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60c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01099826 | |
005 | 20100806124432 | |
007 | ta | |
008 | 040511s2004 ulka 001a kor | |
020 | ▼a 8975489906 ▼g 93180: ▼c \16000 | |
035 | ▼a KRIC09246357 | |
040 | ▼a 211019 ▼d 211009 | |
082 | 0 4 | ▼a 150.287 ▼2 21 |
090 | ▼a 150.287 ▼b 2004a | |
245 | 0 0 | ▼a 상담과 심리검사 / ▼d 김계현...[등저].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04. | |
300 | ▼a 374 p. : ▼b 삽도 ; ▼c 25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김계현 ▼g 金桂玄 ▼0 AUTH(211009)80893 |
700 | 1 | ▼a 황매향 |
700 | 1 | ▼a 선혜연 ▼g 宣惠娟 |
700 | 1 | ▼a 김영빈 ▼g 金榮嬪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287 2004a | 등록번호 11129011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계현(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문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교육학석사) 미국 오레곤대학교 상담심리학과(상담심리학박사)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미국 오레곤대학교 카운슬러 현재: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저서:『상담심리학』, 『카운슬링의 실제』, 『상담학개론』(공저) 등
황매향(지은이)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교육상담 전공으로 학·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상담연구원, 미국 미주리대 커리어센터 초빙연구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우교수로 일했다. 여성가족부 청소년상담사 1급, 한국상담학회 전문 영역 슈퍼바이저,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이다. 아동 및 청소년의 학습 부진, 진로 발달, 뇌 과학과 학습, 취약 계층 청소년 발달 등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초보자를 위한 학교상담 가이드>(공저, 2018), <초등교사를 위한 행동수정 길잡이>(2016), <사례에서 배우는 학업상담의 실제>(2016) 등이 있고, 역서로는 <정서와 학습 그리고 뇌>(2019), <심리치료의 비밀>(공역, 2018) 등이 있다.
선혜연(지은이)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학·석사·박사 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과 부교수 한국교원대학교 양성평등교육연구소 소장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전문가 1급, 상화상담심리사 1급 전) 건양대학교 심리상담치료학과 조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전임상담원 주요 저서) 상담이론과 실제: 다문화 관점의 통합적 접근(공역, 2015, 학지사), 중등교과서 진로와 직업(공저, 2015, 비상교육), 심리검사와 상담(공저, 2013, 학지사), 청소년 진로선택과 부모의 향(2009, 한국학술정보)
김영빈(지은이)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육상담전공 박사과정,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조교이다.

목차
목차 1 상담에서 검사의 활용 1장 서론 : 상담과 심리검사 = 15 1. 상담과 심리검사의 관계 = 16 1) 상담모델과 검사의 관계 = 16 2) 심리검사에 대한 정의 = 18 2. 상담에서 검사활용의 실제 = 20 1) 심리검사에 대한 상담자의 태도 = 20 2) 검사사용에 관한 조사연구 결과 = 21 3) 심리검사의 속성 = 28 4) 심리검사 유형 = 30 5) 상담 및 검사에 관한 규범 = 34 2장 상담초기의 내담자 평가 = 39 1. 내담자의 문제해결 지향 = 39 1) 상담에 대한 준비도 = 40 2) 내담자의 귀인과 대처 유형 = 42 3) 문제해결 양식 = 44 2. 상담 문제의 정의 = 46 1) 상담신청서 = 46 2) 호소문제 체크리스트 = 47 3) 상담과정에서의 호소문제 체크리스트 사용지침 = 52 4) 접수면접 = 53 3. 검사의 선정, 실시 및 채점 = 57 1) 검사의 선정 = 57 2) 검사의 실시 = 59 3) 검사의 채점 = 61 3장 측정과 검사의 기초 개념 = 67 1. 측정학적 개념 = 69 1) 규준 = 69 2) 서열 = 69 3) 백분위점수 = 69 4) 학년점수(학령점수) = 71 5) 표준편차 = 72 6) 표준점수 = 73 7) 상관 = 75 2. 신뢰도 = 76 1) 신뢰도의 정의 = 76 2) 신뢰도의 종류 = 78 3) 신뢰도에서의 고려사항 = 80 3. 타당도 = 83 1) 타당도의 정의 = 83 2) 타당도의 종류 = 84 4. 검사 개발 = 88 2 지능과 학업 영역 4장 지능검사 = 93 1. 개인 지능감사 = 94 1) 스탠포드 - 비네 검사 = 94 2) 고대 - 비네 검사 = 96 3) 웩슬러 검사 = 96 4) K-WISC-Ⅲ = 100 5) 카우프만 검사 = 111 2. 개인 지능검사의 장점 = 117 3. 집단 지능검사 = 118 4. 지능검사 해석 시 고려할 사항 = 119 1) 지능의 개념 확장 = 119 2) IQ점수의 의미 = 120 5장 학력 및 학업 관련 검사 = 123 1. 대학입학 관련 감사 = 124 1)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 124 2) 그 밖의 대학입학전형요소 = 129 2. 미국 대학입학시험 = 129 1) The Scholastic Assessment Test(SAT) = 129 2) The Preliminary Scholastic Aptitude Test/National Merit Scholarship Qualifying Test(PSAT/NMSQT) = 131 3) American College Testing(ACT) = 131 4) 미국 학업적성검사의 타당도 = 132 3. 미국 대학원 입학시험 = 134 1) Graduate Record Examinations(GRE) = 134 4. 수험생 상담 및 지원 = 136 1) 시험불안 = 136 2) 시험지도와 수험준비 = 137 5. 학습관련 검사들 = 139 1) 기초학습기능검사 = 139 2)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 읽기검사 = 141 3) 학습흥미검사 = 142 4) 학업동기검사 = 142 5) 학습방법진단검사 = 143 6) 학습습관검사 = 144 3 진로 및 직업영역 6장 진로선택 및 진로발달 = 151 1. 진로계획에 대한 태도 = 152 1) 진로신념의 측정 = 152 2) 진로결정의 측정 = 154 2. 진로계획 유능감 = 161 3. 진로성숙도의 측정 = 162 1) 진로발달검사(CDI) = 162 2) 진로성숙도검사(CMI) = 165 3) 진로성숙도검사(한국형) = 167 4) 성인용 진로성숙도검사(CMAS) = 170 4. 상담에서의 진로발달검사 활용지침 = 171 7장 직업흥미와 가치관 = 177 1. 흥미검사의 개요 = 178 1) 흥미검사의 유형 = 178 2) 흥미검사의 활용 = 180 2. 흥미검사 소개 = 182 1) Holland 검사 = 182 2) Strong 검사 = 193 3) 노동부 직업선호도감사 = 200 4) 청소년용 직업흥미검사 = 201 3. 가치관 검사 = 202 1) 일에 대한 가치 검사 = 203 2) 개인가치 측정도구 = 208 3) 상담에서의 가치측정 도구 활용 = 210 4. 가치명료화 활동 = 211 8장 진로검사의 다양한 방법 = 217 1. 성인 진로문제의 측정 = 217 1) Adult Career Concerns Inventory(ACCI) = 218 2) Career Attitudes and Strategies Inventory(CASI) = 218 3) 구직욕구진단검사 = 219 4) 직업적응검사 패키지 = 220 2. 진로발달의 질적 평가 과정 = 224 1) 직업카드 분류 = 224 2) 생애진로평가 : 구조화된 면접 방법 = 229 3) 진로가계도 = 233 4 성격, 적응, 정신건강 영역 9장 자기보고식 성격검사 = 241 1. 검사 개발 = 242 1) 논리적 방법 = 242 2) 이론적 방법 = 242 3) 준거집단방법 = 243 4) 요인분석 = 243 2. 성격유형검사(MBTI) = 244 1) 역사 = 244 2) 구성 = 245 3) 채점 및 해석 = 246 4) 측정학적 특징 = 246 5) 활용 = 247 6) 유의점 = 249 3. California Psychological Inventory(CPI) = 250 1) 역사 = 250 2) 구성 = 251 3) 측정학적 특징 = 252 4) 벡터척도 = 253 5) 해석 및 활용 = 254 4. KPI 성격검사 = 255 1) 구성 = 256 2) 신뢰도 = 257 3) 활용 = 257 5. 16 성격요인검사(16PF) = 258 6. 다요인 인성검사 = 259 7. NEO 인성검사 - 개정판(NEO-PI-R) = 262 8. 자아존중감 검사 = 263 9. 자아개념 검사 = 264 10장 투사적 성격검사 = 269 1. 투사적 검사 = 269 1) 로르샤흐 잉크반점검사(Rorschach Ink Blots) = 270 2) 주제통각검사(TAT) = 274 3) 한국판 아동용 투사적 성격검사(K-CAT) = 279 4) 문장완성검사(SCT) = 280 5) 집-나무-사람 검사(HTP) = 282 6) 초기 아동기억 = 283 11장 대인관계 부적응과 검사 = 287 1. 부부 및 가족 관계 = 288 1)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K-MSI) = 288 2) 결혼적응척도(DAS) = 290 3) 성격유형검사(MBTI) = 291 4) 가정환경 진단척도(PBR) = 292 5) 가계도(genogram) = 293 6)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질문지(PACI) = 296 7) 모-자 상호작용 평가 척도(PCI) = 297 2. 또래 및 타인관계 = 299 1) 사회적 지지 척도 = 299 2) 집단따돌림 체크리스트 = 302 3) 대인관계 지지 평가척도(ISEL) = 305 4) 대인관계문제검사(K-IIP) = 306 3. 이성 관계 = 308 1) 사랑의 삼각형 검사(TLS) = 308 12장 정신건강과 검사 = 311 1. 정신장애에 대한 진단 및 통계 매뉴얼 4판(DSM-IV) = 312 2. 자살위험평가 = 316 1) 자살위험평가에서의 중요한 요인들 = 317 2) Beck의 자살척도(SSI) = 323 3. 전반적인 임상평가 = 326 1)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 2(MMPI-2) = 326 2)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 청소년용(MMPI-A) = 330 3) 한국판 MMPI = 331 4) 성격평가질문지(PAI) = 335 5) 한국판 아동행동척도(K-CBCL) = 337 4. 구체적인 임상평가 = 339 1) 우울 = 339 2) 불안과 공포 = 343 3) 분노 = 346 4) 알코올남용 = 346 5) 섭식장애 = 354 6)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 = 358 찾아보기 =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