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그림(Figures) = ⅹⅰ
도표(Tables) = ⅹⅱ
약어(Abbreviations) = ⅹⅲ
옮기면서 = ⅹⅴ
서문 및 감사의 글 = ⅹⅶ
제1장 서론 = 1
1.1 들어가기 = 1
1.2 어떤 형태가 문법화 되는가? = 5
1.2.1 문법 형태의 초기 분류 = 5
1.2.2 연속변이 = 8
1.2.3 우언법 대 접사화 = 10
1.3 문법화의 다른 예 = 13
1.3.1 Let's = 14
1.3.2 서부 아프리카어의 보문소 = 18
1.3.3 일치 표지 = 22
1.4 문법화와 언어 구조 = 23
제2장 문법화의 역사 = 25
2.1 들어가기 = 25
2.2 문법화에 관한 초기 연구 = 25
2.3 보다 최근의 문법화에 관한 연구 = 33
2.4 문법화 연구의 최근 동향 = 40
제3장 문법화의 기제: 재분석과 유추 = 43
3.1 들어가기 = 43
3.2 변화에 대한 몇가지 배경 가정 = 44
3.3 귀납, 연역, 귀류 = 51
3.4 재분석 = 53
3.4.1 불어의 굴절 미래형 = 55
3.4.2 Tarahumara어의 3인칭 대명사 = 59
3.4.3 영어의 양상 조동사 = 60
3.5 재분석과 문법화의 독립성 = 65
3.5.1 어순 변화 = 66
3.6 유추/규칙 일반화 = 74
3.7 재분석과 유추의 차별적 효과 = 81
제4장 화용론적 추론 = 83
4.1 들어가기 = 83
4.2 추론과 의미 변화 = 88
4.2.1 의미론 대 화용론 = 90
4.2.2 한 형태의 의의들 사이에 관계: 동음이의어와 다의어 = 91
4.2.3 대화적 추론과 관습적 추론 = 94
4.3 문법화에 있어서의 화용적 추론의 역할 = 99
4.3.1 은유적 과정 = 102
4.3.2 환유적 과정 = 107
4.4 문제 해결로서의 은유와 환유 = 115
4.5 화용적 풍부 대 의미적 탈색 = 117
제5장 단일방향성 가설 = 125
5.1 들어가기 = 125
5.2 일반화 = 128
5.2.1 의미의 일반화 = 128
5.2.2 문법적 기능의 일반화 = 133
5.3 탈범주화 = 137
5.3.1 명사로부터 접사로의 연속변이 = 141
5.3.2 동사로부터 접사의 연속변이 = 143
5.3.3 복합 경로 = 148
5.4 단일방향성에 참여하는 몇가지 과정들 = 150
5.4.1 특수화 = 150
5.4.2 분기 = 154
5.4.3 재건 = 159
5.5 단일방향성의 공시적 결과 = 163
5.5.1 충위화 = 163
5.6 단일방향성의 반례 = 166
5.7 해결되지 않은 문제 = 169
제6장 절 내부의 형태론적 변화 = 171
6.1 들어가기 = 171
6.2 형태소화 = 171
6.2.1 접어의 몇가지 특징 = 174
6.2.2 접어의 위치 = 175
6.2.3 융합의 요소로서의 의미적 '관련성'과 형태소 순서 = 186
6.2.4 형태소화의 음운론적 부수물 = 190
6.3 어형변화의 발달 = 196
6.4 논항구조의 표시: 기능적-의미적 위계와 형태론적 일반화 = 205
6.4.1 Persian어의 목적어 표지 = 205
6.4.2 능력화 표지: 통계적 관점 = 209
6.5 상실 = 214
제7장 절과 절 사이의 문법화 = 219
7.1 들어가기 = 219
7.2 절결합 구분의 연속변이 = 221
7.2.1 병렬 = 225
7.2.2 종렬 = 228
7.2.3 종속 = 232
7.3 절 연결어의 문법화 = 233
7.4 절 결합의 단일방향에 대한 반례 = 242
7.5 복문구조 발달의 예들 = 244
7.5.1 영어의 'that'-보문 = 244
7.5.2 영어와 Hittite어의 관계절 = 250
7.5.3 Lhasa어 절 연쇄에서 동사 굴절로의 문법화 = 261
7.5.4 현대영어 주절구문에서 문장부사로의 문법화 = 265
제8장 남은 문제점 = 269
8.1 들어가기 = 269
8.2 문법화 대 매개변수 변화 = 269
8.3 접촉 = 275
참고문헌 = 291
색인 = 323
언어색인 = 329
인명색인 = 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