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유럽 직업 및 자격검정의 신경향

유럽 직업 및 자격검정의 신경향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응석
단체저자명
CEDEFOP
서명 / 저자사항
유럽 직업 및 자격검정의 신경향 / CEDEFOP 저 ; 이응석 번역.
발행사항
서울 :   한국산업인력공단 ,   2003.  
형태사항
v, 215 p.. : 삽도 ; 26 cm.
총서사항
번역자료 ; 03-7
원표제
European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occupations and qualifications
ISBN
897160946X
일반주기
부록: 한국산업인력공단 연구보고서 및 번역자료 안내  
서지주기
참고문헌수록
000 00942namccc200289 k 4500
001 000045114702
005 20100806021803
007 ta
008 040820s2003 ulka 000a kor
020 ▼a 897160946X ▼g 93330
040 ▼a 244002 ▼d 244002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31.2592 ▼2 21
090 ▼a 331.2592 ▼b 2003i
110 ▼a CEDEFOP
245 1 0 ▼a 유럽 직업 및 자격검정의 신경향 / ▼d CEDEFOP 저 ; ▼e 이응석 번역.
246 1 9 ▼a European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occupations and qualifications
260 ▼a 서울 : ▼b 한국산업인력공단 , ▼c 2003.
300 ▼a v, 215 p.. : ▼b 삽도 ; ▼c 26 cm.
440 1 0 ▼a 번역자료 ; ▼v 03-7
500 ▼a 부록: 한국산업인력공단 연구보고서 및 번역자료 안내
504 ▼a 참고문헌수록
700 1 ▼a 이응석
710 ▼a European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occupations and qualifications
830 0 ▼a 번역자료 (한국산업인력공단) ; ▼v 03-7
950 1 ▼a 비매품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청구기호 331.2592 2003i 등록번호 1112883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31.2592 2003i 등록번호 15115663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청구기호 331.2592 2003i 등록번호 1112883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31.2592 2003i 등록번호 15115663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서문 = 1
유럽 저숙련공 인력공급의 변화 = 7
 개요 및 전망 = 7
 1. 도입 = 9
 2. 저숙련공 - 소득과 고용측면에서의 변화 = 9
 3. 저숙련공 수요 감소가 무엇을 의미하는가? = 10
 4. 구조적 요소와 숙련공 수요 = 12
 5. 저숙련공 직종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 14
 6. 저숙련공 집단의 정의 및 측정 = 16
 7. 유럽 노동시장의 저숙련공 = 22
 8. 교육과 훈련에의 참여 및 접근 = 25
 9. 개요 및 결론 = 29
직업과 자격검정에 있어서의 경향 : 상향 대 하향 이론 = 37
 개요 = 37
 도입 = 37
 1. 직업에 적합한 교육은 어느 정도의 수준인가? = 39
 2. 불완전 활용의 원인 및 그 결과 = 49
  2.1 거시적인 효율성 = 49
  2.2 보다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근로자의 공급 증가와 수요 감소 = 51
  2.3 상향 이론(upgrading) = 57
  2.4 고정임금 = 61
 3. 결론 = 66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직업기술과 직업수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73
 1. 서론 = 73
 2. 기술 혁신의 영향 = 74
  2.1 정보통신기술이 직업역할에 미치는 영향 = 78
 3. 정보통신기술이 미치는 영향의 결과로서 직업기술의 개발 경향 = 80
  3.1 ICT가 전문가로써의 직무능력과 위상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 = 81
  3.2 새로운 횡적 기술 = 84
 4. ICT의 폭넓은 사용으로 야기된 새로운 훈련에 대한 요구사항과 그 대처방안 = 86
  4.1 새로운 훈련 요구와 컨텐츠 = 86
  4.2 새로운 훈련 방법 = 89
 5. 결론 = 92
첨단 정보통신 기술에 기반을 둔 직업과 자격검정의 발전상황 = 95
 요약과 전망 = 95
 1. 서론 = 96
 2. 컴퓨터 관련 직종과 새로운 직종별 특성 및 동향 = 100
  2.1 핵심 IT 직종 = 101
  2.2 도제 또는 이중 제도를 통한 핵심 직업훈련 = 103
  2.3 핵심 IT 직업훈련 = 107
  2.4 주변 및 혼합 직업 = 109
  2.5 현재까지의 교훈 = 112
  2.6 노동시장의 자격 구조 = 114
 3. 컴퓨터 분야의 직업 현황 = 117
  3.1 미국의 징후들 = 118
  3.2 컴퓨터 전문가를 위한 고용 시장의 발전 = 120
  3.3 컴퓨터 전문가들을 위한 더 많은 일자리 = 120
  3.4 점증하는 대학졸업자의 중요성 = 121
  3.5 여성의 비율 : 서독의 빠른 증가, 동독의 침체 = 122
  3.6 통합과 구조적 변화 = 122
  3.7 멀티미디어 = 127
 4. 직업적 특성의 개요 및 예측 동향 = 129
 5. 새로운 형태의 고용과 그 확산 방식 = 133
  5.1 촉진 매개체로서의 멀티미디어와 새로운 근무형태의 창조 수단 = 133
  5.2 자격 취득과 열린 근무 형태에서의 고용 = 136
  5.3 고용과 자격의 분야 = 137
  5.4 취업자들과 구직자들의 태도 = 141
 6. 결론 및 권고사항 = 142
평생 학습사회를 위한 기술 및 자격습득 : 유럽의 최근 경향과 문제점 = 147
 서론 = 147
 Ⅰ. 경제적, 사회적 과제들 = 149
  1. 과학기술의 변화와 경제의 국제화 추세 = 149
  2. 산업의 공간적 위치 변화 = 150
  3. 산업 영역 및 산업체 변화 = 150
  4. 생산품의 변화 = 150
  5. 품질 강조 추세의 증가 = 151
  6. 혁신, 경쟁력, 사회적 응집력 = 152
  7. 과학 기술과 지식의 지속적인 발전 = 153
  8. 유연성, 적응성, 유동성에의 강조 증가 = 153
  9. 학습에 대한 지식의 필요성 = 154
  10. 목표로서의 사회 구현 = 155
 Ⅱ. 직업 관련 지식의 중요성 = 155
  1. 학습 및 지식 개발에 대한 강조의 필요성 = 156
  2. 혁신의 주요 요소로서의 지식개발 = 156
  3. 지식의 다양한 종류 = 156
  4. 암묵적 지식 및 이의 적용 = 159
 Ⅲ. 과제에 대한 대응 = 162
  1. 평생 학습을 위한 두 가지 전제 조건 = 163
  2. 적용 가능성의 촉진 = 164
  3. 학습에 대한 지식 = 166
  4. 반성 = 166
  5. 사고 기술의 개발 = 167
  6. 학습자의 독립성 개발 = 169
  7. 공동 작업 및 협동 학습 = 170
  8. 직업 관련 활동과 지식 개발의 통합 = 172
  9. 효율적인 직무기반 학습 = 173
 Ⅳ. 계속적인 전문성개발을 위한 모델 = 176
  1. 기술 공동체 = 178
  2. 실제 업무의 발전 = 178
  3. 전문성 개발 = 179
  4. 연구능력 개발 = 181
  5. 효율적인 의사소통 능력 = 181
  6. 내부적인 상호 연관성 = 182
 Ⅴ. 결론 및 권고사항 = 184
  1. 학습에의 초점 = 184
  2. 학습자 독립성 = 185
  3. 학습 배경 = 185
  4. 결론 = 186
계속직업교육 및 훈련 : 직업과 자격검정 분야의 신경향에 대한 초기 대응을 중심으로 = 195
 요약과 전망 = 195
 1. 도입 = 196
 2. 현재 상황 = 197
 3. 지속적 훈련의 기초 = 199
  3.1 사내에서 이뤄지는 계속훈련 = 200
  3.2 단체협약 규칙 = 202
  3.3 훈련 휴가 법규 제정 = 204
  3.4 공공자금으로 지원되는 지속적 훈련 = 205
 4. 혁신적인 접근들 - 많은 훈련, 적은 감원 = 206
  4.1 단시간 근무와 지속적 훈련 = 207
  4.2 고용과 훈련 회사 = 209
 5. 결론 = 210


관련분야 신착자료

노동인권 실현을 위한 노무사모임. 20주년 기념 출간위원회 (2022)
김의환 (2022)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