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우리 음악의 멋 풍류도

우리 음악의 멋 풍류도 (Loan 30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한흥섭
Title Statement
우리 음악의 멋 풍류도 / 한흥섭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책세상 ,   2003.  
Physical Medium
198 p. ; 21 cm.
Series Statement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 071
ISBN
8970133992 8970131450(세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194-198
000 00637namccc200229 k 4500
001 000001098566
005 20100806123105
007 ta
008 040512s2003 ulk 000a kor
020 ▼a 8970133992 ▼g 04670: ▼c \4,900
020 1 ▼a 8970131450(세트)
040 ▼a 244002 ▼c 244002 ▼d 211009
049 0 ▼l 151151600 ▼l 151151601
082 0 4 ▼a 780.9519 ▼2 21
090 ▼a 780.953 ▼b 2003b
100 1 ▼a 한흥섭 ▼0 AUTH(211009)13258
245 1 0 ▼a 우리 음악의 멋 풍류도 / ▼d 한흥섭 지음.
260 ▼a 서울 : ▼b 책세상 , ▼c 2003.
300 ▼a 198 p. ; ▼c 21 cm.
440 0 0 ▼a 책세상문고 ▼a 우리시대 ; ▼v 071
504 ▼a 참고문헌: p.194-198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80.953 2003b Accession No. 11141096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80.953 2003b Accession No. 11141096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80.953 2003b Accession No. 15115160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80.953 2003b Accession No. 15115160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80.953 2003b Accession No. 11141096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80.953 2003b Accession No. 11141096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80.953 2003b Accession No. 15115160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80.953 2003b Accession No. 15115160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우리 내면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 풍류와 우리 음악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풍류도와 향가와의 관계를 탐구한다. 그동안 국문학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던 향가가 우리 전통음악의 한 갈래임을 분명히 하면서 향가와 풍류도의 연관성을 증명하고 풍류도 우리 음악의 원류임을 밝히고 있다.

삼국시대 기록인 최치원의 <난랑비서>에서 풍류는 "유교, 불교, 도교의 요소를 모두 포함한 현묘한 도"로 정의된다. 이는 화랑의 이념과도 일치하는데, 화랑에게 풍류란 '서로 도의를 닦고 혹은 가악으로 즐겁게 하'는 것을 일컫는다. 그 수단 중에 하나가 바로 향가였다. 본격적으로 3장에서 향가 작품과 작자를 살펴본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한지훈(지은이)

고3 시절, 입시의 중압감으로 공부에 회의가 생기면서 인생이 무의미하다는 생각에 깊이 빠져든다. 재수 끝에 고려대학교 철학과에 들어가지만 이미 시작된 삶에 대한 허무감에서 쉽게 벗어나지는 못했다. 2학년을 마치고 간 군에서 어떤 여인을 알게 되어 제대하고 난 다음해 아무 대책 없이 그녀와 결혼한다. 이 세상 그 무엇에도 의미와 가치를 둘 곳이 없었던 시절, 그녀와의 해후는 하나의 구원이었다. 졸업 후 1년 뒤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 입학하나 5월 광주민중항쟁이 터지면서 대학이 휴교하고 그런 와중에 스스로 학교를 중퇴한다. 그 전에 데모대에 합류해 시청 앞에서 시위를 벌이다 최루가스에 질식할 뻔한 체험을 하고는 권력을 쥐어야겠다는 무모한 생각을 한다. 철학은 너무도 무기력하고 무의미했다. 고시 공부에 뛰어들게 한 건 그런 현실에 대한 분노였다. 하지만 그건 처음부터 자신의 능력을 생각하고 내린 결정이 아니어서 결국 3년 만에 포기하고 만다. 그 후 오랜 방황으로 모든 것에 좌절한 30대 중반의 후줄근한 나이에, 우연히 숭실대학교 철학과 조요한 선생님의 《예술철학》이란 책을 접한다. 이런 공부를 하면 재미있겠다는, 그 나이에 참으로 철없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앞뒤 분간 못하고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학과에 진학하는데, 놀랍게도 그곳이 나에게는 하나의 ‘오아시스’였다. 거기서 새로운 삶을 시작한다. 조요한 선생님을 지도 교수로 모실 수 있었던 것은 나의 빈한한 삶에서 가장 뜻깊은 행운이었다. 그분을 통해 ‘존경심’이란 걸 평생 처음 가슴 깊이 느낄 수 있었다. 여러 대학에서 철학, 미학, 국악 등의 강의를 아주 헐값에 했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로 일했다. 저서로는 《중국 도가의 음악사상》, 《장자의 예술정신》, 《한국의 음악사상》, 《우리 음악의 멋 풍류도》, 《한국 고대 음악사상》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성무애락론》, 《혜강집》, 《예기·악기》 등이 있다. 《한국의 음악사상》과 《한국 고대 음악사상》이 2001년과 2007년 각각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책을 쓰게 된 동기 = 8
들어가는 말 = 13
제1장 풍류도 = 15
제2장 〈난랑비서〉 = 23
제3장 신라 음악 문화의 꽃, 향가 = 37
 1. 향가의 의의 = 40
 2. 현존하는 향가와 향가의 작자 = 47
  (1) 현존 작품 = 48
  (2) 작자 = 56
 3. 향가의 사상적 배경 = 61
 4. 향가 없는 한국음악(문화)사 = 72
제4장 《화랑세기》 = 89
 1. 필사본 《화랑세기》의 등장 = 91
 2. 위작설에 대한 검토 = 92
 3. 진본설에 대한 검토 = 98
 4. 금도 = 101
 5. 운상인, 운상, 운상원 = 107
 6. 선도 = 120
 7. 선도와 풍류도 = 134
맺는 말 = 143
주 = 146
더 읽어야 할 자료들 = 194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