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4
제1편 고대의 음악(기원전 8∼7세기 이전-기원전 2세기말)
제1장 원시음악의 발생발전 = 7
제2장 고대음악의 발전 = 13
제1절 고대음악개관 = 13
제2절 고조선의 음악 = 16
제3절 부여의 음악 = 24
제4절 전국의 음악 = 26
제2편 삼국시기의 음악(기원전 1세기초-7세기중엽)
제1장 삼국시기의 사회력사적 환경과 음악개관 = 33
제2장 고구려의 음악 = 39
제1절 가요의 발전 = 39
제2절 기악의 발전 = 47
제3절 고취악, 관현아그이 발전 = 66
제4절 이웃나라들과의 음악교류 = 73
제3장 백제의 음악 = 77
제1절 가요의 발전 = 77
제2절 기악의 발전 = 83
제3절 이웃나라들에 전해진 백제음악 = 86
제4장 전기신라의 음악 = 93
제1절 가요의 발전 = 93
제2절 향가의 발생 = 107
제3절 기악과 정재예술의 발전 = 112
제4절 이웃나라들과의 음악교류 = 122
제3편 발해, 후기신라 시기의 음악(7세기말엽-10세기초엽)
제1장 발해, 후기신라 시기의 사회력사적 환경과 음악개과 = 126
제2장 발해의 음악 = 130
제1절 가요의 발전 = 131
제2절 기악의 발전 133
제3절 이웃나라들과의 음악교류 = 136
제3장 후기 신라의 음악 = 138
제1절 가요의 발전 = 139
제2절 향가음악의 발전 = 142
제3절 민간기악과 극음악의 발전 = 149
제4절 기악과 정재예술의 발전 = 152
제4편 고려전반기의 음악(10세기초엽-12세기중엽)
제1장 고려전반기의 사회력사적환경과 음악개관 = 159
제2장 전통적인 민족음악의 발전 = 165
제1절 가요의 발전 = 165
제2절 시조, 가곡의 발생 = 172
제3절 기악의 발전 = 183
제3장 악제와 궁중음악형식의 발전 = 208
제1절 악제의 확립과 악인의 처지 = 208
제2절 궁중음악의 발전 = 216
제3절 고취악의 발전 = 224
제5편 고려후반기의 음악(12세기말-14세기말)
제1장 고려후반기의 사회력사적 환경과 음악개관 = 228
제2장 전통적인 민족음악의 발전 = 234
제1절 민요의 활발한 창작 = 234
제2절 가곡의 발전 = 245
제3절 별곡체가요의 발생 = 257
제4절 일반가요의 활발한 창작 = 279
제5절 민간기악과 극음악의 발전 = 284
제3장 궁중음악형식의 변천과 향악의 발전 = 292
제1절 아악의 쇠퇴와 향악, 당악의 병용 = 292
제2절 고려말 아악의 재정비 = 295
제3절 향악, 아악의 음악상 특성 = 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