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행정조사방법론 제3판

행정조사방법론 제3판 (Loan 11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남궁근
Title Statement
행정조사방법론 / 남궁근 저.
판사항
제3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法文社 ,   2003   (2009)  
Physical Medium
xx, 695 p : 삽도, 챠트 ; 26 cm.
Series Statement
행정학총서
ISBN
8918022220 9788918023182
General Note
부록 : x²분포표 등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663-680) 및 색인수록
000 00707camccc200253 k 4500
001 000001103017
005 20100806014928
007 ta
008 030923s2003 ggkad b 001a kor
020 ▼a 8918022220 ▼g 93350
020 ▼a 9788918023182 ▼g 93350
040 ▼d 244002 ▼d 211009
082 0 4 ▼a 351.072 ▼2 21
090 ▼a 351.072 ▼b 2003
100 1 ▼a 남궁근 ▼0 AUTH(211009)116886
245 1 0 ▼a 행정조사방법론 / ▼d 남궁근 저.
246 1 1 ▼a Research methods for Public administration
250 ▼a 제3판.
260 ▼a 파주 : ▼b 法文社 , ▼c 2003 ▼g (2009)
300 ▼a xx, 695 p : ▼b 삽도, 챠트 ; ▼c 26 cm.
440 0 0 ▼a 행정학총서
500 ▼a 부록 : x²분포표 등
504 ▼a 참고문헌(p.663-680) 및 색인수록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072 2003 Accession No. 11157056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1/ Call Number 351.072 2003 Accession No. 11157057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5(Eastern Books)/ Call Number 351.072 2003 Accession No. 12109682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5(Eastern Books)/ Call Number 351.072 2003 Accession No. 121096824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14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5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1.072 2003 Accession No. 151166003 Availability Missing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6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1.072 2003 Accession No. 15116600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072 2003 Accession No. 11157056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1/ Call Number 351.072 2003 Accession No. 11157057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5(Eastern Books)/ Call Number 351.072 2003 Accession No. 12109682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5(Eastern Books)/ Call Number 351.072 2003 Accession No. 121096824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14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1.072 2003 Accession No. 151166003 Availability Missing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1.072 2003 Accession No. 15116600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남궁근(지은이)

학력:서울대학교에서 정치학사(1976)와 행정학석사(1978), 미국 Pittsburgh대학교에서 행정학박사(1989) 학위를 받았다. 경력:제19회 행정고시에 합격(1977)한 후 경제기획원 사무관(1981-1982)으로 근무하였고, 경상대학교 행정학과 교수(1982-2001)를 거쳐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행정학과와 IT정책전문대학원 교수(2001-2019), 초대 IT정책대학원장(2003-2005)과 제10대 총장(2011-2015)을 역임한 후 2019년 정년퇴직하였고, 현재 명예석좌교수이다. 미국 UC Berkeley LG연암재단 연구교수(1996), 벨기에 KU Leuven 방문교수(2010),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객원교수(2016),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석좌연구위원(2020-2021)을 지냈다. 학회활동:한국행정학회의 43대 회장(2008)과 연구위원장(2002), 「한국행정학보」 편집위원장(2000), 한국행정연구원 발간 「한국행정연구」 편집위원장(2016-2019),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의 「정책분석평가학회보」 편집위원장(1999)으로 봉사하였다. 저서:「정책학」(2021), 「행정조사방법론」(2021),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in Korea(co-ed., 2018),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and KAPA(ed., 2009), 「정책분석론」(공역, 2018), 「비교정책연구」(1999), 「스칸디나비아 국가의 거버넌스와 개혁」(공저, 2006), 「전자정부를 통한 부패통제: 이론과 사례」(공저, 2003), 「시민과 정부개혁」(공편, 2002), 「고위공무원 개방형 임용제도」(공저, 2000) 등이 있다. 주요정부자문활동:대통령 위촉 정부자문활동으로는 정부업무평가위원회 민간위원장(2018.4-2022.5), 행정정보공유추진위원회 민간위원장(2007.2-2009.2), 정책기획위원회 위원(2004.11-2008.2), 규제개혁위원회 위원(2002.12-2004.12),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인사개혁간사위원(2003.4-2005.4) 등이 있다. 시민단체활동: 행정개혁시민연합의 정책위원장(2000-2002)과 공동대표(2016-2022)를 역임하였다. 수상․상훈:미국행정대학원연합회(NASPAA)‘우수박사논문상’(honorable mention, 1989), 한국행정학회 ‘학술상-저술부문’(1999)을 수상하였다. 대한민국정부의 청조근정훈장(2019.2)과 홍조근정훈장(2005.10), 미국 피츠버그대 GSPIA ‘올해의 동문상’(2014)을 받았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제1장 과학적 연구의 의미와 논리 = 1
 제1절 연구의 의미 = 1
 제2절 연구방법의 유형 = 2
  1. 권위적 방법 = 3
  2. 신비적 방법 = 4
  3. 논리적-합리적 방법 = 5
  4. 과학적 방법 = 6
 제3절 과학적 방법의 기본가정 = 8
  1. 자연에는 질서와 규칙성이 있다 = 8
  2. 모든 사건에는 원인이 있다 = 9
  3. 현상은 이해될 수 있다 = 10
  4. 자명한 지식은 없다 = 11
  5. 진리는 상대적이다 = 11
  6. 경험과 관찰은 지식의 원천이다 = 12
 제4절 과학적 연구과정에서의 논리체계 = 13
  1. 연역적 논리와 귀납적 논리의 개관 = 13
  2. 연역적 논리에 의한 추론방법 = 14
  3. 귀납적 논리에 의한 추론방법 = 15
  4. 연역법과 귀납법의 관계 = 16
  5. 행정학 연구에서 연역법과 귀납법의 적용 = 17
 주요 추천문헌 = 21
제2장 과학적 연구의 목적과 유형 = 23
 제1절 사회과학 연구의 목적과 접근방법 = 23
  1. 실증주의적 관점 : 기술과 설명 = 24
  2. 해석적 관점 : 이해와 해석 = 33
  3. 비판이론적 관점 : 비판과 실천 = 41
  4. 세 가지 접근방법의 차이점과 공통점 = 42
  5. 여성학적 관점과 포스트모던 관점 = 53
 제2절 과학적 조사연구의 유형 = 57
  1. 연구의 성격에 따른 분류 : 순수연구, 응용연구, 평가연구 = 57
  2. 연구의 목적에 따른 분류 : 탐색, 기술, 설명 = 59
  3. 연구의 방법에 따른 분류 :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 66
 제3절 행정 및 정책문제의 조사연구 = 73
  1. 행정현상과 행정변수 = 73
  2. 정책결정의 단계 = 74
  3. 정책결정의 단계와 경험적 조사연구 = 77
 주요 추천문헌 = 82
제3장 과학적 연구의 절차와 계획 = 83
 제1절 과학적 연구의 일반적 절차 = 83
  1. 연구문제의 선정 및 가설설정 = 85
  2. 연구대상의 선정 = 86
  3. 조사설계의 선택 = 86
  4. 개념화 및 조작화 = 87
  5. 자료수집 = 87
  6. 자료분석 = 88
  7. 자료해석 및 보고서 작성 = 88
 제2절 연구의 분석단위 = 89
  1. 분석단위의 분류 = 91
  2. 분석단위 선정과 해석의 오류 = 94
 제3절 연구의 시간적 범위 = 97
  1. 횡단면적 연구 = 97
  2. 종단면적 연구 = 98
  3. 분석단위가 지방정부나 국가인 경우 = 100
 제4절 연구계획서의 작성 = 101
  1. 연구계획서의 의미 = 101
  2. 연구계획서의 구성요소 = 102
  3. 연구계획서의 활용 = 104
 주요 추천문헌 = 105
제4장 연구문제 및 가설의 형성 = 107
 제1절 연구문제 = 107
  1. 연구문제의 의미와 유형 = 107
  2. 연구문제의 원천 = 111
  3. 연구문제의 평가기준 = 113
  4. 연구문제의 형성과정 = 114
  5. 규범적 질문의 경험적 질문으로의 전환 = 117
  6. 경험적 연구문제의 사례 = 118
 제2절 이론 = 120
  1. 이론의 개념 = 120
  2. 이론의 분류 = 123
  3. 이론평가의 기준 = 126
 제3절 연구의 개념적 준거틀 = 128
  1. 개념적 준거틀의 의미 = 128
  2. 개념적 준거틀의 구조 = 129
  3. 개념적 준거틀의 표현방법 = 135
  4. 개념적 준거틀의 기능 = 137
 제4절 가설 = 139
  1. 가설의 의미 = 139
  2. 가설의 종류 = 140
  3. 가설의 기능 = 142
  4. 연구가설의 사례 = 144
 주요 추천문헌 = 146
제5장 기존문헌의 검토 = 147
 제1절 기존문헌 검토의 의의 = 147
  1. 기존문헌 검토의 의의 = 147
  2. 기존문헌 검토의 메타분석 = 148
 제2절 기존문헌 검토의 목적 및 시기 = 149
  1. 기존문헌 검토의 목적 = 149
  2. 기존문헌 검토의 시기 = 149
 제3절 개별 연구문헌의 검토기준 = 150
  1. 기존문헌의 원천과 탐색방법 = 150
  2. 개별문헌의 검토기준 = 151
 제4절 기존문헌 검토결과의 기술 = 154
  1. 전통적 방법에 의한 기존문헌 검토의 문제점 = 154
  2. 기존문헌 검토결과의 기술방법 = 155
  3. 상충되는 연구결과의 검토 및 기술방법 = 156
  4. 메타분석 = 160
  5. 상충되는 연구결과의 종합사례 = 164
 주요 추천문헌 = 166
제6장 인과관계의 추론 = 167
 제1절 원인의 개념 = 167
  1. 원인, 결과, 인과관계의 개념 = 167
  2. 행정 및 정책연구에서의 원인 = 168
  3. 사회적 인과관계의 복잡성과 다원적 원인론 = 169
 제2절 인과적 추론의 조건 = 170
  1. 시간적 선후관계 = 171
  2. 공동변화와 연관성 = 172
  3. 비허위적 관계 = 173
 제3절 조사설계의 타당성과 위협요인 = 178
  1. 타당성의 개념 및 종류 = 179
  2. 통계적 결론의 타당성 = 180
  3. 내적 타당성의 의미와 위협요인 = 180
  4. 구성개념의 타당성과 위협요인 = 192
  5. 외적 타당성과 위협요인 = 201
 주요 추천문헌 = 208
제7장 설명적 조사설계 = 211
 제1절 설명적 조사설계의 기본원리 = 211
  1. 인과적 설명을 위한 조사설계의 원리 = 211
  2. 실험설계의 구성요소 = 214
  3. J. S. Mill의 실험설계 기본논리 = 219
 제2절 진실험설계 = 226
  1. 기본적인 설계 = 228
  2. 복잡한 설계 = 231
  3. 사회실험과 그 사례 = 237
 제3절 준실험설계 = 240
  1. 인과적 추론이 비교적 가능한 준실험설계 = 241
  2. 인과적 추론이 어려운 준실험설계 = 251
 제4절 비실험설계 = 256
  1. 통계적 통계 = 256
  2. 인과모형에 의한 추론 = 258
 주요 추천문헌 = 264
제8장 기술적 조사설계 = 267
 제1절 기술적 조사연구의 개념 및 유형 = 267
  1. 기술적 조사연구의 개념과 특징 = 267
  2. 기술적 조사연구의 유형 = 268
  3. 기술적 조사설계의 유형 = 270
 제2절 횡단면적 조사설계 = 271
  1. 횡단면적 설계의 개념과 단계 = 271
  2. 횡단면적 조사의 유형 = 273
 제3절 내용분석의 설계 = 276
  1. 내용분석의 의미 = 276
  2. 내용분석의 절차와 방법 = 277
 제4절 미래예측 설계 = 283
  1. 미래의 유형과 미래예측의 방법 = 283
  2. 양적 방법에 의한 미래예측 = 285
  3. 질적 방법에 의한 미래예측 = 293
 주요 추천문헌 = 300
제9장 질적 연구의 조사설계 = 301
 제1절 질적 연구의 개념과 목적 = 301
  1. 질적 연구의 개념 = 301
  2. 질적 연구의 목적 = 302
 제2절 질적 연구의 방법 개관 = 302
  1. 문화기술적 방법 = 303
  2. 근거이론 = 303
  3. 사례연구 = 304
  4. 현상학적 연구 = 304
  5. 해석학 = 305
  6. 행위연구 = 306
 제3절 문화기술적 연구의 설계 = 307
  1.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의 의미와 특징 = 307
  2. 문화기술적 연구의 절차 = 308
  3. 행정연구에서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의 적용 = 310
 제4절 행위연구의 설계 = 310
  1. 행위연구의 개념 = 310
  2. 행위연구의 유형 = 311
  3. 행위연구의 절차 = 314
  4. 행정연구에서 행위연구의 적용 = 316
 제5절 근거이론연구의 설계 = 317
  1. 근거이론의 개념 = 317
  2. 근거이론 연구의 절차 = 317
  3. 행정연구에서 근거이론의 적용 = 320
 제6절 사례연구의 설계 = 321
  1. 사례연구의 개념 = 321
  2. 사례의 의미 = 322
  3. 사례연구의 특징 = 325
  4. 사례지향적 연구와 변수지향적 연구의 비교 = 326
  5. 사례연구의 유형 = 330
  6. 사례연구의 설계 = 334
  7. 행정연구에서 사례연구의 적용 = 339
 주요 추천문헌 = 340
제10장 개념과 측정 = 341
 제1절 서론 = 341
 제2절 개념, 구성개념 및 개념적 정의 = 344
  1. 개념 및 구성개념 = 344
  2. 개념적 정의 = 345
 제3절 변수와 조작적 정의 = 346
  1. 변수 = 346
  2. 조작적 정의 = 347
  3. 개념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의 사례 = 348
  4. 변수의 종류 = 353
 제4절 변수의 측정 = 356
  1. 측정의 개념 = 356
  2. 측정의 수준과 척도 = 358
 제5절 측정도구와 척도의 구성 = 363
  1. 측정도구 및 척도의 의미 및 필요성 = 363
  2. 척도구성의 기본전제 = 364
  3. 척도구성의 방법 = 366
  4. 척도분석의 방법 = 377
 제6절 지수와 정책지표 = 385
  1. 지수의 의미와 작성방법 = 385
  2. 사회지표와 정책지표 = 392
 주요 추천문헌 = 401
제11장 측정의 타당성과 신뢰성 = 403
 제1절 측정과 측정오차 = 403
  1. 측정오차의 개념 = 403
  2. 측정오차의 종류 : 체계적 오차와 무작위오차 = 404
 제2절 측정의 타당성 = 406
  1. 타당성의 개념 = 406
  2. 내용타당성과 평가방법 = 407
  3. 기준타당성과 평가방법 = 408
  4. 구성개념 타당성 = 410
 제3절 측정의 신뢰성 = 417
  1. 신뢰성의 개념과 차원 = 417
  2. 신뢰성의 추정방법 = 422
  3. 신뢰성의 제고방안 = 426
 주요 추천문헌 = 428
제12장 표본추출 및 표본설계 = 429
 제1절 표본추출의 의의 = 429
  1. 표본추출의 의의 = 429
  2. 표본조사의 이점 = 430
 제2절 표본추출의 기초개념 = 431
  1. 모집단 = 431
  2. 구성요소와 표본추출단위 = 432
  3. 표본추출의 프레임 = 433
  4. 표본추출비율 = 434
  5. 표본추출오차와 비표본추출오차 = 435
  6. 표본조사에서의 추론 = 435
 제3절 표본추출의 설계 = 438
  1. 표본추출설계의 의의 = 438
  2. 확률표본추출의 방법 = 439
  3. 비확률표본추출의 방법 = 448
 제4절 표본추출분포에 관한 이론 = 453
  1. 표본추출분포의 의미 = 453
  2. 표본평균의 표본추출분포 = 454
  3. 표본비율의 표본추출분포 = 459
 제5절 표본추출오차와 표본크기의 결정 = 460
  1. 표본추출오차와 비표본추출오차 = 460
  2. 표본크기의 신뢰수준에 따른 표본추출오차의 크기 = 461
  3. 적정표본크기의 결정 = 463
 주요 추천문헌 = 466
제13장 자료수집방법 = 467
 제1절 자료의 종류와 수집방법 = 467
  1. 자료의 종류 = 467
  2. 자료수집방법의 분류 = 469
 제2절 질문서와 서베이 조사방법 = 470
  1. 질문서법의 의의 = 470
  2. 질문서의 작성 = 471
  3. 질문서 적용방법 = 489
 제3절 관찰방법 = 499
  1. 관찰방법의 의의 = 499
  2. 관찰방법의 유형 = 500
  3. 관찰방법의 장점과 단점 = 502
 제4절 면접방법 = 503
  1. 면접방법의 의의 = 503
  2. 면접방법의 종류 = 504
  3. 초점집단면접 = 505
  4. 심층면접 = 507
 제5절 2차 자료 수집방법 = 507
  1. 2차 자료 수집의 의의 = 507
  2. 2차 자료의 유형 = 508
  3. 2차 자료의 원천 = 509
 제6절 자료수집방법의 선택기준 = 511
  1. 현지상황의 특성 = 512
  2. 자료수집방법의 타당도와 신뢰도 = 515
  3. 자료수집비용 = 516
 주요 추천문헌 = 517
제14장 자료분석방법 = 519
 제1절 통계적 자료분석의 기초 = 519
  1. 조사연구의 목적 : 기술 또는 설명 = 520
  2. 분석해야 할 변수의 수 = 520
  3. 변수측정의 수준 = 521
 제2절 단일변수의 기술통계 = 522
  1. 중앙경향값의 측정수단 = 523
  2. 산포도의 측정수단 = 525
  3. 분포형태의 측정수단 = 527
 제3절 두 변수간 연관성 분석 = 529
  1. 변수간 연관성 분석의 기초 = 529
  2. 명목변수간의 연관성 분석 = 531
  3. 서열변수간의 연관성 분석 = 537
  4. 등간 또는 비율변수간의 연관성 분석 = 539
 제4절 다변량분석 = 544
  1. 다변량통계분석기법의 분류 = 544
  2. 다변량분석기법 개관 = 547
 제5절 소시오메트리와 연결망분석 = 550
  1. 소시오메트리 = 550
  2. 연결망분석 = 556
 주요 추천문헌 = 559
제15장 통계적 가설검증 = 561
 제1절 통계적 가설검증의 의의 = 561
  1. 통계적 가설검증의 의미 = 561
  2. 통계적 유의성과 실제적 유의성 = 562
  3. 표본의 통계량과 모집단의 모수 = 563
 제2절 가설검증의 과정 = 567
  1. 가설의 설정 = 567
  2. 표본자료수집 및 검증방법의 결정 = 570
  3. 유의수준의 선택과 임계치의 결정 = 571
  4. 검증통계량의 계산 = 572
  5. 검증결과의 해석 = 573
  6. 가설검증의 오류 = 574
 제3절 독립변수의 상대적 영향력 검증 = 575
  1. 개관 = 575
  2. 상관분석 = 577
  3. 부분상관분석 = 578
  4. 다중회귀분석 = 580
  5. 경로분석 = 581
  6. 공분산구조분석 = 582
  7. 상대적 영향력 비교방법 적용사례 = 584
  8. 요약 = 591
 제4절 공분산구조모형 = 592
  1. 공분산구조분석의 개념과 대두배경 = 592
  2. 공분산구조모형의 분석절차 = 598
  3. 공분산구조모형의 활용분야와 한계 = 609
 주요 참고문헌 = 610
제16장 연구보고서 작성과 활용 = 613
 제1절 연구보고서의 유형과 구조 = 613
  1. 연구보고서의 목적 = 613
  2. 학술연구보고서의 구조 = 614
  3. 정책분석보고서의 특징과 구조 = 620
 제2절 연구결과의 활용 = 622
  1. 연구결과의 활용과정 = 622
  2. 연구결과의 활용유형 = 623
  3. 연구결과 활용의 증진방안 = 625
 주요 추천문헌 = 628
부록 = 631
참고문헌 = 663
사항색인 = 681
인명색인 = 690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