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93namccc200205 k 4500 | |
001 | 000001100796 | |
005 | 20100806010351 | |
007 | ta | |
008 | 040721s2004 ulka 001a kor | |
020 | ▼a 8971102594 ▼g 93340: ▼c \20,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44002 | |
082 | 0 4 | ▼a 341.2 ▼2 21 |
090 | ▼a 341.2 ▼b 2004 | |
100 | 1 | ▼a 서창록 |
245 | 1 0 | ▼a 국제기구: ▼b 글로벌 거버넌스의 정치학/ ▼d 서창록 [지음]. |
260 | ▼a 서울 : ▼b 다산 , ▼c 2004. | |
300 | ▼a 385 p. : ▼b 삽도 ; ▼c 25 cm. | |
500 | ▼a 부록 : 유엔헌장 수록 | |
504 | ▼a 참고문헌(p.365-374)과 색인수록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41.2 2004 | 등록번호 12110097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41.2 2004 | 등록번호 15115540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41.2 2004 | 등록번호 15115540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41.2 2004 | 등록번호 12110097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41.2 2004 | 등록번호 15115540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41.2 2004 | 등록번호 15115540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서창록(지은이)
고려대학교 교수, 유엔 자유권위원회 위원 1989년 미국 유학 시절, 인턴으로 4개월간 제네바의 유엔본부에서 일하며 국제기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2014년, 유엔인권이사회 자문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며 청년 시절의 꿈을 뒤늦게 이루었으며, 2020년에 한국인 최초의 유엔 시민적·정치적권리위원회(자유권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어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최근 주요 관심사는 신기술이 인권에 미치는 영향과 지역인권보호체제 증진방안으로 이와 관련한 주제의 보고서를 작성해 유엔인권이사회에 제출한 바 있다. 인권학자로서 다양한 직책을 거쳤지만, 무엇보다 인권활동가로서의 역할을 가장 소중하게 생각한다. 1990년대 중반에 북한인권 활동을 하다 아시아 지역으로 시야를 넓히게 되었고, 이에 2000년대 중반 인권NGO 휴먼아시아를 설립했다. 현재까지 아시아의 이주노동자, 난민의 보호와 인신매매, 기업과 인권 등에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인권활동을 해오고 있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터프츠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96년부터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면서, 고려대 국제대학원장, 인권센터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일민국제관계연구원의 원장을 맡고 있다. 인권전문가로서 국가인권위원회, 외교부, 통일부, 법무부, 한국국제협력단(KOICA) 등에서 자문활동을 했고, 현재 대법원 양형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나는 감염되었다》(2021), 《국제기구 : 글로벌 거버넌스의 정치학》(공저, 2016), 《국제기구와 인권, 난민, 이주》(공저, 2015) 외 다수가 있다.

목차
목차 1. 서론 = 1 국제기구의 역할 = 2 글로벌 거버넌스의 의미 = 5 2. 이론 - 전통적 접근 = 9 현실주의 = 10 자유주의 = 23 구성주의 = 34 3. 이론 - 비판적 접근 = 39 막스주의 전통의 이론 = 40 막스주의에 대한 비판 = 56 비판이론과 글로벌 거버넌스의 접근법 = 57 4. 국제기구의 역사 = 65 1차대전 이전의 국제기구 = 66 국제연맹의 설립 = 69 유엔의 설립 = 74 비정부 국제기구의 생성과정 = 78 국제기구와 국제협력 = 82 5. 유엔의 원칙과 조직 = 85 유엔의 목적과 원칙 = 85 유엔의 원칙과 모순점 = 86 유엔의 주요 조직 = 96 6. 국제 평화와 안보 = 111 유엔헌장에서의 평화와 안보 = 112 집단안보 = 115 평화유지 활동 = 118 평화유지와 제재조치에 관한 유엔의 문제점 = 140 군비조절과 군비축소 = 143 평화와 안보에 대한 미래의 도전 = 148 7. 국제 무역과 금융 = 151 브레튼 우즈 체제 = 153 GATT의 기본목적과 규정 = 155 GATT 체제와 다자간 협상 = 157 GATT의 문제점 = 158 WTO 협정의 기본원칙 및 규정 = 159 WTO의 구성과 의사결정 = 161 WTO의 조직 = 163 WTO의 글로벌 거버넌스 역할 = 167 국제통화제도의 설립과 IMF의 출범 = 170 국제통화제도의 기능과 변천 = 171 IMF의 구조와 운영 = 174 IMF의 지원조건에 대한 논쟁 = 177 IMF의 금융위기 조치 사례연구 = 178 결론 = 183 8. 경제개발 = 185 경제개발에 대한 논의 = 185 세계은행그룹 = 187 유엔 보조기구 = 197 유엔의 경제개발 10년 = 206 개발도상국과 유엔의 미래 = 209 9. 환경 = 213 환경문제에서 국제협력의 중요성 = 214 유엔환경계획 = 217 지속 가능한 개발 = 222 기후변화와 교토 의정서 = 225 오존층 파괴물질에 관한 몬트리올 의정서 = 232 환경문제 관련 비정부 기구 = 234 결론 = 236 10. 인권과 인도주의적 개입 = 237 인권의 규정 = 238 권리의 3세대와 인권논쟁 = 240 인권 보편주의와 문화 상대주의 = 242 유엔 기구와 인권 = 243 지역적 인권협정과 관련 기구 = 247 시민단체의 역할 = 249 인도주의적 개입에 대한 새로운 기준과 실행 = 253 난민문제 = 257 결론 = 261 11. 지역주의와 지역 국제기구 = 265 지역주의의 개념 = 266 지역주의에 대한 찬반론 = 267 지역통합 이론 = 268 유엔헌장에서의 지역주의 = 271 지역기구의 분류 = 274 지역기구의 사례 = 279 지역주의의 미래 = 295 12. 초국가주의와 국제기구 = 297 다국적 기업 = 298 비정부 기구 = 303 초국가주의와 세계시민사회 = 313 결론 = 318 13. 국제기구의 미래 = 321 평화와 안보를 위한 개혁노력 = 324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개혁노력 = 328 재정문제 해결을 위한 개혁 = 332 유엔과 미국의 갈등 = 335 유엔의 대안 = 340 비정부 국제기구의 역할전환 = 344 부록 = 349 참고문헌 = 365 찾아보기 = 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