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rologue 머리말 = 5
Part Ⅰ 언어습득의 신체적 기저
Chapter 1 언어의 발생과 언어학적 유전인자
1.1. 언어의 신성설 = 20
1.2. 언어의 발생론 = 20
1.2.1. 푸푸설 = 21
1.2.2. 멍멍설 = 22
1.2.3. 노래설 = 22
1.2.4. 딩동설 = 22
1.2.5. 끙끙설 = 22
1.2.6. 맘마설 = 23
1.3. 언어학적 유전 인자 = 23
1.3.1. 유전과 언어 답습 = 24
1.3.2. 유전 원리의 발견 = 24
1.3.3. 염색체와 언어학적 유전자 = 26
1.4. 침팬지의 언어 실험 도전 = 28
1.5. 요약 = 35
1.6. 토의점 = 36
참고문헌 = 37
Chapter 2 언어습득의 신경 생리적 기지
2.0. 두뇌 조직 = 40
2.1. 전두엽의 언어 기능 = 44
2.1.1. 운동 중추 = 45
2.1.2. 억제대 = 47
2.1.3. Broca의 영역 = 48
2.1.4. Exner의 영역 = 48
2.1.5. 전두엽의 기능 = 48
2.2. 두정엽의 언어 기능 = 51
2.2.1. 각상회 = 51
2.2.2. 연상회 = 52
2.2.3. 두정엽의 기능 = 52
2.3. 측두엽의 언어 기능 = 55
2.3.1. Wernicke의 영역 = 55
2.3.2. 명명 영역 = 57
2.3.3. 측두엽의 기능 = 59
2.4. 후두엽의 언어 기능 = 62
2.4.1. 후두엽의 기능 = 63
2.5. 신경 구조의 언어 기능 = 66
2.5.1. 신경원의 작용 = 67
2.6. 두 개 신경의 언어 기능 = 68
2.7. 요약 = 71
2.8. 토의점 = 74
참고문헌 = 75
Chapter 3 두뇌 기능의 국재론과 측면화
3.1. 두뇌 기능의 국재론 = 78
3.2. 두뇌 기능의 측면화 현상 = 81
3.3. 두뇌 측면화의 이론적 근거 = 84
3.4. 두뇌 측면화와 언어습득 시기 = 89
3.5. 요약 = 90
3.6. 토의점 = 91
참고문헌 = 92
Part Ⅱ 호흡, 발성, 조음, 청각 습득의 기저
Chapter 4 말의 신체적 습득 기저
4.1. 호흡 기관 = 98
4.2. 공기 흡입과 배기 = 100
4.3. 호흡 기관 작용과 기능 요약 = 105
4.4. 발성 기관 = 106
4.5. 발성 조직과 작용 = 107
4.6. 발성과 음성 습득 = 117
4.7. 발성 기관의 작용과 기능 요약 = 120
4.8. 조음 기관 = 121
4.9. 조음 기관의 작용 = 121
4.10. 말소리 발성과 조음 = 125
4.11. 요약 = 127
4.12. 토의점 = 127
참고문헌 = 128
Chapter 5 말소리 발성과 조음의 습득
5.1. 모음 발성 습득 = 130
5.2. 공명음 발성 습득 = 132
5.3. 자음 발성 습득 = 133
5.4. 조음 조직 습득 시기 = 138
5.5. 모음과 자음의 상호작용 습득 = 140
5.6. 이음 습득 = 141
5.7. 변별적 자질 습득 = 142
5.8. 분절음 발성 시간 검사 = 147
5.9. 요약 = 148
5.10. 토의점 = 148
참고문헌 = 149
Chapter 6 청각 청취력 습득
6.1. 청각 기관 = 152
6.1.1. 외이 = 152
6.1.2. 중이 = 153
6.1.3. 내이 = 155
6.2. 청각 청취 이론 = 158
6.3. 청각 청취력의 발달 = 161
6.4. 말소리에 대한 지각 = 162
6.5. 청취력과 음향학적 요소 = 163
6.5.1. 모음 청각 = 164
6.5.2. 이중 모음 청각 = 167
6.5.3. 반모음 청각 = 168
6.5.4. 비음 청각 = 169
6.5.5. 자음 청각 = 169
6.6. 초분절음 청각 = 174
6.7. 청각 판정 검사 및 식별 검사 = 175
6.8. 청각 이해 검사 = 178
6.9. 요약 = 179
6.10. 토의점 = 181
참고문헌 = 182
Part Ⅲ 언어습득이론과 문법
Chapter 7 행동주의 언어학습론과 구조주의 문법
7.1. Pavlov의 고전적 조건화 학습이론 = 188
7.2. Watson의 단어 형성 이론 = 190
7.3. Skinner의 작동 조건화 학습 이론 = 192
7.4. Fries의 문장 구조 이론 = 196
7.5. 구조주의 문법 분석 = 197
7.5.1. 굴절 형태소 = 200
7.5.2. 파생 형태소 = 201
7.5.3. 억양 강세 요소 = 202
7.5.4. 어순 = 202
7.5.5. 기능어 = 202
7.6. 행동주의 이론과 문법에 대한 비평 = 203
7.7. 요약 = 206
7.8. 토의점 = 207
참고 문헌 = 207
Chapter 8 이성주의 언어습득론과 변형 문법
8.1. 이성주의 언어습득 이론 = 210
8.2. Noam Chomsky = 212
8.3. 언어 생득설 = 214
8.4. 언어 생득설과 초기 변형 문법 = 215
8.5. 초기 변형 문법 = 216
8.5.1. 구 구조 문법 = 216
8.5.2. 변형 규칙 = 218
8.5.3. 형태 음운 규칙 = 220
8.6. 표준 이론 = 221
8.6.1. 통사 부문 = 222
8.6.2. 의미 부문 = 223
8.6.3. 음운 부문 = 225
8.7. 확대 표준 이론 대 생성 의미론 = 226
8.8. 수정 확대 표준이론 = 235
8.8.1. 투영원리 = 236
8.8.2. 핵 계층 구조 규칙 = 237
8.8.3. 경계 이론 = 238
8.8.4. 지배 이론 = 238
8.8.5. 이미론적 격기능론 = 239
8.8.6. 결속 이론 = 239
8.8.7. 격 이론 = 240
8.8.8. 통제 이론 = 241
8.9. Chomsky에 대한 비평 = 241
8.10. 요약 = 243
8.11. 토의점 = 244
참고 문헌 = 245
Chapter 9 인지주의 언어습득론과 격 문법
9.1. 인지 과정 = 248
9.2. 인지와 사고의 관계 = 251
9.3. Jean Piaget = 256
9.4. Piaget의 인지 이론의 기저 = 259
9.4.1 Piaget의 인지 발달 = 261
9.4.2 Piaget의 인지 발달의 네 단계 = 263
9.4.3 Piaget의 감각운동 단계 = 264
9.5. 신 Piaget 학파 = 270
9.6. 동일성과 보존성에 대한 습득 = 274
9.7. 함수 관계 습득 = 274
9.8. 수 개념 습득 = 276
9.9. 형식적 조작 능력 = 277
9.10. 감정과 언어습득 = 280
9.11. 비언어적 요소와 인지 발달 = 282
9.12. 기억 과정 = 283
9.13. 인지론과 언어습득론 = 288
9.14. 인지와 의미 중심 문법 = 292
9.15. 격 문법 = 294
9.16. 구문 습득에 대한 격 문법적 분석 = 297
9.16.1. for-to 구문 = 298
9.16.2. 수동태 구문 = 298
9.16.3. 직접 목적어와 간접 목적어 문장 습득 = 299
9.16.4. 관계대명사 문장 습득 = 299
9.17. 요약 = 300
9.18. 토의점 = 302
참고 문헌 = 303
Part Ⅳ 언어습득 활동
Chapter 10 의사 소통 습득
10.1. 유아의 의사 소통 = 312
10.2. 의사 소통의 발달 = 315
10.2.1. 신생아의 의사 소통 = 316
10.3. 사회화와 초기 의사 소통 활동 = 318
10.3.1. 출생부터 6개월경까지 = 318
10.3.2. 7개월부터 12개월 사이 : 의도의 발달 = 321
10.3.3. 의사 소통 기능 = 322
10.3.4. 어머니의 의사 소통 행위 = 327
10.4. 유아형 사회 반응 행위 = 329
10.4.1. 아기식 대화 = 330
10.4.2. 눈여겨 봄 = 333
10.4.3. 얼굴 표정 = 334
10.4.4. 마주보기와 차례갖기 = 334
10.5. 요약 = 335
10.6. 토의점 = 336
참고 문헌 = 336
Chapter 11 어휘 습득
11.1. 형태소 습득 = 341
11.2. 자립 형태소 습득 = 343
11.3. 첫 단어 = 343
11.4. 부정과 찬성의 단어 = 345
11.5. 첫 단어의 기능 = 346
11.6. 복합어 습득 = 349
11.7. 의존 형태소 습득 = 350
11.8. 복수형 습득 = 354
11.9. 동사 시제 습득 = 357
11.10. 소유격 습득 = 361
11.11. 기타 의존 형태소 습득 = 361
11.12. 형태소 습득 순서 = 362
11.13. 요약 = 364
11.14. 토의점 = 365
참고 문헌 = 366
Chapter 12 문법 습득
12.1. 문법 습득 = 370
12.2. 유아 문법 단계 = 371
12.3. 아동 문법 단계 = 375
12.4. 중간 문법 단계 = 378
12.5. 성인 문법 단계 = 386
12.5.1. 어휘의 하위 범주화와 선택 제한 규칙 습득 = 386
12.5.2. 변형 규칙 습득 = 389
12.5.3. 문법적 제약 규칙 습득 = 394
12.5.4. 문법적 탈락 규칙 습득 = 396
12.5.5. 문법적 여과 규칙 습득 = 397
12.5.6. 격 표시 규칙 습득 = 398
12.5.7. 결속 규칙 습득 = 402
12.6. 요약 = 403
12.7. 토의점 = 404
참고 문헌 = 404
Chapter 13 의미 습득
13.1. 지시적 의미 습득 = 408
13.2. 진리치에 관한 습득 = 412
13.3. 의미 관계 습득 = 415
13.4. 의미와 인지 발달 = 420
13.4.1. 행위자격과 목적격 지시대상 습득 = 421
13.4.2. 행위 지시대상의 습득 = 422
13.4.3. 치수 지시대상의 습득 = 423
13.4.4. 공간과 시간에 대한 지시대상 습득 = 425
13.5. 이중 기능의 용어 의미 습득 = 427
13.6. 문장 의미 습득 = 429
13.7. 요약 = 431
13.8. 토의점 = 431
참고 문헌 = 432
Chapter 14 화용 습득
14.1. 화용이론의 발달 = 437
14.2. 화용 연구의 내용 = 438
14.3. 이중언어 한국 어린이와 미국 어린이의 화용론적 영어 습득 = 439
14.3.1. 직시 습득의 실제와 활용 = 439
14.3.2. 함축 습득의 실제와 활용 = 443
14.3.3. 전제 습득의 실제와 활용 = 447
14.4. 화행 이론과 습득의 실제 = 448
14.4.1. 화행 이론 = 448
14.4.2. 화행 습득의 실제와 활용 = 455
14.5. 요약 = 460
14.6. 토의점 = 461
참고 문헌 = 461
Chapter 15 통사 발달 습득 실험
15.1. Easy to see 구문 습득 = 464
15.2. Promise 동사 구문 습득 = 472
15.3. Ask/tell 동사 구문 습득 = 476
15.4. 대명사화 습득 = 477
15.5. And와 Although 습득 = 484
15.6. 관계 대명사 = 488
15.7. 요약 = 494
15.8. 토의점 = 495
참고 문헌 = 497
Chapter 16 외국어 습득과 학습 모형
16.1. 외국어 습득론과 학습 이론 = 500
16.1.1. 습득론과 학습론의 차이 = 500
16.1.2. 외국어 문법 습득의 자연 발생론 = 503
16.1.3. 언어 입력론 = 505
16.1.4. 정서 여과론 = 507
16.2. 언어습득 및 학습 모형 = 509
16.2.1. 모국어 습득 모형 = 509
16.2.2. 외국어 습득 및 학습 모형 = 512
16.3. 요약 = 517
16.4. 토의점 = 518
참고 문헌 = 518
Epilogue 맺음말 = 521
색인 = 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