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옮긴이의 글
들머리
1. 둘째말 학습 = 17
1-1 들머리 = 17
1-2 좋은 이론을 만드는 것은? = 19
1-3 언어의 속성에 대한 견해 = 23
1-4 언어 학습 과정 = 26
1-5 언어학습자에 대한 견해 = 40
1-6 사회적 기량과 연계성 = 45
1-7 마무리 = 46
2. 둘째말 학습연구의 발자취 = 47
2-1 들머리 = 47
2-2 1950년대와 1960년대 = 48
2-3 1970년대 = 63
2-4 1980년대 = 74
3. 언어학과 언어학습 = 79
3-1 들머리 = 79
3-2 왜 보편문법인가? = 80
3-3 보편문법 구성요소 = 90
3-4 보편문법과 첫째말 습득 = 100
3-5 보편문법과 둘째말 습득 = 106
3-6 둘째말 학습에 대한 보편문법 중심 접근법 평가 = 119
4. 인지적 접근법 = 125
4-1 들머리 = 125
4-2 지각적 부각 접근법 = 128
4-3 연결주의/병렬 분산처리 모형 = 136
4-4 정보처리 모형 = 144
4-5 학습전략 = 150
4-6 둘째말 학습의 유창성 발달 = 153
4-7 둘째말 학습에서의 의사소통전략 = 156
4-8 인지적 접근법 평가 = 162
5. 기능적/화용론적 이론 = 165
5-1 들머리 = 165
5-2 첫째말 발달에 대한 기능적 접근 = 166
5-3 둘째말 학습의 초기 기능적 연구들 = 172
5-4 사례연구를 넘어선 기능주의 : 유럽 과학재단 연구과제 = 183
5-5 평가 = 191
6. 입력과 상호작용 = 195
6-1 들머리 = 195
6-2 첫째말 습득에 있어서 입력과 상호작용 = 197
6-3 둘째말 입력 : 크래센의 '입력가설' = 202
6-4 둘째말 습득에서 상호작용 = 206
6-5 입력과 상호작용 연구의 어학적 비평 = 213
6-6 상호작용 이론 재고 = 215
6-7 외국어 습득의 재입력화와 부정적 증거 = 216
6-8 주의, 의식 깨우치기, '형식에 초점' = 222
6-9 평가 : 상호작용주의자 연구 범위 = 225
7. 사회문화 이론 = 229
7-1 들머리 = 229
7-2 사회문화 이론 = 230
7-3 사회문화 이론의 둘째말 학습 응용 = 236
7-4 평가 = 253
8. 사회언어학 이론 = 257
8-1 들머리 = 257
8-2 둘째말 의사소통의 민족지 = 259
8-3 둘째말 사용의 변이 = 272
8-4 혼성화와 문화변용 = 283
8-5 둘째말 사회화 = 288
8-6 평가 : 사회언어학적 조사의 범위와 성취 = 297
9. 마무리 = 301
9-1 통합이론인가 다양성인가? = 301
9-2 최근 둘째말 학습 연구의 주요한 업적 = 302
9-3 둘째말 학습 연구의 미래 = 304
9-4 둘째말 학습연구와 언어교육 = 306
참고문헌 = 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