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72n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01085676 | |
005 | 20100805105619 | |
007 | ta | |
008 | 030124s2002 ulk 001a kor | |
020 | ▼a 8977359147 ▼g 93740: ▼c \15,000 | |
040 | ▼a 244002 ▼c 244002 ▼d 211009 ▼d 244002 ▼d 211009 | |
049 | 0 | ▼l 151135289 ▼l 151135290 |
082 | 0 4 | ▼a 415 ▼2 21 |
090 | ▼a 415 ▼b 2002a | |
100 | 1 | ▼a 이홍배 ▼0 AUTH(211009)26452 |
245 | 1 0 | ▼a 최소주의 통사론 = ▼x Minimalist Syntax / ▼d 이홍배 지음.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 ▼c 2002. | |
300 | ▼a 327 p. ; ▼c 23 cm. | |
500 | ▼a 부록: On "Beyond Explanatory Adequacy" | |
500 | ▼a 색인수록 | |
504 | ▼a 참고문헌: p. [311]-319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5 2002a | 등록번호 11125435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5 2002a | 등록번호 11131527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15 2002a | 등록번호 15113529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5 2002a | 등록번호 11125435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5 2002a | 등록번호 11131527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15 2002a | 등록번호 15113529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머리말 = 7 제1장 배경 1.1 언어와 문법 = 9 1.2 구구조규칙의 한계 = 14 1.3 규칙체계의 한계 = 22 1.4 X-바 통사론의 대두 = 23 제2장 원리체계로의 발전 2.1 원리와 매개변인 = 31 2.2 변형규칙의 제약에 대한 연구 = 32 2.3 원리중심의 통사론 = 35 2.4 규칙체계의 와해 = 37 2.5 X-바 규칙의 확대 = 43 2.6 문법의 단원들 = 47 2.7 GB-이론의 문제점 = 55 제3장 최소주의의 기본 가정 3.1 언어기능 = 59 3.2 언어수행체계와 접합점조건 = 60 3.3 도출적 방법과 표시적 방법 = 64 3.4 도출의 경제성 = 71 3.5 연산절차$$C_{HL}$$ : 병합, 일치, 이동 = 76 제4장 범주와 자질 4.1 기능범주와 실질범주 = 79 4.2 기본 절구조 = 85 4.3 형식자질 = 90 제5장 점검 5.1 격과 일치 = 93 5.2 굴절소분리 가설 = 94 5.3 VP-내부주어 가설 = 103 5.4 점검과 점검구조 = 109 5.5 외현적 이동과 내현적 이동 = 114 제6장 필수 구구조이론 6.1 X-바 통사론의 소멸 = 119 6.2 AGR의 소멸과 경동사 v의 도입 = 127 6.3 병합과 이동과 구구조 = 135 6.4 명칭없는 구구조 = 142 제7장 일치와 비해석성 자질 7.1 일치 = 145 7.2 결함요소 = 151 7.3 허사 there = 156 7.4 다중일치 = 159 7.5 자질공유 = 165 제8장 Φ-완전과 Φ-불완전 8.1 Φ-완전과 EPP-자질 = 169 8.2 Φ-불완전 범주 = 171 8.3$$C_{def}$$ ? = 182 제9장 국면 9.1 국면 = 185 9.2 강국면과 약국면 = 193 제10장 이동 10.1 일치와 이동 = 205 10.2 대상화/추출규칙 = 213 제11장 목적어 전이 11.1 서론 = 221 11.2 OS와 WH-이동 = 223 11.3 Holmberg의 일반화 = 230 11.4 결론 = 236 제12장 어순 12.1 어순 = 241 12.2 Kayne의 LCA = 242 12.3 LCA와 주어 = 248 12.4 LCA와 부가어 = 251 12.5 필수이론에서의 어순 = 255 12.6 부가구조 = 259 12.7 핵-보어의 어순 = 264 부록 : On "Beyond Explanatory Adequacy" = 267 References = 311 찾아보기 = 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