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서울대학교 사범대교수 12인과 현직교사 3인이 가르쳐주는)학교공부 바로하기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조창섭
서명 / 저자사항
(서울대학교 사범대교수 12인과 현직교사 3인이 가르쳐주는)학교공부 바로하기 / 조창섭 외[저].
발행사항
서울 :   황금가지 ,   2004.  
형태사항
285p. ; cm.
ISBN
8982734953
일반주기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p.285
000 00627namccc200217 k 4500
001 000001097823
005 20100806122400
007 ta
008 040426s2004 ulk 000a kor
020 ▼a 8982734953 ▼g 03370: ▼c \12,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49 0 ▼l 151157140 ▼l 151157141
082 0 4 ▼a 371.3 ▼2 21
090 ▼a 371.3 ▼b 2004i
245 2 0 ▼a (서울대학교 사범대교수 12인과 현직교사 3인이 가르쳐주는)학교공부 바로하기 / ▼d 조창섭 외[저].
260 ▼a 서울 : ▼b 황금가지 , ▼c 2004.
300 ▼a 285p. ; ▼c cm.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 p.285
700 1 ▼a 조창섭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71.3 2004i 등록번호 1511571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서울대 사범대 교수 12명과 현직 교사들이 학습 영역별로 제대로 공부하는 법을 알려 준다. 여러 저자들이 자신의 전문 분야 과목을 하나씩 맡아서,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특효의 처방을 제시하고 있다.

저자들은 효율적으로 공부 시간을 관리하려면 가장 먼저 학교 수업 시간에 집중해야 한다는 원칙을 바탕에 두고, 세부적인 학습 노하우를 소개한다.

1부에서는 국어, 영어, 수학, 과학의 네 가지 학습 영역별로 꼼꼼하게 학습법을 체크해 준다. 2부에서는 학업과 관련된 일반론으로 진로와 적성, 수행평가, 시험 불안, 자율적 학습 습관 등에 대해서 속 시원한 해답을 들려 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백순근(지은이)

<학력 및 경력> -(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한국교육개발원 원장 -한국교육평가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본부장 -OECD CERI(교육연구혁신센터) 운영위원 -UNESCO 한국위원회 운영위원 -대통령직속 미래기획위원회 위원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사무총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 교육평가연구조정위원 -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 -미국 버클리대(UC Berkeley) 특별연구원 -서울대 교육연구소 연구원 -미국 버클리대(UC Berkeley) 대학원 교육학과 졸업(교육측정ㆍ평가전공, Ph.D.) -서울대 대학원 교육학과 졸업(교육측정ㆍ평가 전공, 석사) -서울대 사범대학 교육학과 졸업(학사) <주요 저서> -선생님, 어디계세요?(교육과학사, 2011)(공저)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평가(학지사, 2010)(공저) -세계화와 교육(교육과학사, 2009)(공저) -白교수의 百가지 교육이야기(교육과학사, 2009) -교육측정의 이론과 실제(교육과학사, 2007)(편저) -일제강점기의 교육평가(교육과학사, 2003) -교과교육평가의 이론과 실제(원미사, 2003)(공저) -문항반응이론의 이론과 실제(서현사, 2003)(공역) -유아연구 및 평가(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2003)(공저) -수행평가: 이론적 측면(교육과학사, 2002) -수행평가의 원리(교육과학사, 2000) -고등학교 각 교과별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총 10권)(교육진흥연구회, 1999)(공저)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총 6권)(교육진흥연구회, 1999)(공저) -열린교육의 이론과 교수 방법(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1999)(공저) -중학교의 각 교과별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원미사, 1998)(편저) -컴퓨터를 이용한 개별적응검사(원미사, 1998)(공저) -국가 교육평가 정책수립 방안 연구(한국교육개발원, 1997)(공저) -초등학교의 새로운 평가제도에 따른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6)(공저) -학교생활기록부 도입에 따른 성취수준평가의 이론과 실제(교학사, 1996)(공저) 등 다수

송진웅(지은이)

<학교 공부 바로 하기>

조창섭(지은이)

1940년 경남 산청군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독어교육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교에서 현대 문학을 전공으로, 교육학을 부전공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6년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독어교육과에 재직 중이다. 지은책에 <독일 표현주의 드라마>, <여명기에서 폭풍노도기까지의 독일문학>, <예술시대의 독일문학>, <현실주의 독일문학> 등이 있다.

김종철(지은이)

중앙대학교 교수, 대학원장,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를 지냈으며, 한국교육학회 회장, 미국동서문화센터 연구교환교수, Phi Kappa Phi Honor Society 종신회원 등을 지냈다. 지은 책으로 <세계 안의 한국교육>, <교육계획론>, <한국고등교육연구>, <교육행정의 이론과 실제>, <한국교육과 행정의 제 문제>, <한국교육정책연구> 등이 있다.

김희백(지은이)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과학교육학회 학술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세계생물올림피아드 한국위원장과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를 맡고 있습니다.

남조우(지은이)

<학교 공부 바로 하기>

권오량(지은이)

<학교 공부 바로 하기>

최수일(지은이)

<학교 공부 바로 하기>

장원석(지은이)

<다다 언어영역 파이널 모의고사 (테이프 별매)>

나영일(지은이)

서울대에서 조선시대 무사체육에 관한 연구로 교육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용인대 체육학과 교수를 거쳐 1999년부터 현재까지 서울대 교수로 재직 중이며, 일본 쓰쿠바대 외국인 연구교수와 중국 연변대 객좌교수도 역임하였다.한국체육 발전을 위해 체육시민연대 공동대표를 맡고 있으며, 한국체육사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전근대와 근대의 체육사에 대한 주제로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정조시대의 무예》,《무과총요연구》,《조선중기 무예서 연구》,《스포츠 손자병법》,《체육사》,《체육과 스포츠의 역사》,《우리활터 석호정》등이 있으며, 공역으로《청소년을 위한 체육》등이 있다.

김동일(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육상담전공 교수 및 대학원 특수교육전공 주임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원장, 장애학생지원센터 상담교수, 서울대 특수교육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교육부 국비유학생으로 도미하여 미네소타 대학 교육심리학과에서 석사·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Developmental Studies Center, Research Associate, 한국청소년상담원 상담교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한국학습장애학회 회장, (사)한국교육심리학회 회장, 서울대 사범대 기획실장, 국가 청소년보호위원회 위원, BK21 미래교육디자인연구사업단 단장 등을 역임하였다. 국가수준의 인터넷중독 척도와 개입연구를 진행하여 정보화역기능예방사업에 대한 공로로 행정안전부 장관표창 및 연구논문/저서의 우수성으로 교육부 학술상(상장 20-1075), 한국상담학회 학술상(2014-2/2016/2022)과 학지사 저술상(2012)을 수상하였다. 현재 BK21FOUR 혁신과 공존의 교육학연구사업단 단장, SSK교육사각지대학습자연구단 단장,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회장, 여성가족부 학교밖청소년지원위원회(2기) 위원, 국무총리실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중독분과) 민간위원 등으로 봉직하고 있다. 『지능이란 무엇인가』,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청소년 상담학 개론』을 비롯하여 50여 권의 저·역서가 있으며, 300여 편의 등재 전문학술논문(SSCI/KCI)과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A)를 포함하여 30여 개의 표준화 검사를 개발하였다.

김계현(지은이)

<학교 공부 바로 하기>

신종호(지은이)

감정 위에서 파도 타는 법을 알려주는 교육학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부와 석사 과정을 마친 후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교육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서울대학교 학습창의센터에서 미래 인재의 학습 역량과 창의성 개발을 위한 실천 방안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tvN 〈유 퀴즈 온 더 블록〉, 〈책 읽어주는 나의 서재〉, EBS 〈당신의 문해력〉, 〈클래스 e〉, SBS 〈부모 vs 학부모〉 등에 출연해 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교육 고민의 해법을 제시해오면서 사람의 마음을 헤아리는 전 국민 공부 멘토이자 교육 전문가로 주목받고 있다. 개인의 성장을 돕고 행복을 찾는 교육의 본질을 나누기 위해 대중강연과 방송, 글쓰기 활동에도 힘쓰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이런 공부법은 처음이야』, 『교육심리학』, 『폭력 없는 행복학교 만들기』, 『창의 혁명』 등이 있다.

양현권(지은이)

<학교 공부 바로 하기>

조한혁(지은이)

서울대 수학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공저로 <학교 공부 바로 하기>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 학습 영역별 공부 방법
머리말 _ 자녀의 능력과 소질에 맞게 교육하라 / 조창섭[서울대 사범대 학장] = 7
 언어 영역
  국어 학습법 : 국어 실력, 읽는 만큼 쌓인다 / 김종철[서울대 국어교육과 교수] = 17
  논술 학습법 : 논술 시험 잘 보려면 마라토너가 돼라 / 장원석[서초고등학교 교사] = 43
 외국어 영역
  영어 학습법 : 실제로 쓸 수 있는 영어의 레퍼토리를 늘려라 / 권오량[서울대 영어교육과 교수] = 72
  수능 영어 : 영어 잘하기 위한 쉽고도 확실한 방법 / 남조우[백영고등학교 교사] = 96
 수학 영역
  수학 학습법 : 수학, 원리부터 정복하라 / 조한혁[서울대 수학교육과 교수] = 119
  수능 수학 : 백 문제보다 더 나은 한 문제 풀기 / 최수일[용산고등학교 교사] = 142
 과학 영역
  과학 학습법 : 과학 교과서의 목차부터 잡아라 / 송진웅[서울대 물리교육과 교수] = 171
  과학 탐구 : 과학적 창의성을 기르는 법 / 김희백[서울대 생물교육과 교수] = 196
제2부 제대로 공부하기 위하여
 진로와 적성
  진로와 적성 찾기 : 진로와 적성, 어떻게 알 수 있나? / 김계현[서울대 교육학과 교수] = 219
 수행평가
  수행평가 잘하기 : '암기 천재'의 시대는 끝났다 / 백순근[서울대 교육학과 교수] = 237
 시험 불안
  시험 불안 극복하기 : 시험 불안 해결하는 법 / 신종호[서울대 교육학과 교수] = 251
 자율적 학습 습관
  자율적 학습자 되기 : 자율적 학습으로 학습 부진 해결하기 / 김동일[서울대 교육학과 교수] = 266
기획하며 _ 학생과 학부모 중심의 공교육 기반 정립을 위하여 / 양현권[서울대 영어교육과 교수, 사범대 기획실장] ; 나영일[서울대 체육교육과 교수, 사범대 학생부학장] = 281


관련분야 신착자료

한국교육행정학회 (2023)
강진령 (2023)
Cohen, David K.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