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03n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01098411 | |
005 | 20100806122924 | |
007 | ta | |
008 | 040510s2004 ulka 001a kor | |
020 | ▼a 8957261095 ▼g 93700 : ▼c \18,000 | |
040 | ▼a 244002 ▼c 244002 | |
049 | 0 | ▼l 151155673 ▼l 151155674 |
082 | 0 4 | ▼a 401 ▼2 21 |
090 | ▼a 401 ▼b 2004a | |
100 | 1 | ▼a 김진우 ▼0 AUTH(211009)18645 |
245 | 1 0 | ▼a 言語와 認知 : ▼b 촘스키의 內在理論 分析 / ▼d 金鎭宇 지음.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 ▼c 2004. | |
300 | ▼a 438 p. : ▼b 삽도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421-428)과 색인수록 | |
600 | 1 4 | ▼a Chomsky, Noam, ▼d 1928-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1 2004a | 등록번호 1113406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1 2004a | 등록번호 11134065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401 2004a | 등록번호 1410502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01 2004a | 등록번호 15115567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01 2004a | 등록번호 15115567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1 2004a | 등록번호 1113406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1 2004a | 등록번호 11134065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401 2004a | 등록번호 1410502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01 2004a | 등록번호 15115567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01 2004a | 등록번호 15115567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진우(지은이)
陸軍士官學校 卒業 서울大學校 文理大 英文學科 卒業 하와이大學校 大學院 碩士課程 卒業 陸軍士官學校 英語科 敎授歷任 전 中央大學校 文科大 英文學科 敎授(英語學) 주요 저서 英語敎育의 原理와 方法(裕豊出版社, 1983) 英語敎授法(共著, 新雅社, 1984) 現代言語學의 理解(翰信文化社, 1986) 言語와 心理(翰信文化社, 1988) 言語敎育과 心理學(中央大 出版部, 1990) 人間과 言語(集文堂, 1992) 言語와 意思疏通(翰信文化社, 1994) 言語와 文化(中央大 出版部, 1996) 詩와 言語(한국문화사, 1998) 認知言語學의 理解(한국문화사, 1999) 言語習得의 理論과 實相(한국문화사, 2001) 第二語 習得硏究(한국문화사, 2002) 言語와 認知(한국문화사, 2004) 隱喩의 理解(나라말, 2005) 言語의 起源(한국문화사, 2006) 言語와 思考(한국문화사, 2008) 言語와 修辭(한국문화사, 2010) 言語와 腦(한국문화사, 2011) 言語와 精神(한국문화사, 2012) 言語와 言語理論(한국문화사, 2014) 言語와 意味(한국문화사, 2016) 言語와 談話(한국문화사, 2017) 言語와 言語學(한국문화사, 2020)

목차
목차 서문 = ⅴ 제1장 Chomsky의 충격과 각분야의 반응(Ⅰ) : 심리학과 언어학측의 반응 = 1 1.1 언어와 인지의 상호 불가분성 = 1 1.2 Chomsky의 충격 = 3 1.3 심리학측의 반응 = 5 (1) Slobin = 6 (2) McClelland와 Rumelhart = 7 (3) Whitney = 9 (4) O'Grady = 10 1.4 언어학 내의 동향 = 12 1.4.1 형식주의자들 = 13 (1) Fillmore = 13 (2) Gazdar = 15 (3) Bresnan = 19 (4) Perlmutter = 23 (5) Montague = 25 1.4.2 기능주의자들 = 28 (1) Halliday = 29 (2) Dixon = 32 1.4.3 심리주의자들 = 37 (1) Langacker = 39 (2) Lakoff = 45 제2장 Chomsky의 충격과 각 분야의 반응(Ⅱ) : 철학과 인공지능학측의 반응 = 55 2.1 철학측의 반응 = 55 (1) Davidson = 58 가) 독자성 = 58 나) 의미론 지향 = 63 다) 경험주의 = 66 (2) Searle = 69 가) 상황주의 = 69 나) 기능주의 = 71 다) 심리주의 = 74 (3) Devitt과 Sterelny = 79 가) 사고 우위주의 = 79 나) 경험주의 = 83 다) 수용주의 = 86 2.2 인공지능학 측의 반응 = 89 (1) Winograd = 92 가) 계산주의적 언어모형 = 93 나) 철학적 언어관 = 95 (2) Schank = 97 가) 개념체의 이론 = 97 나) 대본의 이론 = 99 (3) Winston = 101 가) 빈칸 채우기의 이론 = 102 나) 틀의 이론 = 104 제3장 Chomsky의 내재이론 = 109 3.1 비평적인 분석의 필요성 = 109 3.2 Chomsky의 내재이론의 실체 = 116 3.2.1 표준이론 = 117 (1) 문법이론 = 118 (2) 언어습득이론 = 120 (3) 문법의 모형 = 122 3.2.2 지배와 결속의 이론 = 126 (1) 문법의 모형 = 130 (2) 문법이론 = 131 (3) 유표성의 이론 = 134 3.2.3 최소주의의 이론 = 135 (1) 문법의 모형 = 137 (2) 문법이론 = 139 3.3 논리상의 문제점 = 142 3.3.1 간접 논증법 = 142 3.3.2 가설 형성법 = 144 3.3.3 자료 제한법 = 151 3.4 내용상의 문제점 = 155 3.4.1 보편문법의 실체 = 155 3.4.2 어휘의 문제 = 161 3.4.3 경험의 역할 = 164 3.4.4 다른 인지체계와의 관계 = 174 (1) 내성법적 관찰 = 174 (2) 수행의 개념 = 177 제4장 대림이론으로서의 연결주의 = 179 4.1 연결주의의 출현의 의의 = 179 4.2 연결주의의 실체 = 182 (1) 신경망의 구조와 작동 절차 = 183 (2) 학습 원리 = 185 4.3 두 가지 실례 = 187 (1) 영어동사의 과거시제의 학습에 대한 연구 = 187 (2) 문법적 구조와 분배적 표현체에 대한 연구 = 192 4.4 두 가지 반론 = 201 (1) 언어의 규칙 = 202 (2) 연결주의와 인지적 구조체 = 212 가) 고전주의와 연결주의의 차이점 = 213 나) 연결주의의 맹점 = 215 다) 연결주의의 장점과 발전방향 = 218 4.5 종합적인 평가 = 224 (1) 본질적인 싸움 = 226 (2) 내재성의 문제 = 227 (3) 연결주의의 한계성 = 231 가) Rumelhart와 McClelland의 논문 = 231 나) Elman의 논문 = 235 제5장 언어습득시의 양자관계 = 241 5.1 반 Chomsky운동의 근거지로서의 언어습득학 = 241 5.2 보편성에 대한 반증 = 244 5.3 의미중심의 문법 = 255 (1) 의사소통상의 필요성 = 256 (2) 지력과 언어력의 병진적 발달 = 262 가) 어휘습득의 측면 = 263 나) 문법습득의 측면 = 268 다) 화법습득의 측면 = 272 5.4 언어능력의 통합적 발달 = 277 (1) 의미적 보조의 가설 = 280 (2) Choi와 Bowerman의 연구 = 283 5.5 개인차의 문제 = 288 (1) 속도와 양태 = 289 (2) 언어습득에 영향을 주는 요소 = 290 제6장 언어사용시의 양자관계 = 295 6.1 세 가지 접근법 = 295 6.2 화용론적 접근법 = 300 6.2.1 담화의 능력 = 300 (1) 담화의 형식에 관한 능력 = 301 (2) 담화의 내용에 관한 능력 = 308 6.2.2 대화의 세 가지 원리 = 311 (1) 협력의 원리 = 311 (2) 정중성의 원리 = 314 (3) 관련성의 원리 = 320 6.2.3 언어사용의 책략 = 327 (1) 전인성 유지의 책략 = 328 (2) 상황의존의 책략 = 332 가) 화자의 방책 = 332 나) 청자의 방책 = 336 (3) 경제성 유지의 책략 = 338 (4) 표현성 확대의 책략 = 343 6.2.4 통사론과 화용론의 접합 = 349 (1) Kuno의 기능통사론 = 350 (2) Erteschik-Shir의 초점 구조론 = 353 (3) Polinsky의 정보구조론 = 356 6.3 심리언어학적 접근법 = 358 6.3.1 두 가지 모형 = 359 6.3.2 두 가지 실험 = 362 (1) Clancy 등에 의한 언어처리의 책략에 관한 실험 = 363 (2) smith와 Wheeldon에 의한 언어산출시의 처리범위에 관한 실험 = 368 6.4 수사학적 접근법 = 376 6.4.1 수사기법의 보편성 = 376 6.4.2 수사기법의 심리적 실재성 = 380 6.4.3 Grady의 수정된「導管 은유론」 = 384 제7장 여타의 관련된 문제와 결론 = 389 7.1 언어학적인 문제로부터 철학적인 문제까지 = 389 7.2 언어학적인 문제들 = 390 7.2.1 언어 기원설에 관한 문제 = 390 7.2.2 역사 언어학에 관한 문제 = 393 7.2.3 문법화의 이론과 관련되는 문제 = 397 7.3 철학적인 문제들 = 401 7.3.1 본능에 관한 문제 = 402 7.3.2 과학적 연구방법에 관한 문제 = 407 7.4 결론 = 412 (1) 영향 = 413 (2) 타당성 = 415 참고문헌 = 421 찾아보기 = 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