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80namccc200265 c 4500 | |
001 | 000001099950 | |
005 | 20100806124615 | |
007 | ta | |
008 | 040618s2004 ulka 000a kor | |
020 | ▼a 8933704566 ▼g 03300 : ▼c ₩13000 | |
035 | ▼a KRIC09377032 | |
040 | ▼a 211052 ▼c 211052 ▼d 211009 | |
041 | 1 | ▼a kor ▼h jpn |
082 | 0 4 | ▼a 327.095 ▼2 21 |
090 | ▼a 327.095 ▼b 2004 | |
100 | 1 | ▼a 和田春樹, ▼d 1938- . |
245 | 1 0 | ▼a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 ▼d 와다 하루키 지음 ; ▼e 이원덕 옮김 . |
246 | 1 9 | ▼a 東北アジア共同の家 : 新地域主義宣言 |
260 | ▼a 서울 : ▼b 일조각, ▼c 2004 . | |
300 | ▼a 282 p. : ▼b 삽도 ; ▼c 23 cm . | |
500 | ▼b 신지역주의 선언 | |
500 | ▼a 원저자명: 和田春樹 | |
700 | 1 | ▼a 和田春樹 |
700 | 1 | ▼a 이원덕, ▼d 1962- , ▼e 역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7.095 2004 | Accession No. 11129111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7.095 2004 | Accession No. 11129111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Call Number 327.095 2004 | Accession No. 192033763 |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한국의 근현대사와 동북아시아 협력 체제를 연구해온 지은이가 '지역주의' 의 체계적인 밑그림을 그린다.'동북아시아 공동의 집'은 이 시대 동북아시아 사람들이 실현해야 할 공통의 과제임을 밝히며, 이 과제를 저해하고 있는 장애 요인들을 분석한다.
전반부에서는 급박하게 돌아가는 국제정치의 흐름 속에서, 왜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 을 모색하게 되었는지, 그 필요성을 설명하고, 동북아시아의 역사를 개괄한다.
후반부에서는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 의 필요성을 당위적으로 설명하기 보다는, 현실적 구현을 위해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특히 4장 '한반도의 중심성과 한국의 주도권' 에서는, 신지역주의를 위해 '재외 한국인' 들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할 이유를 피력한다. 또한 한국 현대사의 흐름을 명쾌하게 짚으면서, 진정한 지역주의를 위해서는 남북 관계 회복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지은이는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이 우리 시대의 새로운 유토피아이고, '연대' 와 '신지역주의' 를 통해서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야함을 강조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와다 하루키(지은이)
1938년 오사카 출생. 동경東京대학 문학부 졸업. 동경대 사회과학연구소 교수, 사회과학연구소 소장 등 역임. 2020년 현재 동경대학 명예교수. 전공은 소련·러시아사, 한국 현대사. 한국에서 출간된 주요 공·저서로는 《역사가의 탄생》, 《한일 역사문제의 핵심을 어떻게 풀 것인가?》,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 《북한 현대사》, 《한일 100년사》, 《위안부 합의 이후 한일관계》, 《한국과 일본의 역사인식》, 《러일전쟁 - 기원과 개전(1·2)》 등 다수가 있다. 일본에서는 《‘평화국가’의 탄생-전후 일본의 원점과 변용》, 《어떤 전후정신의 형성 1938-1965》, 《러시아혁명-페트로그라드 1917년 2월》, 《스탈린 비판 1953~56년-일인 독재자의 사망이 어떻게 20세기 세계를 뒤흔들었나》 등을 출간하였다.
이원덕(옮긴이)
서울대 외교학과에서 학사, 석사를 마친 후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에서 국제관계학 박사를 취득했다. 연구 분야는 일본 정치외교, 한일관계이다. 현대일본학회장을 수행한 바 있고 한국정치학회, 한국국제정치학회,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세계지역연구학회에 소속되어 있다. 도쿄대학에서 객원연구원을 지냈으며 2005년에는 1년간 도쿄대학의 객원교수로 수업을 담당했다. 외교부, 통일부, 국방부, 국회 외교안보통일위원회, 동북아역사재단, 민주평통 등 정부 기관의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현재 국민대학교 교수이며, 한일관계와 일본정치 외교에 관한 다수의 저작과 논문을 집필하였다.

Table of Contents
목차 힌국어판 서문 = 5 들어가며 - 신지역주의의 필요성 = 15 제1장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 제안의 계보 1990년, 최초의 문제제기 = 21 어느 한국 학자의 노력 = 24 1994년, 한반도 전쟁발발 위기 속에서 = 27 1995년, 구상의 성립 = 32 일본 내부의 토론을 기대하며 = 37 동아시아 공동체인가,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인가 = 44 제2장 동북아시아 - 우리가 속해야 할 지역 지역이란 무엇인가 = 47 동양의 일원 일본 = 49 동아의 맹주 일본 = 54 '대동아공영권' - 파산한 구상 = 61 패전 후 지역주의의 부정 = 65 역사가들의 동아시아 세계론 = 69 환일본해권 구상의 등장과 동요 = 71 동북아시아인가, 북동아시아인가 = 75 제3장 동북아시아의 과거와 현재 동북아시아 = 81 이질성과 다양성 = 83 역사의 관점에서 = 86 정치·경제체제의 관점에서 = 91 국가의 규모, 부와 힘의 격차 = 95 핵 대국과 피폭 민족 = 97 분단국가와 영토문제 = 98 갈등과 대립의 지역 = 104 제4장 한반도의 중심성과 한국의 주도권 한반도의 중심성 = 107 두 개의 한국 = 109 한반도 전쟁발발의 가능성 = 114 경제 위기와 '정규군국가'체제의 확립 = 118 김대중 대통령의 햇볕정책과 「페리보고서」 = 120 '악의 축' 규정과 두 번째 벼랑 끝 외교 = 124 위기의 극복과 지역협력 = 129 한국의 입장 = 131 한민족의 디아스포라 = 134 재일 코리안과 재미 코리안 = 138 동북아시아 코리안의 가능성 = 141 제5장 일본 문제 일본의 문제성 = 145 역사적 과거 청산 - 최소한의 전제 = 146 교과서 문제 - 우익의 반격 = 154 야스쿠니 신사 문제 = 159 자폐 외교 - 북방영토 문제 = 163 북일 평양선언, 무위로 끝날 것인가 = 168 환상으로서의 군사화 열망 = 178 제6장 미국·중국·러시아 3대국 중국, 성장하는 거인 = 188 단일 패권국가 미국 = 192 재생을 꿈꾸는 대국 러시아 = 199 제7장 섬의 연결 타이완 = 205 오키나와 = 212 사할린 = 214 쿠릴열도 = 217 하와이 = 220 섬들의 역할 = 224 제8장 동남아시아의 창조적 돌출 ASEAN의 출발 = 225 APEC = 226 ARF = 228 CSCAP = 230 ASEAN+3 = 231 '동아시아 공동체'의 제안 = 233 '동아시아 공동체' 제안에 대한 반응 = 236 제9장 공동의 집의 골격 공동 안전보장의 최소 전제 = 242 긴급원조 체제 = 248 공동 환경보호 = 250 경제공동체 = 256 문화교류와 문화창조의 장 = 267 정치와 안보의 공동체 = 268 제10장 유토피아와 개혁의 사이에서 유토피아의 종언 = 274 새로운 유토피아 = 275 개혁적 유토피아주의 = 276 옮긴이 후기 =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