Calvet, Louis Jean, ▼d 1942- |
245 | 1 0 | ▼a 언어와 식민주의 : ▼b 언어포식 이야기 / ▼d 루이 쟝 칼베 지음 ; ▼e 김병욱 옮김 |
246 | 1 9 | ▼a Linguistique et colonialisme, petit trait'e de glottophagie |
260 | ▼a 서울 : ▼b 유로서적, ▼c 2004 | |
300 | ▼a 333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313-317)과 색인 수록 | |
700 | 1 | ▼a 김병욱, ▼e 역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1.9 2004a | 등록번호 1112956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1.9 2004a | 등록번호 11129560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401.9 2004a | 등록번호 15116149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401.9 2004a | 등록번호 15116149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1.9 2004a | 등록번호 1112956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1.9 2004a | 등록번호 11129560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401.9 2004a | 등록번호 15116149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401.9 2004a | 등록번호 15116149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루이 쟝 칼베(지은이)
<언어와 식민주의>
김병욱(옮긴이)
프랑스사부아대학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고 성균관대학에서 학술연구교수로 일했다. 현재 성균관대학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며, 같은 대학 프랑스어권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밀란 쿤데라의 『불멸』, 『느림』, 『배신당한 유언들』, 피에르바야르의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 『여행하지 않은 곳에 대해 말하는 법』, 『망친 책,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 『누가 로저 애크로이드를 죽였는가?』, 로맹가리의 『게리 쿠퍼여 안녕』, 『징기스 콘의 춤』, 베르나르 앙리 레비의 『아메리칸 버티고』, 『철학은 전쟁이다』, 에드위플레넬의 『정복자의 시선』, 가스통 바슐라르의 『물과 꿈』, 『촛불』, 미르체아엘리아데의 『요가』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일러두기 = 4 서문『언어와 식민주의』에서 언어정치학까지 = 7 서론 = 18 제1부 일반적인 문제들 제1장 언어 이론과 식민주의 = 25 제2장 방언들과 국어 = 59 제3장 언어 차원의 식민 과정 = 79 제4장 언어에 나타난 식민 지배의 흔적 = 119 제5장 언어에 대한 식민 담론 = 161 제6장 언어와 민족 해방 = 177 제2부 개별연구들 제7장 프랑스내의 언어식민주의 = 211 제8장 라눌프힉덴과 존 오브 트레비사에 따른 14세기 영어의 상황 = 245 제9장 밤바라어, 디울라어와 말린케어의 기수법 체계 = 257 제10장 밤바라어의 아랍어와 프랑스어 차용 = 269 제11장 아프리카 내의 프랑스어 = 287 참고문헌 = 313 언어, 민족, 지명, 색인 = 318 인명 색인 = 322 부록-언어일람표 = 326 옮기고나서 = 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