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56camccc200241 a 4500 | |
001 | 000001099825 | |
005 | 20100806124430 | |
007 | ta | |
008 | 040624s2004 ulkj 001a kor | |
020 | ▼a 8977151406 ▼g 93300: ▼c \15000 | |
035 | ▼a KRIC09362621 | |
040 | ▼a 211040 ▼c 211040 ▼d 211009 | |
085 | ▼a 953.07 ▼a 320.953 ▼2 DDCK | |
090 | ▼a 953.07 ▼b 2004m | |
100 | 1 | ▼a 전상봉 , ▼d 1964- ▼0 AUTH(211009)76115 |
245 | 1 0 | ▼a 한국 근현대 청년 운동사 : ▼b 청년운동 개념·역사·전망 / ▼d 전상봉 지음. |
260 | ▼a 서울 : ▼b 두리미디어 , ▼c 2004. | |
300 | ▼a 429 p. : ▼b 연표 ; ▼c 23 cm. | |
440 | 0 0 | ▼a 두리미디어 인문학 총서 ; ▼v 12 |
500 | ▼a 부록으로 '청년운동연표' 수록. | |
500 | ▼a 索引 : p.417-429 | |
504 | ▼a 참고문헌 : p.356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7 2004m | 등록번호 1112901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7 2004m | 등록번호 11129011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전상봉(지은이)
20대 중반부터 40대 초반까지 청년운동과 통일운동에 몸담았다. 지금은 서울시민연대 대표로 활동하면서 ‘역사와 인문학으로 보는 서울, ‘한성백제 시민강좌 등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강좌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서울의 역사와 사람들의 이야기를 찾아 떠나는 답사 프로그램 ‘발로품는서울’을 운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근현대청년운동사》(2004년, 두리미디어), 《몽양 여운형》(2009년, 산하), 《자본주의, 미국의 역사》(2012년, 시대의창) 들이 있고, 통일운동의 경험을 바탕으로 쓴 《통일, 우리 민족의 마지;막 블루오션》은 MB정부 시절 국빙부 불온도서로 선정되기도 했다.

목차
목차 머리말 = 5 제1부 청년운동이란 무엇인가 1. 청년의 존재와 특성 = 15 1) 청년의 존재 = 16 2) 청년의 특성 = 22 2. 청년운동의 성격(지위)과 역할 = 25 1) 청년운동의 성격(지위) = 26 2) 청년운동의 역할 = 30 3. 청년운동의 영역과 통일단결의 과제 = 37 1) 청년운동의 영역 구분 = 38 2) 청년운동의 지도역량 구축과 통일단결의 과제 = 43 참고문헌 = 45 제2부 한국 근현대 청년운동사 서장 청년운동의 기원과 국제청년운동의 전개 1. 청년운동의 기원과 각 국의 청년운동 = 49 2. 국제공산청년동맹의 결성과 활동 = 53 참고문헌 = 57 제1장 청년계층의 형성과 일제시대 청년운동 1. 우리나라에서 청년계층의 형성과 청년운동의 태동 = 58 1) 우리나라에서 청년계층의 형성 = 58 2) 우리나라에서 청년운동의 태동 = 62 2.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65 1) 10년대 반일운동의 전개 = 67 2) 3·1운동과 청년학생들의 투쟁 = 70 3. 일제의 문화정치와 20년대 청년운동의 발전 = 76 1) 3·1운동 직후 청년운동의 전개 = 77 2) 20년대 학생운동의 전개 = 99 3) 새세대 청년공산주의자들의 민족해방운동 = 108 4. 일제의 전시체제 구축과 청년운동 = 116 1) 30년대 초반의 청년운동 = 118 2) 30년대 초반 학생 비밀결사운동 = 123 3) 중일전쟁과 청년학생들의 투쟁 = 125 4) 태평양전쟁과 청년학생들의 투쟁 = 128 참고문헌 = 130 제2장 8·15 해방과 청년운동의 전개 1. 해방 직후의 국내외 정세 = 131 1) 해방 직후 정치세력들의 동향 = 132 2) 해방 직후의 사회경제적 상황 = 137 2. 8·15 해방과 청년운동의 전개 = 140 1) 해방공간에서 청년운동의 특징 = 140 2) 해방 직후 청년단체의 등장과 전국청년단체총동맹 = 142 3) 조선민주청년동맹과 조선민주애국청년동맹 = 150 4) 해방 직후 학생운동의 전개 = 156 3. 우익 청년단체의 등장과 활동 = 162 1) 우익 청년단체의 등장 = 163 2) 모스크바 3상회담과 우익 청년단체의 성장 = 165 3) 미군정의 좌우합작 추진과 우익 청년단체의 재편 = 167 4) 단정 수립을 위한 테러활동 강화 = 169 참고문헌 = 172 제3장 반독재 투쟁과 60∼70년대 청년운동 1. 4월혁명과 청년운동 = 173 1) 4월혁명과 청년학생들의 투쟁 = 176 2) 민중운동의 고양과 민민청, 통민청의 결성 = 180 3) 4월혁명 직후 학생운동의 전개 = 186 2. 5·16쿠데타와 60년대 청년운동 = 189 1) 한일협정 반대 투쟁과 학생운동 = 192 2) 3선개헌 반대 투쟁과 60년대 후반 학생운동 = 200 3) 60년대 학생운동의 의의 = 203 3. 유신체제와 70년대 청년운동 = 204 1) 유신체제의 등장과 긴급조치 = 207 2) 70년대 초반 학생운동과 민주수호청년협의회 = 210 3) 유신체제의 등장과 민청학련 사건 = 216 4) 긴급조치 9호 시대의 유신반대 투쟁 = 222 5) 70년대 학생운동의 의의 = 228 참고문헌 = 230 제4장 80∼90년대 청년운동과 자주 민주 통일 투쟁 1. 광주민중항쟁과 80년대 전반기 청년운동 = 231 1) 좌절된 서울의 봄과 광주민중항쟁의 교훈 = 232 2) 전두환 정권의 등장 = 234 3) 80년대 전반기 학생운동 = 236 4) 민주화운동청년연합의 결성 = 252 2. 6월항쟁과 청년운동의 발전 = 254 1) 6월항쟁과 학생운동 = 255 2) 전대협의 결성과 학생운동 = 260 3) 대중적인 청년단체의 등장과 전청대협 = 276 3. 90년대 정세의 변화와 청년운동 = 278 1) 90년대 정세의 변화 = 279 2) 한총련의 건설과 90년대 학생운동 = 281 3) 90년대 청년단체운동 = 303 참고문헌 = 307 보론 이북의 청년운동 역사와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 1. 이북의 청년운동 역사 = 308 1) 북조선민주청년동맹 = 310 2) 조선사회주의노동청년동맹 = 316 3)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 = 322 2.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의 지위와 역할 = 324 1) 청년동맹의 지위와 역할 = 326 2) 청년동맹의 조직체계 = 328 3) 청년동맹의 주요활동 = 330 4) 속도전 청년돌격대 = 332 참고문헌 = 334 제3부 현 시기 청년계층의 현황과 청년운동의 과제 1. 청년계층의 분포 = 337 1) 청년계층의 광역지역별 분포 현황 = 339 2) 청년계층의 계급계층별 분포 현황 = 340 3) 청년 실업의 원인과 문제 = 349 2. 현 시기 청년운동의 과제 = 352 참고문헌 = 356 부록1 청년운동 연표 = 357 부록2 찾아보기 =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