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ume. 3]----------
목차
제3판 서문 = 5
서문 = 6
제3기 로마 제국과 결합한 교회 : 대 콘스탄티누스부터 대 그레고리우스까지 A.D. 311 - 590
1. 서론과 개관 = 19
제1장 로마 제국에서 이교가 몰락하고 기독교가 승리를 거두다 = 25
2. 콘스탄티누스 대제(306-337) = 25
3. 콘스탄티누스의 아들들(337-361) = 47
4. 배교자 율리아누스와 이교의 반발(361-363) = 49
5. 요비아누스부터 테오도시우스까지(363-392) = 65
6. 테오도시우스 대제와 그의 계승자들(392-550) = 68
7. 이교의 몰락 = 72
제2장 기독교가 문학에서 그리스와 로마의 이교에 거둔 승리 = 76
8. 이교 논쟁들. 새로운 반론들 = 76
9. 율리아누스가 기독교에 가한 공격 = 78
10. 이교의 변증 문학 = 83
11. 기독교 변증가들과 논쟁가들 = 84
12.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 살비아누스 = 87
제3장 교회와 국가의 동맹과 그것이 사회 도덕과 종교에 끼친 영향 = 92
13. 교회가 제국에서 얻게 된 새로운 지위 = 92
14. 교회의 권리와 특권. 세속적 이점들 = 96
15. 성직자들에 대한 지원 = 100
16. 주교의 사법권과 중재권 = 102
17. 주일(主日)의 법적 승인 = 105
18. 기독교가 입법에 끼친 영향. 유스티니아누스 법전 = 107
19. 여성과 가정의 지위 상승 = 111
20. 사회 개혁. 노예제도 = 114
21. 검투 경기 폐지 = 121
22. 교회와 국가의 연합이 끼친 해악. 교회의 세속화 = 123
23. 세속성과 사치 = 125
24. 비잔틴 황실 기독교 = 127
25. 정치가 종교에 개입함 = 129
26. 황제교황제와 성직위계제도 = 130
27. 종교 자유의 제한과 이단 박해의 시작 = 135
제4장 수도원주의의 발생과 발전 = 142
28. 기독교 수도원주의의 기원. 다른 금욕주의 형태들과의 비교 = 142
29. 수도원주의의 발달 = 148
30. 수도원주의의 본질과 목표 = 151
31. 수도원주의와 성경 = 153
32. 수도원 생활의 빛과 그림자 = 155
33. 교회에서 수사들이 차지한 위치 = 165
34. 수도원주의가 끼친 영향과 결과 = 166
35. 테베의 파울루스와 성 안토니우스 = 171
36. 은둔 수도의 확산. 힐라리온 = 180
37. 성 시므온과 주상 성인들 = 183
38. 파코미우스와 수도원 생활 = 187
39. 동방의 광신적이고 이단적인 수도원 집단들 = 191
40. 서방의 수도원주의 = 192
41. 수사로서의 성 제롬 = 197
42. 성 파울라 = 205
43. 누르시아의 베네딕투스 = 207
44. 성 베네딕투스의 수도회칙 = 209
45. 베네딕투스회. 카시오도루스 = 213
46. 수도원주의에 대한 반발. 요비아누스 = 215
47. 헬비디우스, 비길란티우스, 아이리우스 = 219
제5장 성직위계제도와 교회 정치 = 223
48. 성직자들의 학교 = 223
49. 성직자와 평신도. 선출 = 227
50. 성직자들의 결혼과 독신 = 230
51. 성직자 사회의 전반적인 도덕 상태 = 237
52. 하위 성직자들 = 243
53. 주교 = 248
54. 성직 위계제도의 조직 : 시골 주교들과 도시 주교들, 수도대주교들 = 252
55. 총대주교 = 256
56. 총대주교의 권한과 관할권에 관한 교회회의들의 입법 = 258
57. 옛 로마와 새 로마의 경쟁적 총대주교들 = 268
58. 라틴 총대주교 = 272
59. 라틴 총대주교직에 관한 투쟁과 대결 = 276
60. 교황제 = 282
61. 교부들의 견해 = 284
62. 공의회들이 규정한 교황의 권한 = 291
63. 대 레오(440-461) = 294
64. 레오 1세에서 그레고리우스 1세에 이르기까지의 교황제(461-590) = 302
65. 공의회 제도. 에큐메니컬 공의회들 = 309
66. 고대 교회의 에큐메니컬 공의회 목록 = 323
67. 교회법 저서들 = 328
제6장 교회의 권징과 분열들 = 330
68. 권징의 쇠퇴 = 330
69. 도나투스파 분열. 외적인 역사 = 333
70. 아우구스티누스와 도나투스파. 그들의 박해와 소멸 = 336
71. 도나투스파 분열의 내면적 역사. 교회론 = 338
72. 다마수스와 우르시누스에 의한 로마 교회의 분열 = 343
73. 안디옥에서 발생한 멜레티우스 분열 = 344
제7장 공예배와 종교 관습, 의식 = 347
74. 예배에 발생한 큰 변화 = 347
75. 공휴일로서의 일요일과 주일로서의 일요일 = 349
76. 교회력 = 356
77. 성탄절 주기 = 363
78. 부활절 주기 = 368
79. 부활절 날짜 = 372
80. 오순절 주기 = 374
81. 동정녀의 승귀(昇貴). 마리아론 = 376
82. 마리아 숭배 = 386
83. 마리아 축일들 = 389
84.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숭배 = 392
85. 성인들의 축일들 = 405
86. 교회력. 성인들의 전설. 성인전 = 407
87. 성유물 숭배. 부활 교리. 성유물들의 기적 = 411
88. 니케아 시대의 기적들 = 421
89. 행렬과 순례 = 425
90. 주일의 공예배. 성경 낭독과 설교 = 428
91. 성례 일반 = 432
92. 세례 = 438
93. 견신례(堅信禮) = 444
94. 성직 임명식 = 445
95. 성례로서의 성찬 = 447
96. 제사로서의 성찬 = 456
97. 성찬 집례 = 463
98. 전례들. 그 기원과 내용 = 468
99. 동방 교회의 전례들 = 474
100. 서방 교회의 전례들 = 478
101. 전례용 의복 = 481
제8장 기독교 예술 = 484
102. 종교와 예술 = 484
103. 교회 건축 = 486
104. 교회당 헌당식 = 488
105. 교회당 내부 배치 = 490
106. 건축 양식. 바실리카 = 494
107. 비잔틴 양식 = 497
108. 세례당. 묘지 예배당과 지하묘지 = 499
109. 십자가상과 수난상 = 501
110. 그리스도의 형상 = 503
111. 성모와 성인들의 형상 = 510
112. 봉헌된 예물들 = 513
113. 교회의 시와 음악 = 514
114. 동방 교회의 시 = 516
115. 라틴 찬송 = 522
116. 라틴 시와 찬송 = 526
제9장 신학 논쟁들, 보편적 정통신앙의 발전 = 536
117. 개관. 이 시기의 교리적 중요성, 고대 철학의 영향 = 536
118. 신학의 원자료들. 성경과 전승 = 540
Ⅰ. 삼위일체 논쟁
119. 니케아 공의회까지의 아리우스 논쟁(318-325) = 549
120. 니케아 공의회(325) = 552
121. 아리우스파와 반(半)아리우스파의 반격(325-361) = 560
122. 정통신앙 진영의 최후 승리와 콘스탄티노플 공의회(381) = 565
123. 쟁점이 된 신학적 원리들 : 논쟁의 취지 = 568
124. 아리우스주의 = 571
125. 반(半)아리우스주의 = 575
126. 되살아난 사벨리우스주의. 마르켈루스와 포티누스 = 576
127. 성자가 성부와 동일본질이라고 정의한 니케아 교리 = 579
128. 성령에 관한 교리 = 585
129.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 = 588
130. 니케아의 삼위일체 교리. 삼위일체 용어 체계 = 590
131. 아우구스티누스의 니케아 이후 삼위일체 교리 = 598
132. 아타나시우스 신조 = 601
Ⅱ. 오리게네스 논쟁들
133. 팔레스타인에서 발생한 오리게네스 논쟁. 에피파니우스, 루피우스, 제롬(394-399) = 608
134. 이집트와 콘스탄티노플에서 발생한 오리게네스 논쟁. 데오필루스와 크리소스토무스(399-407) = 612
Ⅲ. 그리스도론 논쟁들
135. 개관. 알렉산드리아 학파와 안디옥 학파 = 615
136. 아폴리나리우스 이단(362-381) = 617
137. 네스토리우스 논쟁(428-431) = 622
138. 에베소 에큐메니컬 공의회(431). 타협 = 629
139. 네스토리우스파 = 635
140. 유티케스 논쟁. 강도들의 공의회(449) = 637
141. 칼케돈 에큐메니컬 공의회(451) = 642
142. 정통 그리스도론 - 분석과 비평 = 649
143. 단성론 논쟁들 = 659
144. 삼장(三章)과 제5차 에큐메니컬 공의회(553) = 664
145. 단성론 분파들 = 668
Ⅳ. 인간론 논쟁들
146. 펠라기우스 논쟁의 성격 = 677
147. 펠라기우스 논쟁의 외부 역사(411-431) = 681
148. 팔레스타인에서 벌어진 펠라기우스 논쟁 = 685
149. 로마 교회의 입장. 펠라기우스주의에 대한 단죄 = 687
150. 펠라기우스 사상 : 인간의 시원적(始原的) 상태와 자유 : 타락 = 692
151. 계속 살아남은 펠라기우스 사상 : 인간의 능력과 하나님의 은혜에 관한 교의 = 698
152. 아우구스티누스의 체계 : 인간의 시원적 상태와 자유 의지 = 703
153. 아우구스티누스의 체계 : 타락과 그 결과 = 709
154. 아우구스티누스의 체계 : 원죄, 인간 영혼의 기원 = 714
155. 원죄와 유전적 죄책 교리를 위한 논증들 = 717
156. 펠라기우스의 반박에 대한 답변 = 720
157. 아우구스티누스의 구속 은혜 교리 = 725
158. 예정론 = 732
159. 반(半)펠라기우스주의 = 737
160. 반(半)아우구스티누스주의의 승리. 오랑주 공의회(529) = 743
제10장 교부들과 신학 저서들 = 748
Ⅰ. 그리스 교부들
161. 가이사랴의 에우세비우스 = 748
162. 에우세비우스 이후의 교회사가들 = 754
163. 대 아타나시우스 = 758
164. 대 바실리우스 = 765
165. 니사의 그레고리우스 = 774
166.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 = 778
167. 알렉산드리아의 디디무스 = 789
168. 예루살렘의 키릴루스 = 791
169. 에피파니우스 = 792
170. 요한 크리소스토무스 = 797
171.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루스 = 804
172. 시리아인 에프라임 = 809
Ⅱ. 라틴 교부들
173. 락탄티우스 = 812
174. 푸아티에의 힐라리우스 = 815
175. 암브로시우스 = 817
176. 제롬 - 성직자와 학자로서 = 821
177. 제롬의 저서들 = 825
178. 아우구스티누스 = 835
179.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서 = 844
180. 아우구스티누스가 후대에 끼친 영향과 그와 가톨릭 사상과 개신교 사상의 관계 = 8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