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비평의 즐거움
제Ⅰ부 문학비평의 기초
1. 문학비평이란 무엇인가 = 31
(1) 비평의 개념 = 31
(2) 비평의 기능 = 35
(3) 문학평가의 원리 = 42
(4) 문학과 문학 비평 = 46
2. 문학비평의 갈래 = 54
(1) 비평의 대상에 따라 = 54
(2) 비평의 기술방식에 따라 = 59
(3) 문학의 구성조건에 따라 = 63
(4)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따라서 = 66
(5) 비평가의 관점에 따라 = 69
3. 근대문학비평의 형성 = 74
(1) 고전비평의 전개 = 74
(2) 서양의 근대 비평 = 80
제Ⅱ부 현대 문학비평 이론과 실제
1. 역사주의 비평 = 91
(1) 역사주의 비평 개관 = 91
(2) 역사주의 비평의 이론 전개 = 95
(3) 원본비평 = 101
(4) 전기비평 = 109
(5) 역사적 비평 = 122
(6) 역사전기 비평의 검토 = 137
2. 사회문화 비평 = 140
(1) 사회문화 비평 개관 = 140
(2) 사회문화 비평의 이론 전개 = 145
(3) 문학사회학 = 157
(4) 사회문화 비평의 한국적 수용 = 190
(5) 사회문화 비평의 실제 = 200
(6) 사회문화 비평의 검토 = 205
3. 형식주의 비평 = 208
(1) 형식주의 비평의 형성 = 208
(2) 대표적인 이론들 = 214
(3) 형식주의 비평의 실제 = 226
(4) 형식주의 비평의 검토 = 230
4. 뉴크리티시즘 = 235
(1) 텍스트 중심의 비평시대 = 235
(2) 신비평의 형성 = 237
(3) 대표적 이론들 = 241
(4) 신비평의 실제 = 254
(5) 신비평의 검토 = 261
5. 구조주의 비평 = 265
(1) 구조주의 비평 개관 = 265
(2) 구조주의 비평의 전개 = 270
(3) 대표적인 이론들 = 275
(4) 구조분석의 실제 = 304
(5) 구조주의 비평의 검토 = 311
6. 기호학 비평 = 316
(1) 기호학 비평 개관 = 316
(2) 기호학 비평의 전개 = 320
(3) 기호학의 두 방향 = 329
(4) 대표적 이론들 = 335
(5) 기호학 비평의 실제 = 344
(6) 기호학 비평의 검토 = 356
7. 심리주의 비평 = 360
(1) 심리주의 비평 개관 = 360
(2) 심리주의 비평의 전개 = 363
(3) 대표적인 이론들 = 369
(4) 심리주의 비평의 실제 = 389
(5) 심리주의 비평의 검토 = 405
8. 신화원형 비평 = 408
(1) 신화원형 비평의 개념 = 408
(2) 신화원형 비평론의 전개 = 412
(3) 대표적인 이론들 = 420
(4) 신화원형 비평의 실제 = 432
(5) 신화원형 비평의 검토 = 450
9. 테마비평 = 453
(1) 테마비평 개관 = 453
(2) 테마비평의 형성 = 458
(3) 테마비평의 이론 = 463
(4) 테마비평의 실제 = 474
(5) 테마비평의 검토 = 480
10. 현상학 비평 = 483
(1) 현상학의 의미 = 483
(2) 현상학 비평의 전개 = 486
(3) 대표적인 이론들 = 499
(4) 현상학 비평의 실제 = 516
(5) 현상학 비평의 검토 = 520
11. 독자반응 비평 = 523
(1) 수용미학과 독자반응 비평 개관 = 523
(2) 독자중심비평의 이론 전개 = 528
(3) 대표적인 이론들 = 535
(4) 독자반응 비평의 실제 = 547
(5) 독자반응 비평의 검토 = 561
12. 해석학 비평 = 564
(1) 해석학 개관 = 564
(2) 현대 해석학의 전개 = 571
(3) 대표적인 이론들 = 578
(4) 해석학 비평의 실제 = 601
(5) 해석학 비평의 검토 = 607
제Ⅲ부 경계허물기 시대의 비평적 모험
1.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비평 = 613
(1)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 613
(2) 후기구조주의와 해체론 = 625
(3) 대표적 이론들 = 632
(4) 해체비평의 실제 = 667
(5) 해체비평의 검토 = 675
2. 페미니즘 비평 = 680
(1) 페미니즘 비평의 개관 = 680
(2) 영미페미니즘 이론 = 684
(3) 프랑스 페미니즘 이론 = 703
(4) 페미니즘 문학의 한국적 실천 = 718
(5) 페미니즘 비평의 실제 = 723
(6) 페미니즘 비평의 검토 = 740
3. 대화주의 비평 = 745
(1) 대화주의 비평 개관 = 745
(2) 대화주의 전략 = 752
(3) 바흐친과 담론이론 = 772
4. 신역사주의와 문화유물론 = 784
(1) 전통적 역사주의와 신역사주의 = 784
(2) 신역사주의와 문화유물론 = 789
(3) 신역사주의 이론들 = 793
(4) 새로운 역사비평 = 810
(5) 신역사주의 비평의 검토 = 812
5. 탈식민주의 비평 = 815
(1) 탈식민주의 개관 = 815
(2) 탈식민주의 이론의 전개 = 819
(3) 탈식민주의 비평 전략 = 826
(4) 탈식민주의 문학과 반언술행위 = 834
(5) 탈식민주의 비평의 검토 = 836
6. 생태주의 비평 = 840
(1) 21세기와 에코토피아 = 840
(2) 생태학과 생태비평의 형성 = 844
(3) 생태비평의 전략 = 850
(4) 한국 생태시의 과제 = 858
(5) 생태주의 비평의 검토 = 866
7. 사이버 문학 비평 = 869
(1) 사이버 문학의 개관 = 869
(2) 사이버문학 바로 읽기 = 874
(3) 전자글쓰기와 디지털 문화 = 877
(4) 포스트모더니즘 문학과 사이버리즘 문학 = 886
(5) 타자의 복권과 주체의 파편화 = 890
(6) 사이버 문학 비평의 검토 = 896
비평용어 및 인명색인 = 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