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첫째마당 - 우리 음악의 멋과 정신
Ⅰ. 아악에 나타난 중용의 정서 = 15
Ⅱ. 정악에 나타난 선비정신 = 19
Ⅲ. 민속음악에 나타난 한(恨)의 정서 = 28
Ⅳ. 제례음악에 나타난 음양오행 사상 = 35
Ⅴ. 무속음악에 나타난 신명의 정서 = 39
Ⅵ. 한국음악의 특징론 = 46
1. 장사훈 견해 = 46
2. 김영운 견해 = 47
3. 이혜구 견해 = 47
4. 성경린 견해 = 47
5. 한만영 견해 = 47
6. 커트 작스(Curt Sachs) 견해 = 48
7. 황병기 견해 = 48
8. 송방송 견해 = 48
9. 최종민 견해 = 48
10. 이보형 견해(농악) = 49
11. 한명희 견해 = 49
Ⅶ. 한국 전통음악의 상징성 = 51
Ⅷ. 기타① - 한국 전통미술의 미 = 53
1. 한국 전통미술사학계의 미학적 견해 = 53
2. 전통미술작품을 통해서 본 미의식 = 55
Ⅸ. 기타② - 한국 전통건축의 미 = 57
고건축을 통해서 본 미학적 견해 = 57
둘째마당 - 기초이론
Ⅰ. 국악이론 = 61
1. 12율(律) = 61
2. 음명 및 계명 = 62
3. 음높이(音高) = 63
4. 음계와 조 = 64
5. 종지법(終止法) = 67
6. 반음 사용 = 68
7. 조표 사용 및 이조(移調) = 68
8. 정간보 = 69
9. 장단 = 70
10. 형식 = 76
11. 발성 및 시김새 = 81
Ⅱ. 국악의 분류 = 88
Ⅲ. 국악사의 시대 구분 = 89
1. 송방송, 「한국음악통사」 = 89
2. 장사훈, 「증보 한국음악사」 = 89
3. 이성천, 「국악사」 = 89
4. 이혜구, 「한국사」한국의 음악 = 90
5. 국사 교과서, 국악교육내용통일안 = 90
6. 리차윤, 「조선음악사」 = 90
7. 노동은, 「한국근대음악사1」 = 91
화보로 보는 국악기 = 93
셋째마당 : 악기론
Ⅰ. 악기 분류 방법 = 111
1. 음악의 계통에 의한 방법 = 111
2. 악기를 만드는 재료에 따른 분류 방법 = 112
3. 연주 방법상 그 특징적 성능에 따른 분류 = 113
Ⅱ. 악기 해설 = 114
1. 현악기(絃樂器, 14종) = 114
2. 관악기(管樂器, 18종) = 121
3. 타악기(打樂器, 35종) = 128
4. 근래에 만들어진 악기 = 135
Ⅲ. 악기 편성(연주 형태) = 135
1. 관현악 편성 = 135
2. 관악 합주 편성 = 136
3. 줄풍류 편성 = 136
4. 세악 편성 = 136
5. 대풍류 편성 = 136
6. 삼현육각 = 137
7. 병주 = 137
8. 병창 = 137
9. 삼현삼죽 = 137
10. 대취타 편성 = 137
넷째마당 - 악곡론
Ⅰ. 정악 = 141
1. 정악의 역사상 분류 = 141
2. 악곡해설 = 142
1) 영산회상(靈山會相) = 142
2) 평조회상(平調會相) = 144
3) 관악영산회상(管樂靈山會相) = 144
4) 여민락(與民樂) = 145
5) 여민락만(與民樂慢) = 147
6) 본령(本令) = 147
7) 해령(解令) = 147
8) 보허자(步虛子) = 147
9) 낙양춘(洛陽春) = 151
10) 정읍(井邑) = 151
11) 동동(動動) = 152
12) 도드리(尾換入) = 152
13) 세환입(細還入) = 152
14) 계면(界面)·양청(兩淸)·우조가락도드리(羽調加樂換入) = 155
15) 자진한잎(數大葉) = 155
16) 정동방곡(靖東方曲), 유황곡(維皇曲) = 156
17) 취타(吹打), 대취타(大吹打) = 156
18) 절화(折花) = 158
19) 길타령 = 158
20) 금전악(金殿樂) = 159
21) 군악(軍樂) = 159
22) 제례악(祭禮樂) = 159
23) 가곡(歌曲) = 164
24) 가사(歌詞) = 167
25) 시조(時調) = 167
Ⅱ. 민속악 = 168
1. 판소리 = 168
1) 판소리의 조(調) = 169
2) 판소리의 장단 = 170
3) 판소리의 유파(流派) = 170
4) 판소리 열두 마당과 다섯 마당 = 171
2. 단가·창극·가야금 병창 = 172
1) 단가 = 172
2) 창극 = 172
3) 가야금병창 = 172
3. 민요 = 173
1) 경기민요 = 174
2) 남도민요 = 174
3) 서도민요 = 175
4) 동부민요 = 175
5) 제주민요 = 175
4. 잡가 = 176
1) 경기 12잡가 = 176
2) 휘모리잡가 = 176
3) 서도잡가 = 177
4) 산타령 = 177
5) 남도입창 = 178
5. 시나위와 산조 = 178
1) 시나위 = 178
2) 산조 = 179
6. 무속음악 = 180
1) 경기무악 = 180
2) 남도무악 = 181
3) 동부무악 = 181
4) 서도무악 = 182
5) 제주무악 = 182
7. 농악 = 183
1) 풍물의 편성과 역할 = 184
2) 웃다리농악 = 185
3) 영동농악 = 185
4) 영남농악 = 186
5) 호남우도농악 = 186
6) 호남좌도농악 = 187
7) 사물놀이 = 188
8. 범패 = 189
1) 재(齋)의 종류 = 189
2) 안채비소리 = 190
3) 홋소리 = 190
4) 짓소리 = 190
5) 화청과 회심곡 = 191
6) 작법 = 191
다섯째마당 - 국악작곡의 실습과 분석
Ⅰ. 국악작곡의 실습과 분석 = 195
1. 국악작곡의 실습 = 195
1) 성악 작곡 실습 = 195
2) 기악 작곡 실습 = 197
Ⅱ. 창작국악곡의 분석 = 201
1. 관현악곡 = 202
1) 16개의 타악기를 위한 시나위 / 이상규 작곡 = 202
2) 두레사리 / 이해식 작곡 = 203
3) 매 굿 / 김영동 작곡 = 206
4) 멍멍개야 짖지마라 / 전인평 작곡 = 209
5) 송광복 / 김기수 작곡 = 210
6) 타령 주제에 의한 합부곡 5번 / 이성천 작곡 = 213
7) 합주곡 1번 / 김희조 작곡 = 215
8) 합주곡 4번 / 김용진 작곡 = 217
9) 모란이 피기까지는 / 황의종 작곡 = 220
2. 협주곡 = 220
1) 가야금 협주곡 1번 / 이강덕 작곡 = 220
2) 수리재 / 정대석 작곡 = 222
3) 대바람 소리 / 이상규 작곡 = 224
4) 메나리조 주제에 의한 피리 협주곡 / 이강덕 작곡 = 225
5) 사물놀이와 국악 관현악을 위한 "신모듬" / 박범훈 작곡 = 227
6) 수나뷔 / 이상규 작곡 = 229
3. 실내악 = 232
1) 3대의 가야금을 위한 세 개의 변주곡 : "상주 모심기 노래" / 백대웅 작곡 = 232
2) 어린 시절 / 김요섭 작곡 = 233
3) 쥐구멍에 볕들었어도 / 이성천 작곡 = 235
4) 회혼례를 위한 시나위 / 백대웅 작곡 = 236
4. 독주곡 = 237
1) 놀이터 / 이성천 작곡 = 237
2) 침향무(沈香舞) / 황병기 작곡 = 239
3) 일출 / 정대석 작곡 = 241
4) 적념 / 김영재 작곡 = 242
여섯째마당 - 음악사와 음악가
Ⅰ. 상고시대의 약속 = 247
Ⅱ. 삼국시대의 음악 = 248
1. 고구려의 음악 = 248
2. 백제의 음악 = 249
3. 신라의 음악 = 251
Ⅲ. 통일신라의 음악 = 252
1. 삼현삼죽 = 252
2. 향악과 당악 = 253
3. 불교음악 = 254
Ⅳ. 고려시대의 음악 = 255
1. 연등회와 팔관회 = 256
2. 향악 = 257
3. 당악 = 257
4. 아악 = 258
5. 고취악 = 260
6. 장악기관 = 261
Ⅴ. 조선 전기의 음악 = 262
1. 장악기관 = 262
2. 아악 = 267
3. 당악 = 271
4. 향악 = 272
5. 악서와 기보법 = 277
Ⅵ. 조선 후기의 음악 = 281
1. 아악 = 281
2. 당악 = 282
3. 향악 = 283
4. 정악 = 285
5. 판소리 = 288
Ⅶ. 근대의 음악 = 290
1. 장악원 = 291
2. 조양구락부(朝陽俱樂部) = 291
3. 판소리와 산조 = 292
4. 창극과 협률사 = 292
5. 양악의 수용 = 293
Ⅷ. 한국음악사 연대표 = 295
Ⅸ. 우리나라 음악가 = 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