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회사 전집 . 3 : 니케아 시대와 이후의 기독교

교회사 전집 . 3 : 니케아 시대와 이후의 기독교 (1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Schaff, Philip (1819-1893) 이길상
서명 / 저자사항
교회사 전집 . 3 , 니케아 시대와 이후의 기독교 / 필립 샤프 / 이길상 옮김.
발행사항
고양 :   크리스챤다이제스트 ,   2004.  
형태사항
863 p ; 23 cm.
원표제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ISBN
8944704139
000 00653namccc200217 4500
001 000001101608
005 20100806012240
007 ta
008 040728s2004 ggk 000a kor
020 ▼a 8944704139 ▼g 94230: ▼c \25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44002
041 1 ▼a kor ▼h eng
082 0 4 ▼a 270 ▼2 21
090 ▼a 270 ▼b 2004 ▼c 3
100 1 ▼a Schaff, Philip (1819-1893)
245 1 0 ▼a 교회사 전집 . ▼n 3 , ▼p 니케아 시대와 이후의 기독교 / ▼d 필립 샤프 / 이길상 옮김.
246 1 9 ▼a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260 ▼a 고양 : ▼b 크리스챤다이제스트 , ▼c 2004.
300 ▼a 863 p ; ▼c 23 cm.
700 1 ▼a 이길상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270 2004 3 등록번호 11129200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270 2004 3 등록번호 1512365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270 2004 3 등록번호 11129200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270 2004 3 등록번호 1512365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필립 샤프(지은이)

성서신학자, 교회사가, 선구적인 세계교회일치운동가, 스위스에서 목수의 아들로 태어나 장학금으로 공부하였다. 독일 슈투트가르트 김나지움을 졸업한 뒤 튀빙겐 대학교에 들어가 바우어 밑에서 공부하였다. 훗날 할레대학교와 베를린대학교에 들어가 톨룩, 헹스텐베르크, 네안더와 함께 공부하였다. 그는 1844년에 미국 펜실베니아 주 머서즈버그에 있는 독일 개혁교회 신학교의 교회사 및 성서학 교수로 초빙을 받았다. 그는 취임 강의를 엮어 만든 [프로테스탄트 신앙의 원칙](1844)에서 기독교 교회사를 프로테스탄트 신앙과 로마 가톨릭 신앙이 연합하여 새로운 복음주의적 가톨릭 신앙으로 나아가는 신적인 발전 과정으로 보았다. 이 강의로 이단이라는 비판을 받았으나, 훗날 그러한 비판에서 풀려났다. 그 신학교에 있으면서 네빈과 함께 머서즈버그 신학을 형성하였다. 1870년부터 죽을 때까지 뉴욕 유니온신학교 교수를 지냈다. 1866년부터 복음주의 연맹에서 일하는 가운데 기독교의 일치를 위해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 1888년 미국교회사협회를 설립하였고, 이 협회의 초대 회장을 지냈다.

이길상(옮긴이)

총신대학교 신학과와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을 졸업하였다. 오랫동안 전문번역가로 활동하였다. 특히 교회사 분야에 탁월한 번역 능력을 인정받아, 필립 샤프의 『교회사 전집 1-6』, 롤란드 베인턴의 『세계 교회사』,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기독교 부분 등을 번역하였다. 현재는 목회 사역 중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Volume. 3]----------
목차
제3판 서문 = 5
서문 = 6
제3기 로마 제국과 결합한 교회 : 대 콘스탄티누스부터 대 그레고리우스까지 A.D. 311 - 590
 1. 서론과 개관 = 19
 제1장 로마 제국에서 이교가 몰락하고 기독교가 승리를 거두다 = 25
  2. 콘스탄티누스 대제(306-337) = 25
  3. 콘스탄티누스의 아들들(337-361) = 47
  4. 배교자 율리아누스와 이교의 반발(361-363) = 49
  5. 요비아누스부터 테오도시우스까지(363-392) = 65
  6. 테오도시우스 대제와 그의 계승자들(392-550) = 68
  7. 이교의 몰락 = 72
 제2장 기독교가 문학에서 그리스와 로마의 이교에 거둔 승리 = 76
  8. 이교 논쟁들. 새로운 반론들 = 76
  9. 율리아누스가 기독교에 가한 공격 = 78
  10. 이교의 변증 문학 = 83
  11. 기독교 변증가들과 논쟁가들 = 84
  12.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 살비아누스 = 87
 제3장 교회와 국가의 동맹과 그것이 사회 도덕과 종교에 끼친 영향 = 92
  13. 교회가 제국에서 얻게 된 새로운 지위 = 92
  14. 교회의 권리와 특권. 세속적 이점들 = 96
  15. 성직자들에 대한 지원 = 100
  16. 주교의 사법권과 중재권 = 102
  17. 주일(主日)의 법적 승인 = 105
  18. 기독교가 입법에 끼친 영향. 유스티니아누스 법전 = 107
  19. 여성과 가정의 지위 상승 = 111
  20. 사회 개혁. 노예제도 = 114
  21. 검투 경기 폐지 = 121
  22. 교회와 국가의 연합이 끼친 해악. 교회의 세속화 = 123
  23. 세속성과 사치 = 125
  24. 비잔틴 황실 기독교 = 127
  25. 정치가 종교에 개입함 = 129
  26. 황제교황제와 성직위계제도 = 130
  27. 종교 자유의 제한과 이단 박해의 시작 = 135
 제4장 수도원주의의 발생과 발전 = 142
  28. 기독교 수도원주의의 기원. 다른 금욕주의 형태들과의 비교 = 142
  29. 수도원주의의 발달 = 148
  30. 수도원주의의 본질과 목표 = 151
  31. 수도원주의와 성경 = 153
  32. 수도원 생활의 빛과 그림자 = 155
  33. 교회에서 수사들이 차지한 위치 = 165
  34. 수도원주의가 끼친 영향과 결과 = 166
  35. 테베의 파울루스와 성 안토니우스 = 171
  36. 은둔 수도의 확산. 힐라리온 = 180
  37. 성 시므온과 주상 성인들 = 183
  38. 파코미우스와 수도원 생활 = 187
  39. 동방의 광신적이고 이단적인 수도원 집단들 = 191
  40. 서방의 수도원주의 = 192
  41. 수사로서의 성 제롬 = 197
  42. 성 파울라 = 205
  43. 누르시아의 베네딕투스 = 207
  44. 성 베네딕투스의 수도회칙 = 209
  45. 베네딕투스회. 카시오도루스 = 213
  46. 수도원주의에 대한 반발. 요비아누스 = 215
  47. 헬비디우스, 비길란티우스, 아이리우스 = 219
 제5장 성직위계제도와 교회 정치 = 223
  48. 성직자들의 학교 = 223
  49. 성직자와 평신도. 선출 = 227
  50. 성직자들의 결혼과 독신 = 230
  51. 성직자 사회의 전반적인 도덕 상태 = 237
  52. 하위 성직자들 = 243
  53. 주교 = 248
  54. 성직 위계제도의 조직 : 시골 주교들과 도시 주교들, 수도대주교들 = 252
  55. 총대주교 = 256
  56. 총대주교의 권한과 관할권에 관한 교회회의들의 입법 = 258
  57. 옛 로마와 새 로마의 경쟁적 총대주교들 = 268
  58. 라틴 총대주교 = 272
  59. 라틴 총대주교직에 관한 투쟁과 대결 = 276
  60. 교황제 = 282
  61. 교부들의 견해 = 284
  62. 공의회들이 규정한 교황의 권한 = 291
  63. 대 레오(440-461) = 294
  64. 레오 1세에서 그레고리우스 1세에 이르기까지의 교황제(461-590) = 302
  65. 공의회 제도. 에큐메니컬 공의회들 = 309
  66. 고대 교회의 에큐메니컬 공의회 목록 = 323
  67. 교회법 저서들 = 328
 제6장 교회의 권징과 분열들 = 330
  68. 권징의 쇠퇴 = 330
  69. 도나투스파 분열. 외적인 역사 = 333
  70. 아우구스티누스와 도나투스파. 그들의 박해와 소멸 = 336
  71. 도나투스파 분열의 내면적 역사. 교회론 = 338
  72. 다마수스와 우르시누스에 의한 로마 교회의 분열 = 343
  73. 안디옥에서 발생한 멜레티우스 분열 = 344
 제7장 공예배와 종교 관습, 의식 = 347
  74. 예배에 발생한 큰 변화 = 347
  75. 공휴일로서의 일요일과 주일로서의 일요일 = 349
  76. 교회력 = 356
  77. 성탄절 주기 = 363
  78. 부활절 주기 = 368
  79. 부활절 날짜 = 372
  80. 오순절 주기 = 374
  81. 동정녀의 승귀(昇貴). 마리아론 = 376
  82. 마리아 숭배 = 386
  83. 마리아 축일들 = 389
  84.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숭배 = 392
  85. 성인들의 축일들 = 405
  86. 교회력. 성인들의 전설. 성인전 = 407
  87. 성유물 숭배. 부활 교리. 성유물들의 기적 = 411
  88. 니케아 시대의 기적들 = 421
  89. 행렬과 순례 = 425
  90. 주일의 공예배. 성경 낭독과 설교 = 428
  91. 성례 일반 = 432
  92. 세례 = 438
  93. 견신례(堅信禮) = 444
  94. 성직 임명식 = 445
  95. 성례로서의 성찬 = 447
  96. 제사로서의 성찬 = 456
  97. 성찬 집례 = 463
  98. 전례들. 그 기원과 내용 = 468
  99. 동방 교회의 전례들 = 474
  100. 서방 교회의 전례들 = 478
  101. 전례용 의복 = 481
 제8장 기독교 예술 = 484
  102. 종교와 예술 = 484
  103. 교회 건축 = 486
  104. 교회당 헌당식 = 488
  105. 교회당 내부 배치 = 490
  106. 건축 양식. 바실리카 = 494
  107. 비잔틴 양식 = 497
  108. 세례당. 묘지 예배당과 지하묘지 = 499
  109. 십자가상과 수난상 = 501
  110. 그리스도의 형상 = 503
  111. 성모와 성인들의 형상 = 510
  112. 봉헌된 예물들 = 513
  113. 교회의 시와 음악 = 514
  114. 동방 교회의 시 = 516
  115. 라틴 찬송 = 522
  116. 라틴 시와 찬송 = 526
 제9장 신학 논쟁들, 보편적 정통신앙의 발전 = 536
  117. 개관. 이 시기의 교리적 중요성, 고대 철학의 영향 = 536
  118. 신학의 원자료들. 성경과 전승 = 540
  Ⅰ. 삼위일체 논쟁
   119. 니케아 공의회까지의 아리우스 논쟁(318-325) = 549
   120. 니케아 공의회(325) = 552
   121. 아리우스파와 반(半)아리우스파의 반격(325-361) = 560
   122. 정통신앙 진영의 최후 승리와 콘스탄티노플 공의회(381) = 565
   123. 쟁점이 된 신학적 원리들 : 논쟁의 취지 = 568
   124. 아리우스주의 = 571
   125. 반(半)아리우스주의 = 575
   126. 되살아난 사벨리우스주의. 마르켈루스와 포티누스 = 576
   127. 성자가 성부와 동일본질이라고 정의한 니케아 교리 = 579
   128. 성령에 관한 교리 = 585
   129.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 = 588
   130. 니케아의 삼위일체 교리. 삼위일체 용어 체계 = 590
   131. 아우구스티누스의 니케아 이후 삼위일체 교리 = 598
   132. 아타나시우스 신조 = 601
  Ⅱ. 오리게네스 논쟁들
   133. 팔레스타인에서 발생한 오리게네스 논쟁. 에피파니우스, 루피우스, 제롬(394-399) = 608
   134. 이집트와 콘스탄티노플에서 발생한 오리게네스 논쟁. 데오필루스와 크리소스토무스(399-407) = 612
  Ⅲ. 그리스도론 논쟁들
   135. 개관. 알렉산드리아 학파와 안디옥 학파 = 615
   136. 아폴리나리우스 이단(362-381) = 617
   137. 네스토리우스 논쟁(428-431) = 622
   138. 에베소 에큐메니컬 공의회(431). 타협 = 629
   139. 네스토리우스파 = 635
   140. 유티케스 논쟁. 강도들의 공의회(449) = 637
   141. 칼케돈 에큐메니컬 공의회(451) = 642
   142. 정통 그리스도론 - 분석과 비평 = 649
   143. 단성론 논쟁들 = 659
   144. 삼장(三章)과 제5차 에큐메니컬 공의회(553) = 664
   145. 단성론 분파들 = 668
  Ⅳ. 인간론 논쟁들
   146. 펠라기우스 논쟁의 성격 = 677
   147. 펠라기우스 논쟁의 외부 역사(411-431) = 681
   148. 팔레스타인에서 벌어진 펠라기우스 논쟁 = 685
   149. 로마 교회의 입장. 펠라기우스주의에 대한 단죄 = 687
   150. 펠라기우스 사상 : 인간의 시원적(始原的) 상태와 자유 : 타락 = 692
   151. 계속 살아남은 펠라기우스 사상 : 인간의 능력과 하나님의 은혜에 관한 교의 = 698
   152. 아우구스티누스의 체계 : 인간의 시원적 상태와 자유 의지 = 703
   153. 아우구스티누스의 체계 : 타락과 그 결과 = 709
   154. 아우구스티누스의 체계 : 원죄, 인간 영혼의 기원 = 714
   155. 원죄와 유전적 죄책 교리를 위한 논증들 = 717
   156. 펠라기우스의 반박에 대한 답변 = 720
   157. 아우구스티누스의 구속 은혜 교리 = 725
   158. 예정론 = 732
   159. 반(半)펠라기우스주의 = 737
   160. 반(半)아우구스티누스주의의 승리. 오랑주 공의회(529) = 743
 제10장 교부들과 신학 저서들 = 748
  Ⅰ. 그리스 교부들
   161. 가이사랴의 에우세비우스 = 748
   162. 에우세비우스 이후의 교회사가들 = 754
   163. 대 아타나시우스 = 758
   164. 대 바실리우스 = 765
   165. 니사의 그레고리우스 = 774
   166.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 = 778
   167. 알렉산드리아의 디디무스 = 789
   168. 예루살렘의 키릴루스 = 791
   169. 에피파니우스 = 792
   170. 요한 크리소스토무스 = 797
   171.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루스 = 804
   172. 시리아인 에프라임 = 809
  Ⅱ. 라틴 교부들
   173. 락탄티우스 = 812
   174. 푸아티에의 힐라리우스 = 815
   175. 암브로시우스 = 817
   176. 제롬 - 성직자와 학자로서 = 821
   177. 제롬의 저서들 = 825
   178. 아우구스티누스 = 835
   179.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서 = 844
   180. 아우구스티누스가 후대에 끼친 영향과 그와 가톨릭 사상과 개신교 사상의 관계 = 85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