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序 노장 정신에로의 여행 = 11
1 숙(숙)과 홀(忽)에게 띄우는 편지 = 12
2. 기계의 마음[機心] = 20
3. 그러면 나는 옳고 너는 그른가 = 27
4. 하늘의 퉁소 소리에 귀를 기울여라 = 33
5. 여성, 그 가장 오래되고 가장 새로운 세계로의 문 = 38
6. 나와 만물 사이에 감도는 봄기운이여 = 44
1장 동아시아 서정 미학의 존재론적 구조 = 51
1. 왜 다시 서정인가 = 51
2. 동아시아 전통의 시학 - 경계(境界)의 서정 = 54
3. 서정의 존재론적 토대 = 57
3-1. 프론트, 공(空), 기(氣) = 57
3-2. 구멍, 느낌 = 61
3-3. 정경융합, 만남, 미적 경험 = 63
3-4. 여성성, 생명 = 70
4. 극단에 이르면 되돌아온다 = 72
2장 노장 시학을 위한 시론 = 75
1. 필연성의 틈 속으로 = 75
2. 노장과 무 = 77
3. 무와 이미지의 지형도 = 80
4. 제유의 상상력과 무의 시학 = 91
5. 천지는 한 손가락이다 = 101
3장 보이지 않는 것을 위한 화론(畵論) = 103
1. 고사관록도(高士觀鹿圖) = 99
2. 상징이 닿는 경계 = 102
3. 시선 = 106
4.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 = 113
5. 놀이 = 119
4장 시선과 여백의 문법 = 127
1. 2개의 시선 = 127
2. 원근법, 서구 근대의 시선 = 131
3. 삼원법, 동아시아 산수화의 시선 = 138
4. 시선의 인칭 = 142
5. 시선의 수사학 = 148
6. 시선을 넘어서 = 156
5장 죽음 이미지의 수사학 = 159
1. 심연의 구멍으로서의 죽음 = 159
2. 성(聖), 은유로서의 죽음 = 163
3. 속(俗), 환유로서의 죽음 = 171
4. 무(無), 제유로서의 죽음 = 179
5. 죽음에서 생명으로 = 186
6장 동아시아 악론(樂論)과 무지카 문다나 = 189
1. 무지카 문다나 = 189
2. 율려(律呂), 유가의 악론 = 194
3. 천뢰(天뢰), 도가의 악론 = 204
4. 생성, 그리고 무(無)의 음악 = 213
5. 그 낡고도 새로운 감수성의 길 = 224
7장 정보 속의 구멍 = 227
1. 질문 = 227
2. 정보 = 229
3. 잡음 = 232
4. 몸 = 235
5. 구멍 = 239
6. 아름다움 = 241
終 시, 생태주의, 노장 = 243
1. 시는 파산하였는가 = 243
2. 시는 파산했으므로 시이다 = 246
3. 모든 존재는 그리움이다 = 247
4. 시는 그리움이다 = 251
5. 시적 상상력 = 254
6. 시, 생태주의, 노장 = 260
7. 시는 다시 구원이다 =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