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 4
1 궁중음식의 배경
1. 궁중음식 관련 문헌 = 9
2. 궁중의 음식 담당 관청 = 20
3. 궁중음식의 재료 = 23
4. 궁중의 음식 담당자 = 25
5. 궁중의 주방 = 27
2 궁중의 식생활
1. 궁중의 일상식 = 32
2. 궁중의 연희식 = 41
3 궁중음식 조리 기술
1. 궁중음식의 종류 = 46
1) 주식 = 46
2) 김치와 젓갈 = 47
3) 찬물 = 48
4) 병과·음청류 = 54
2. 궁중음식의 실제 조리 = 58
1) 죽상 = 58
장국죽 = 58
굴두부조치 = 61
북어보푸라기 = 62
매듭자반 = 63
나박김치 = 65
2) 수라상 = 67
(1) 대원반의 음식 조리법 = 67
흰수라 = 68
미역국 = 68
동치미 = 69
젓국지 = 70
송송이 = 71
무젓국조치 = 74
절미된장조치 = 75
죽순찜 = 75
양지머리 편육 = 76
오이통장과 = 78
무생채 = 79
홍합초 = 80
삼색나물 = 82
생선전 = 83
어리굴젓 = 84
육포 = 85
김구이 = 88
(2) 소원반의 음식 조리법 = 89
팥수라 = 89
곰국 = 90
수란 = 91
너비아니 = 92
어회 = 92
(3) 모반(전골상)의 음식 조리법 = 94
채소전골 = 94
3) 면상 = 97
(1) 국수와 찬품 = 98
난면 = 98
어알탕 = 101
우설찜 = 103
화양적 = 105
어채 = 107
내장전 = 109
신선로 = 111
겨자채 = 116
장김치 = 119
(2) 병과·음청류 = 121
각색편 = 121
약식 = 125
약과 = 127
각색다식 = 128
율란·조란 = 132
각색정과 = 135
창면 = 137
3. 그 밖의 주요 궁중음식 = 140
1) 주식류 = 140
차조미음 = 140
규아상 = 143
생치(꿩)만두 = 145
2) 육찬 = 148
두골탕 = 148
갈비찜구이 = 150
닭찜 = 152
3) 어찬 = 154
어만두 = 154
대합구이 = 157
대하찜 = 159
해삼전 = 161
4) 채소찬 = 163
미나리강회 = 163
잡채 = 165
탕평채(묵채) = 167
구절판 = 170
두부선 = 174
5) 병과류 = 176
봉우리떡(두텁떡) = 176
각색단자 = 179
앵두편 = 182
배숙 = 185
4 조선왕조궁중음식 전수 현황
1. 중요무형문화재 제38호 조선왕조 궁중음식 = 187
2. 궁중음식 전수 계보 = 189
참고문헌 =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