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언어교육원 총서를 발행하며 = ⅲ
머리말 = ⅴ
Ⅰ. 21세기 언어평가에 대한 새로운 관점
1. 21세기의 언어평가 방식 / 최인철 = 3
Ⅰ. 컴퓨터 개별적응시험 = 5
1. CAT의 현황 = 5
2. CAT의 장점 = 6
3. CAT의 제약점 = 7
4. CAT의 중요 고려사항 = 8
Ⅱ. Computer/Web-Adaptive/Based 언어테스팅의 발전 = 14
1. TOEFL CBT = 14
2. CommuniCAT = 26
3. DIALANG : Web-Bases Test = 29
Ⅲ. 수행평가 분야의 발전 방향 = 31
1. 음성인식 기술의 활용도 = 31
2. 자연언어 처리기술 활용도 = 38
Ⅳ. 결론 = 45
2. 반실증주의적 패러다임에서 이해한 영어시험 사용자와 한국 영어평가학 / 신동일 = 53
Ⅰ. 시험개발 과정에서의 영어시험 사용자의 관점 = 55
Ⅱ. 새로운 타당도의 개념과 영어시험 사용자의 관점 = 56
Ⅲ. 실증주의 논쟁과 영어시험 사용자의 관점 = 62
1. 실험 및 비교 데이터와 맥락의 단순화 = 66
2. 공유하지 못하는 영어평가 개념과 이질적인 학습 문화 = 68
3. 감독관으로서의 영어평가자 위치 = 69
Ⅳ. 결론 = 72
Ⅱ. 언어평가체제의 모형
3. 외국어 능력 검정시험 개발 모델 / 최인철 = 81
Ⅰ. 언어능력 요소, 시험내용 및 속성 = 81
1. 언어능력 요소 = 81
2. 시험내용 영역 및 구성 = 82
3. 평가이론적 고려사항 = 85
Ⅱ. 외국어능력 평가방법 = 90
1. 언어테스팅의 시험방식 양상 = 90
2. 영역별 시험 구성, 비중 및 방식 = 91
3. 선택지 개발시 유의사항 = 101
4. 출제 4차원 요소 = 104
5. IRT를 활용한 능력급수 결정 = 105
6. 종합능력 평가 및 진단 평가 = 105
Ⅲ. 외국어능력 시험유형 = 105
1. 문법시험 = 106
2. 어휘력 시험(단어, 숙어, 접사) = 108
3. 청해시험 = 109
4. 독해시험 = 117
4. 초등영어 평가체제의 모형 / 이완기 = 129
Ⅰ. 초등영어 평가의 필요성 = 131
Ⅱ. 초등영어 평가의 방향 = 133
1. 교육과정상의 진술 = 133
2. 초등영어 평가의 기본 방향 = 135
Ⅲ. 초등영어 평가의 내용과 방법 = 137
1. 과정평가(過程評價)[상시 평가] = 138
2. 총괄평가(總括評價)[기말 평가] = 150
Ⅳ. 평가결과의 보고 = 162
Ⅴ. 결론 = 163
Ⅲ. 말하기 및 작문 평가
5. 모의구술면접의 타당도 검증 / 최인철 = 169
Ⅰ. 이론적 배경 = 170
1. 의사소통능력 요소 = 170
2. 이론적 평가요소 = 171
3. 말하기 능력 평가방식 = 172
Ⅱ. 연구방법 = 174
1. 현실적 평가요소 = 174
2. 평가요소 및 평가척도별 의사소통능력 = 175
3. 평가도구 = 178
4. 연구방법 = 183
Ⅲ. 연구결과 = 184
1. 일반화 가능도 = 184
2. 다중회귀분석 및 신뢰도분석 = 190
3. 요인분석 = 194
4. TOP의 평가요소 간 상관관계 및 TOP-SET 상관관계 = 196
Ⅳ. 결론 = 199
1. 시험방식의 타당성 = 199
2. 후속 연구를 위한 새로운 평가방법 = 200
6. 대학생의 영어 말하기 능력 평가 모형 / 이완기 = 223
Ⅰ.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24
1. 평가 절차 개발 = 224
2. 결과 분석 및 해석 = 225
Ⅱ. 영어 말하기 평가의 요건 = 226
1. 말하기 능력의 구성요소 = 226
2. 주관적 판단에 의한 평가 = 227
3. 현실적 교육 여건의 적합성 = 228
Ⅲ. 영어 말하기 펑가의 방법 = 229
1. 평가문항의 개발 = 229
2. 평가척도의 개발 = 235
3. 평가의 실시 및 녹화 = 237
4. 평가자 교육 = 238
5. 평가결과의 해석 = 239
Ⅳ. 결론 = 245
7. ACTFL-SOPI 평가의 실제 적용문제와 현실적 제안 / 신동일 = 255
Ⅰ. ACTFL과 (S)OPI = 256
1. ACTFL = 256
2. (S)OPI = 258
3. ACTFL-(S)OPI 평가체제의 수정 필요성 = 259
Ⅱ. ACTFL-(S)OPI 평가체제의 문제점과 대안 = 261
1. 평가의 목표언어 사용환경 수정 : 원어민과 ESL 환경 중심에서 탈피 = 261
2. 보다 한국적인 상황을 고려한 의사소통 중심의 평가영역 설정 = 263
3. 수행 과제의 선형적 난이도 해체 = 266
4. 보다 타당한 수행 과제 및 내용 선정 = 268
5. 경제적이면서 의미있는 평가척도 설정 = 270
6. 분리식 채점방법의 적극적인 고려 = 271
7. 내부적 일관성을 강조한 채점자 훈련 프로그램 = 275
8. 문항개발과 채점의 효율성을 위한 내재적 평가설계 제안 = 276
Ⅲ. 결론 및 앞으로의 연구과제 = 278
8. 영어작문 평가의 채점신뢰도에 대한 분석 / 이영식 = 287
Ⅰ. 연구내용 = 289
Ⅱ. 연구방법 = 291
1. 피험자 = 291
2. 시험문제 = 292
3. 채점자 = 292
4. 채점방식 = 293
5. 기준 채점자 = 293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 294
1. 채점결과 비신뢰성의 검증 = 294
2. 모든 국면의 분석결과 = 295
3. 부적합 및 과적합 = 298
4. 채점자의 엄정성 차이 = 301
5. 사용된 단계의 적합성 = 302
Ⅳ. 결논 = 305
9. 영어작문 평가에 대한 채점자 훈련의 원리 / 이영식 = 311
Ⅰ. 채점자 훈련의 제 양상 = 312
1. 채점자 훈련의 의미 : 채점자 교육 및 채점자 조정 = 312
2. 채점자 훈련의 목표 : 자기일관성 및 상호일치성 = 313
3. 공동사회화 : 채점자들의 공동사회 조성 = 316
4. 채점훈련과 실제 채점 = 317
5. 채점방식 : 총체적 채점 및 분석적 채점 = 318
6. 기타 기술적인 고려사항 = 320
Ⅱ. 결론 = 323
1. 영어작문 평가에 대한 채점자 훈련의 몇 가지 원칙 = 323
2. 미래 연구를 위한 제언 = 327
10. 외국어로서의 영어작문 평가지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이영식 = 333
Ⅰ. 영어작문 평가에 대한 채점방식 = 334
1. 총괄적 채점과 빈도계산 채점 = 336
2. 총괄적 방법과 분석적 방법 = 338
3. 주요 특성 채점 및 복수 특성 채점 = 341
4. 복수 채점 = 342
Ⅱ. 영어작문 채점표 = 344
1. 총괄적 채점표 = 344
2. 분석적 채점표 = 346
3. 절충적 채점표 = 350
Ⅲ. 결론 = 352
11. 고등학생의 영어 말하기 및 쓰기 능력 등급표 개발 사례 / 신동일 = 357
Ⅰ. 연구과제의 국내외 동향 = 359
1. 영어능력 등급표 연구의 현황 = 359
2. Rasch 측정이론의 적용 = 361
3. Facets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 = 363
Ⅱ. 척도 개발 준비 단계 = 364
1. 기존의 평가도구 및 능력기술표 수집과 이론적 토대 검토 = 364
2. 등급표 개발을 위한 평가 과제와 항목 선정 = 366
3. 평가 시행과 수행 결과 데이터 분석 = 369
Ⅲ. 데이터 분석과 등급표 개발 결과 = 372
1. 말하기 능력 등급기술표 = 373
2. 쓰기 능력 등급기술표 = 377
3. 다차원적 구조와 모형 부적합 지수 = 381
Ⅳ. 결론 및 후속 연구 제안 = 384
찾아보기 = 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