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1
유럽 저숙련공 인력공급의 변화 = 7
개요 및 전망 = 7
1. 도입 = 9
2. 저숙련공 - 소득과 고용측면에서의 변화 = 9
3. 저숙련공 수요 감소가 무엇을 의미하는가? = 10
4. 구조적 요소와 숙련공 수요 = 12
5. 저숙련공 직종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 14
6. 저숙련공 집단의 정의 및 측정 = 16
7. 유럽 노동시장의 저숙련공 = 22
8. 교육과 훈련에의 참여 및 접근 = 25
9. 개요 및 결론 = 29
직업과 자격검정에 있어서의 경향 : 상향 대 하향 이론 = 37
개요 = 37
도입 = 37
1. 직업에 적합한 교육은 어느 정도의 수준인가? = 39
2. 불완전 활용의 원인 및 그 결과 = 49
2.1 거시적인 효율성 = 49
2.2 보다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근로자의 공급 증가와 수요 감소 = 51
2.3 상향 이론(upgrading) = 57
2.4 고정임금 = 61
3. 결론 = 66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직업기술과 직업수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73
1. 서론 = 73
2. 기술 혁신의 영향 = 74
2.1 정보통신기술이 직업역할에 미치는 영향 = 78
3. 정보통신기술이 미치는 영향의 결과로서 직업기술의 개발 경향 = 80
3.1 ICT가 전문가로써의 직무능력과 위상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 = 81
3.2 새로운 횡적 기술 = 84
4. ICT의 폭넓은 사용으로 야기된 새로운 훈련에 대한 요구사항과 그 대처방안 = 86
4.1 새로운 훈련 요구와 컨텐츠 = 86
4.2 새로운 훈련 방법 = 89
5. 결론 = 92
첨단 정보통신 기술에 기반을 둔 직업과 자격검정의 발전상황 = 95
요약과 전망 = 95
1. 서론 = 96
2. 컴퓨터 관련 직종과 새로운 직종별 특성 및 동향 = 100
2.1 핵심 IT 직종 = 101
2.2 도제 또는 이중 제도를 통한 핵심 직업훈련 = 103
2.3 핵심 IT 직업훈련 = 107
2.4 주변 및 혼합 직업 = 109
2.5 현재까지의 교훈 = 112
2.6 노동시장의 자격 구조 = 114
3. 컴퓨터 분야의 직업 현황 = 117
3.1 미국의 징후들 = 118
3.2 컴퓨터 전문가를 위한 고용 시장의 발전 = 120
3.3 컴퓨터 전문가들을 위한 더 많은 일자리 = 120
3.4 점증하는 대학졸업자의 중요성 = 121
3.5 여성의 비율 : 서독의 빠른 증가, 동독의 침체 = 122
3.6 통합과 구조적 변화 = 122
3.7 멀티미디어 = 127
4. 직업적 특성의 개요 및 예측 동향 = 129
5. 새로운 형태의 고용과 그 확산 방식 = 133
5.1 촉진 매개체로서의 멀티미디어와 새로운 근무형태의 창조 수단 = 133
5.2 자격 취득과 열린 근무 형태에서의 고용 = 136
5.3 고용과 자격의 분야 = 137
5.4 취업자들과 구직자들의 태도 = 141
6. 결론 및 권고사항 = 142
평생 학습사회를 위한 기술 및 자격습득 : 유럽의 최근 경향과 문제점 = 147
서론 = 147
Ⅰ. 경제적, 사회적 과제들 = 149
1. 과학기술의 변화와 경제의 국제화 추세 = 149
2. 산업의 공간적 위치 변화 = 150
3. 산업 영역 및 산업체 변화 = 150
4. 생산품의 변화 = 150
5. 품질 강조 추세의 증가 = 151
6. 혁신, 경쟁력, 사회적 응집력 = 152
7. 과학 기술과 지식의 지속적인 발전 = 153
8. 유연성, 적응성, 유동성에의 강조 증가 = 153
9. 학습에 대한 지식의 필요성 = 154
10. 목표로서의 사회 구현 = 155
Ⅱ. 직업 관련 지식의 중요성 = 155
1. 학습 및 지식 개발에 대한 강조의 필요성 = 156
2. 혁신의 주요 요소로서의 지식개발 = 156
3. 지식의 다양한 종류 = 156
4. 암묵적 지식 및 이의 적용 = 159
Ⅲ. 과제에 대한 대응 = 162
1. 평생 학습을 위한 두 가지 전제 조건 = 163
2. 적용 가능성의 촉진 = 164
3. 학습에 대한 지식 = 166
4. 반성 = 166
5. 사고 기술의 개발 = 167
6. 학습자의 독립성 개발 = 169
7. 공동 작업 및 협동 학습 = 170
8. 직업 관련 활동과 지식 개발의 통합 = 172
9. 효율적인 직무기반 학습 = 173
Ⅳ. 계속적인 전문성개발을 위한 모델 = 176
1. 기술 공동체 = 178
2. 실제 업무의 발전 = 178
3. 전문성 개발 = 179
4. 연구능력 개발 = 181
5. 효율적인 의사소통 능력 = 181
6. 내부적인 상호 연관성 = 182
Ⅴ. 결론 및 권고사항 = 184
1. 학습에의 초점 = 184
2. 학습자 독립성 = 185
3. 학습 배경 = 185
4. 결론 = 186
계속직업교육 및 훈련 : 직업과 자격검정 분야의 신경향에 대한 초기 대응을 중심으로 = 195
요약과 전망 = 195
1. 도입 = 196
2. 현재 상황 = 197
3. 지속적 훈련의 기초 = 199
3.1 사내에서 이뤄지는 계속훈련 = 200
3.2 단체협약 규칙 = 202
3.3 훈련 휴가 법규 제정 = 204
3.4 공공자금으로 지원되는 지속적 훈련 = 205
4. 혁신적인 접근들 - 많은 훈련, 적은 감원 = 206
4.1 단시간 근무와 지속적 훈련 = 207
4.2 고용과 훈련 회사 = 209
5. 결론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