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36n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01089078 | |
005 | 20100805113226 | |
007 | ta | |
008 | 030317s2003 ulka 000a kor | |
020 | ▼a 8947524131 ▼g 03320: ▼c \11,000 | |
040 | ▼a 244002 ▼c 244002 ▼d 244002 | |
049 | 0 | ▼l 151143653 ▼l 151143654 |
082 | 0 4 | ▼a 330 ▼2 21 |
090 | ▼a 330 ▼b 2003zb | |
245 | 0 0 | ▼a 맛있는 경제 톡쏘는 경제 / ▼d 허원순... [등저]. |
260 | ▼a 서울 : ▼b 한국경제신문 , ▼c 2003. | |
300 | ▼a 333 p. : ▼b 삽도 ; ▼c 23 cm. | |
500 | ▼a 경제전문기자 5인의 맛깔스런 경제 이야기 | |
500 | ▼a 공저자: 김수언, 김인식, 유영석, 오상헌 | |
700 | 1 | ▼a 허원순 |
700 | 1 | ▼a 김수언 |
700 | 1 | ▼a 김인식 |
700 | 1 | ▼a 유영석 |
700 | 1 | ▼a 오상헌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30 2003zb | Accession No. 15114365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30 2003zb | Accession No. 15114365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경제학을 알기 쉽게 설명한 소개서. 최대한 친근하게 경제이론을 알려준다. '콜라는 왜 첫잔이 가장 맛있을까?'라는, 일상 속의 체험을 통해 '한계효용의 법칙'을 풀이하는 식이다. 경제학의 기초 원리인 수요와 공급 법칙은 피서철 '바가지 요금'에 빗대 설명했다.
잘못 알고 있는 경제원리는 올바로 고쳐준다. 소비와 저축 가운데 어느 쪽이 미덕인지, 경제성장률은 무조건 높을수록 좋은지, 금리는 낮을수록 좋은 것인지, 경상수지 흑자는 바람직하고 적자는 항상 경계해야 하는지 등등.
그밖에 주변에서 늘 마주치는 시사 현안과 경제현안--공기업 민영화, 기업규제, 주5일근무제, 거품경제 논란, 세계화 논쟁, 소액주주운동--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지은이는 「한국경제신문」에서 경제부 기자로 활동하고 있는 5명의 기자다. 골치 아픈 '경제'를, 한결 친근한 대상으로 다가서게 하는 책.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허원순(지은이)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으로 12년, 신문사 근무로는 33년째 일하고 있다. 한경 국제부장과 지식사회부장을 지냈으며, 사설과 칼럼을 쓰면서 정부의 각종 위원회에도 여러 곳 참여해왔다. 공공기관운영위원과 기획재정부·행정안전부 성과평가위원을 지냈다. 중앙투자심사위원을 비롯해 교부세위원, 지방재정위기관리위원, 지방공기업정책위원, 지방공기업선진화추진위원, 행정안전부 정책자문위원 등을 지냈거나 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한국예탁결제원, 여신금융협회, 서울시 등 자문위원도 해왔다. 현장기자 때는 청와대, 총리실, 재정경제부, 기획예산처, 금융감독위원회, 산업자원부, 공정거래위원회, 국세청 등 정부 부처를 많이 담당했다.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을 두 번 받았으며, 대통령의 해외 출장에 17차례 동행 취재를 하는 등 취재로 46개국을 방문했다. 쓴 책으로 《하이테크 시대의 로테크》, 《대통령으로 산다는 것》, 《맛있는 경제 톡 쏘는 경제(공저)》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과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을 졸업했으며, 미국 조지타운대학교에서 1년간 객원연구원을 지냈다.
김수언(지은이)
고려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한국경제신문' 정보과학부, 문화부를 거쳐 현재 경제부 기자로 재직 중이다.
김인식(지은이)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한국경제신문' 사회부, 증권부, 경제부 정책팀을 거쳐 현재 한국경제 경제부 금융팀 기자로 재직 중이다. 한국기자협회 '이 달의 기자상'(1998년)을 수상했다.
유영석(지은이)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고려대 국제대학원을 졸업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자유기업센터 기업연구실 연구원과 '한국경제신문' 경제부, 사회부 기자를 거쳐 현재 '한국경제신문' 국제부 기자로 재직 중이다.
오상헌(지은이)
서울대 국사학과를 졸업했다. '한국경제신문' 경제부 기자를 거쳐 현재 '한국경제신문' 사회부 기자로 재직 중이다.

Table of Contents
목차 경제 뒤집어보기 = 3 1 경제의 수수께끼 콜라는 첫 잔이 제일 맛있다 - 한계효용 체감 = 13 학생요금이 더 싼 이유 - 가격차별 = 17 경기는 왜 좋다가도 나빠지고, 나쁘다가도 좋아질까 = 21 돈에도 가격이 있나 = 25 빈방을 공짜로 빌려주면 호텔이 손해인가 = 29 무역을 하는 이유 = 33 물가는 왜 오르기만 할까 = 37 바가지 요금은 나쁜 것인가 - 수요와 공급의 법칙 = 41 보험에 드는 이유 = 45 사은품은 정말 공짜일까 = 49 이자가 비싸도 사채를 쓰는 이유 = 53 직접세와 간접세 = 56 어음이란 무엇인가 = 59 돈이 필요하면 찍어내면 그만 아닌가 - 통화량 = 63 환율이 오르면 수출이 늘어나는가 = 66 2 경제의 지혜 소비와 저축, 어느 쪽이 미덕인가 = 71 경제성장률은 높을수록 좋다? = 74 외환보유액은 많을수록 좋다? = 77 수입은 적을수록 좋다? = 80 경상수지 흑자는 좋고 적자는 나쁘다? = 83 금리는 낮을수록 좋다? = 86 미국 금리가 상승하면 한국 주가는 떨어진다? = 89 세율을 높이면 세금이 많이 걷힌다? = 92 감세정책은 바람직한 현상인가? = 94 물값, 전기료 등 공공요금은 쌀수록 좋다? = 97 물가상승률은 낮을수록 좋다? = 100 전력예비율은 높을수록 좋다? = 102 임금이 올라갈수록 근로자 복지가 향상된다? = 104 국내진출 외국기업보다 해외진출 한국기업이 한국경제에 더 유익하다? = 106 재정적자는 항상 나쁘다? = 108 국가기간산업을 담당하는 공기업은 민간에 매각할 수 없다? = 111 예금보호한도는 높을수록 좋다? = 114 주가 하락은 기업가치의 하락을 뜻한다? = 117 댐 건설은 생태계를 파괴한다? = 120 화폐 공급을 늘리면 금리가 하락한다? = 123 3 경제 이슈 대탐험 공기업 민영화, 피할 수 없는 선택인가 = 129 기업규제 완화, 어떻게 볼 것인가 = 134 주5일 근무제 도입에 대한 논란 = 139 끝없는 논쟁, 대기업의 은행소유 제한 = 144 법인세 폐지, 타당한 주장인가 = 149 기업 해외매각, 국부(國富) 유출인가 = 154 관치경제와 시장경제 = 159 적자재정이 갖는 의미 = 164 버블경제, 왜 문제인가 = 169 교육개혁과 시장경제 논리 = 174 새로운 패러다임, 환경경제 시대 = 179 세계화와 반세계화의 끝없는 대립 = 184 소액주주운동, 어떻게 볼 것인가 = 189 쓰레기 매립장의 경제적 함의 = 194 신경제는 부활할 것인가 = 199 부패 라운드와 코리아 디스카운트 = 204 중국의 부상, 기회냐 재앙이냐 = 209 장기 불황에 빠진 일본이 주는 교훈 = 214 소득 분배냐 경제 성장이냐 = 219 수도권 과밀 억제정책의 딜레마 = 224 4 경제 사설 다이제스트 최악의 취업난을 해결하려면 = 231 내수침체 속 불건전소비 확산 = 235 채권시장 혼란 어떻게 볼 것인가 = 238 자기 동네는 모두 안 된다면 = 242 터무니없는 중국의 마늘값 올리기 = 246 외자유치 만능주의는 곤란 = 250 외국차, 구매 시장에 맡겨라 = 254 외국자본의 국내 제조업 진출 = 258 우려할 만한 단기외채 급증 = 261 카드 결제 거부 지나치다 = 264 5 거장들의 경제학 읽기 보이지 않는 손 = 271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275 정부의 역할 = 278 원조 통화주의자와 점잖은 반진보주의자의 학문적 교류 = 282 영국 고전파 경제학의 마지막 계승자 = 286 자본주의의 본질은 기업가의 기술혁신에 의한 동태적 경제발전 과정 = 290 한계혁명의 3인조 학자 - 한계효용이론이 경제현상을 설명한다 = 294 냉철한 두뇌와 뜨거운 가슴 = 299 인플레이션은 화폐적 현상이다 = 303 과학으로서 경제학 = 307 6 원포인트 경제학 노사 합의가 가능한 주5일 근무제 = 313 자본시장 통한 학자금 융자제 개선 = 316 부패의 경제학 = 319 개별주식 옵션 = 322 댐 건설의 경제적 조건 = 325 경제 회복의 착시 현상 = 328 고갈 위기의 연금 =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