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21n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45115906 | |
005 | 20100806023039 | |
007 | ta | |
008 | 040826s2004 ulk 000a kor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79.53 |
090 | ▼a 379.53 ▼b 1993b ▼c 2004 | |
110 | ▼a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
245 | 1 0 | ▼a 當面敎育政策改善方案, 2004/ ▼d 韓國敎員團體總聯合會 [편]. |
260 | ▼a 서울 : ▼b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c 2004. | |
300 | ▼a ii, 184 p. ; ▼c 27 cm. | |
490 | 0 0 | ▼a 政策資料 ; ▼v 第73輯 |
500 | ▼a 부록포함 | |
830 | 0 | ▼a 정책자료(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v 제66집 |
950 | 1 | ▼a 비매품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9.53 1993b 2004 | Accession No. 11129257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Ⅰ. 미래지향적 교육체제 구축 = 1 1. 초·중학교 의무교육 내실화 = 3 2. 고교 평준화 정책 보완 및 다양화·특성화 체제 확대 = 5 3. 교육환경 변화에 부합하는 학제의 단계적 개편 = 9 4. 제7차 교육과정의 보완 = 10 5. 주5일 수업제 조기 정착 = 18 6. 사교육비 경감 = 22 7. 교육시장 개방의 신중 접근 = 24 Ⅱ. 균형 있는 학교교육 = 29 1. 유아교육의 공교육화 = 31 2. 실업계고교 교육의 정상화 = 40 3. 특수교육 지원 확대 = 47 4. 사학 운영의 자율과 책임 제고 = 53 5. 소외계층 및 농어촌 교육의 활성화 = 58 6. 청소년 보호 및 교육 강화 = 62 Ⅲ. 고등교육의 경쟁력 강화 = 73 1. 대입전형제도의 개선 = 75 2. 대학교육의 질적 수월성 및 특성화 보강 = 82 3. 대학운영의 자율성·민주성 제고 = 87 4. 교원재임용 및 연구여건 개선 = 89 5. 대학의 인재양성과 연구·개발 지원 강화 = 91 Ⅳ. 우수교원의 확보 = 95 1. 교원 인사체제의 획기적 개선 = 97 2. 교원 처우 및 복지 확충 = 103 3. 교권 신장 및 교원의 전문성 강화 = 109 4. 전문직 교원단체의 역할과 역량 강화 = 113 5. 교단 갈등해소 및 화합 증진 = 116 Ⅴ. 교육 행·재정 혁신 = 119 1. 지방교육자치제 개선 = 121 2. 교육행정의 전문성 신장 = 125 3. 단위학교 자율·책임경영제 확립 = 131 4. 교육재정 확충 및 운영의 효율화 = 136 5. 교육여건 및 환경 개선 = 143 6. 교육정보화 확충 = 149 Ⅵ. 평생학습 및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지속추진 = 155 1. 평생교육지원 체제 정비 = 157 2. 성인교육 확대와 교육소외계층의 평생학습 진흥 = 164 3. 민주시민교육 및 국제이해교육 진흥 = 168 4. 평생직업 능력개발 및 인적자원개발 = 170 부록 = 173 1. 정책연구보고서 목록 = 175 2. 정책자료집 목록 = 179 3. 교육정책토론회 개최 일지 =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