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 8
Ⅰ. 비평의 분화와 영상언어의 모색 = 11
1. 한국영화 중흥기와 비평의 맥락 = 16
2. '문예'로서 시나리오 담론의 배경과 전개 = 22
3. "스크린 이미지"론 = 43
Ⅱ. 역사와 문화의 역동 = 59
정치의 심미화 ; 파시즘 미학의 논리 = 60
1. 파시즘과 '정치의 심미화' = 60
2. 문화-예술의 보편화와 절대화 = 62
3. 통합 원리로서의 예술 '형식' = 73
4. 파괴와 위반의 미학? - 마리네티와 아방가르드 = 76
5. '예술의 정치화' 혹은 브레히트 = 83
한국영화의 식민지적/식민주의적 무의식 = 90
1. 민족-국가와 한국영화 = 90
2. '대체 역사'의 상상력 = 97
3. 역사적 주체 = 104
4. 거울상으로서의 일본, '상실된 미래' = 106
5. 운명과 부계(父系)의 멜로드라마 = 110
6. 트라우마와 회복 = 114
페미니스트 문화운동의 가능성 = 117
1. 고무줄 뛰어넘듯이… = 117
2. 자기긍정의 순간들 = 121
3. 일상문화운동, 생계운동 = 126
4. 사이버 스페이스의 앨리스들 = 133
한국의 문학담론과 '문화' = 139
1. 문학의 위기 = 139
2. '문화'의 모순된 위상 = 141
3. 문학의 탈신화화와 수평적 소통 = 146
Ⅲ. 멜로드라마와 트라우마적 기억 = 155
복고(復古)와 남성 멜로 드라마 = 156
1. 과거, 그 젠더화된 시공간 = 158
2. 순수, 그 물(Thing)로서의 여성들 = 161
3. 부재하는 어머니의 미장센, 그 동결의 강박증 = 168
4. 왜 '70년대'인가 = 173
시간의 불가역성과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 175
1. 〈박하사탕〉의 두 개의 눈물 = 176
2. 죽음의 흔적 = 178
3. 최면술과 트라우마적 기억 = 183
4. 마돈나는 없다 = 188
5. 극장으로서의 기억 = 192
여귀(女鬼)의 부활과 트라우마적 기억 = 199
1. 공포의 대상으로서의 여귀, 그 과거와 현재 = 201
2. 환타스틱과 '트라우마적 기억' = 208
3. 망각과 공포 = 214
그녀의 죄는 무엇인가 = 218
1. 기생월향지묘(妓生月香之墓) = 218
2. 공포영화의 주인공, 공감자-분신(sympathizer-double) = 221
3. 복수에서 자기증식으로 ; 〈링〉의 경우 = 226
4. 그녀들의 죄는 무엇인가 = 235
5. 시선의 주체, 트라우마로의 초대 = 242
영화〈성춘향〉과 전후(戰後)의 여성상 = 244
1. 한국영화사와 〈춘향전〉 = 245
2. 신상옥과 최은희의 〈성춘향〉 = 246
3. '신파' 및 멜로드라마와 "수난"이라는 주제 = 252
4. 민족-가부장적 가치의 인증자로서의 춘향 = 260
5. 영화 '춘향전'과 민족 정체성의 문제 = 266
Ⅳ.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인식의 지도 = 273
6,70년대 리얼리즘론의 전개양상 = 274
1. 두 개의 근대적 주체 - '개인'과 '시민' = 276
2. 70년대 초 리얼리즘 논쟁 = 281
3. 민족문학론과 리얼리즘론 = 288
4. 리얼리즘 개념의 양식화와 모더니즘 비판 = 293
뜨내기 삶의 성실한 복원 = 299
1. 70년대 황석영의 리얼리즘 = 301
2. 직접성과 낙관성의 미학 = 310
(1) 뜨내기의 노동경험과 현실인식 = 310
(2) 뜨내기의 인간애 = 317
이상(李箱)의 모더니즘 방법론 = 324
1. 문학의 존재방식에 대한 자의식 = 325
(1) 20년대 조선의 다다이즘 = 327
(2) 30년대 이상 시의 다다이즘 = 331
2. 포즈로서의 '종생'과 방심상태의 대결구도 = 340
모더니즘과 공간 = 352
1. 방법론적 성찰 - 식민지 모더니즘과 인식의 지도그리기 = 353
2.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 나타난 서사형식과 공간의 의미 = 359
(1) 시간의 공간화 - 하루간의 산책이라는 서사형식 = 359
(2) 산만한 산책자 - 공간 탐색의 형식 = 362
(3) 동경과 다방 - 공간혼융의 착종성 =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