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 4
개요 = 8
제Ⅰ장 유학의 원류와 호남
제Ⅰ절 한반도에 유교의 유입 과정
1. 삼국시대 = 26
2. 고려시대 = 28
3. 조선시대 = 30
4. 유학의 기본 이념 = 32
1) 유학의 어원 = 32
2) 유학의 개념과 목표 = 34
3) 「인」의 본질 = 34
4) 「덕」의 본질 = 41
5) 「예」의 본질 = 42
6) 유학의 종교적 의미 = 46
7) 유학에서 추구한 이상향 = 49
8) 유학의 학문적 변천 과정 = 52
5. 우리나라 도학의 연원 = 57
1) 훈구파(관학) 의 태동 = 57
2) 사림파의 태동 = 58
3) 기호학파와 영남학파의 생성 발전 = 59
4) 실학과 양명학의 태동 = 62
5) 호남학의 성립과 발전 = 63
제Ⅱ절 호남 지명의 유래와 지리적 위치
1. 지명의 유래 = 64
2. 지리적 위치 = 66
3. 호남을 배제한 기록과 역사적 배경 = 70
1) 훈요십조 = 70
2) 기축옥사(정여립 사건) = 74
3) 나주 괘서의 변(을해 옥사) = 74
4) 동학 농민운동 = 75
5) 나주 의거 = 77
6) 광주 학생독립운동 = 79
7) 5. 18 광주 민주화 운동 = 80
제Ⅲ절 호남 유학의 성립 과정
1. 태동기(고려말과 조선 초) = 82
1) 고려 조 호남출신 유학자 = 83
2) 두문동 72현 중 호남으로 은거한 인사 = 92
3) 48현 무인 중 호남으로 은거한 인사 = 119
4) 낙향ㆍ은거ㆍ유배된 인물 = 136
2. 태종, 세조 통치기(왕권 쟁탈기) = 151
3. 붕당과 사화기 = 183
1) 무오사화 = 183
2) 갑자사화 = 199
3) 기묘사화 = 201
4) 을사사화 = 229
5) 기축옥사(정여립 모반 사건?) = 238
제Ⅳ절 호남 유학의 융성기(5현의 출현)
1. 호남 유학의 정착과 구국 = 278
1) 김인후(河西) = 281
2) 이항(一齋) = 286
3) 유희춘(眉巖) = 289
4) 기대승(高峯) = 292
5) 김천일(健齋) = 298
6) 고경명(霽峯) = 300
2. 호남유학의 4대가문 = 301
제Ⅱ장 국난 극복을 위한 호남 의병항쟁
제Ⅰ절 임진왜란과 창의 기병
1. 임진왜란과 호남 의병 = 310
2. 임진왜란 때 호남의병의 2대전투 = 314
1) 제 1차 금산성 전투 = 315
2) 제 2차 진주성 전투 = 320
3. 호남의병의 특징 = 331
4. 호남의병장들의 행적 = 333
1) 김천일 의병 = 333
2) 고경명 의병 = 345
3) 최경희 의병 = 358
4) 박광전 의병 = 373
5) 황진 의병 = 377
6) 변사정 의병 = 381
7) 김경수 의병 = 383
8) 김제민 의병 = 385
9) 기효증 의병 = 390
10) 정문부 의병 = 392
11) 김덕령 의병 = 396
12) 호남출신 의병과 관련있는 인사 = 401
13) 임진왜란때 의병의 문제점 = 405
下
목차
들어가는 말 = 4
제Ⅱ절 정유재란과 창의 기병
1. 정유재란과 호남 의병 = 11
2. 호남의병의 특징 = 13
3. 의병장들의 행적 = 14
1) 채홍국 의병 = 14
2) 왕득인 의병 = 17
3) 조경남 의병 = 20
4) 정염 의병 = 22
5) 송제민 의병 = 23
6) 임환 의병 = 26
7) 전몽성 의병 = 28
8) 문위세 의병 = 29
9) 최경운ㆍ최경장 형제의병 = 30
10) 안방준 의병 = 37
11) 신용호ㆍ신용준 형제의병 = 38
12) 기효간ㆍ기효근 종형제의병 = 40
13) 충무공 이순신 = 42
제Ⅲ절 국가위난에 유림의 자세
1. 유림과 의병 간부들의 특징 = 47
2. 병장들의 특성 = 51
3. 의병의 지역적인 계승과 특성 = 58
4. 의병부대의 특성 = 61
제Ⅳ절 호남유림이 공헌한 업적
1. 화차(火車) 발명과 제조 = 66
2. 거북선(龜船) 제작 = 68
3. 일본에 주자학 전래와 교육 = 69
4. 가사ㆍ시문학에 공헌 = 73
1) 정극인(不憂軒) = 73
2) 송순(?仰亭) = 74
3) 정철(松江) = 78
4) 임제(白湖) = 81
5) 윤선도(孤山) = 83
제Ⅲ장 조선 후기 호남유학(일제 강점기)
제Ⅰ절 양대 학파의 성립
1. 기정진(奇正鎭) 학파 = 91
1) 기정진의 생애 = 91
2) 기정진의 사상 = 96
3) 기정진의 문하생 = 100
① 기우만(松沙)
② 기삼연(省齋)
③ 정재규(老栢軒)
④ 오준선(後石)
⑤ 정의림(日新齋)
⑥ 조생가(月皐)
2. 전우(田愚) 학파 = 111
1) 전우의 생애 = 111
2) 전우의 사당 = 116
3) 전우의 문하생 = 121
① 이병은(顧齋) = 121
② 최병심(欽齋) = 122
③ 권순명(陽齋) = 123
④ 유영선(玄谷) = 124
⑤ 성기운(悳泉) = 126
3. 노사의 저술 「외필」 논쟁 = 127
4. 전우에 대한 비판 = 132
1) 전우의 행적 = 132
2) 전우의 비판 = 135
제Ⅱ절 한말 위정척사와 호남 의병
1. 1차 의병 = 138
1) 기우만 의병 = 142
2. 2차 의병 = 146
1) 최익현 의병 = 147
2) 고광순 의병 = 155
3. 3차 의병 = 165
1) 기삼연 의병 = 168
2) 김용구 의병 = 174
3) 박도경 의병 = 179
4) 김태원ㆍ김률 형제의병 = 181
5) 이석용 의병 = 187
6) 전해산 의병 = 191
7) 강진원 의병 = 195
8) 양진여 의병 = 197
9) 오인수 의병 = 201
10) 안규홍 의병 = 202
11) 심남일 의병 = 208
12) 양인영 의병 = 216
황현(黃玹, 梅泉)의 충절 = 219
4. 한말 호남의병의 특성 = 226
1) 의병의 전통 = 226
2) 한말 의병의 차이점 = 230
3) 고경명 의병과 최익현 의병의 유사점 = 231
4) 한말 1ㆍ2차 의병부대의 특성 = 233
5) 3차 의병(호남창의 회맹소)의 특성 = 234
제Ⅳ장 유학과 충효정신
제Ⅰ절 유학의 당위성
1. 충효의 본질 = 241
1) 유학의 긍정적인 면 = 243
2) 유학의 부정적인 면 = 245
제Ⅱ절 호남유학의 당면과제
1. 현대 유교의 문제점 = 249
2. 호남유학의 특수성 = 253
3. 유교의 전통 윤리 = 256
4. 사회의 병리현상과 대책 = 258
5. 유교의 역할 = 282
6. 유교의 전망 = 286
맺음말 = 291
부록 = 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