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시와 인식 : 미적 의식과 문헌학적 인식의 기원

시와 인식 : 미적 의식과 문헌학적 인식의 기원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Schlaffer, Heinz 변학수, 역
서명 / 저자사항
시와 인식 : 미적 의식과 문헌학적 인식의 기원 / 하인츠 슐라퍼 지음 ; 변학수 옮김
발행사항
서울 :   文學과知性社,   1992  
형태사항
270 p. ; 23 cm
총서사항
현대의 문학이론 ;19
원표제
Poesie und Wissen : die Entstehung des ästhetischen Bewusstseins und der philologischen Erkenntnis
ISBN
8932005656
일반주기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Poetry Knowledge, Theory of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01085521
005 20150224154428
007 ta
008 030121s1992 ulk 001c kor
020 ▼a 8932005656 ▼g 33800
040 ▼a 244002 ▼c 244002 ▼d 211009
041 1 ▼a kor ▼h ger
082 0 4 ▼a 801 ▼a 801/.95 ▼2 23
085 ▼a 801 ▼2 DDCK
090 ▼a 801 ▼b 1982c ▼c 19
100 1 ▼a Schlaffer, Heinz
245 1 0 ▼a 시와 인식 : ▼b 미적 의식과 문헌학적 인식의 기원 / ▼d 하인츠 슐라퍼 지음 ; ▼e 변학수 옮김
246 1 9 ▼a Poesie und Wissen : ▼b die Entstehung des ästhetischen Bewusstseins und der philologischen Erkenntnis
260 ▼a 서울 : ▼b 文學과知性社, ▼c 1992
300 ▼a 270 p. ; ▼c 23 cm
440 0 0 ▼a 현대의 문학이론 ; ▼v 19
500 ▼a 색인수록
650 0 ▼a Poetry
650 0 ▼a Knowledge, Theory of
700 1 ▼a 변학수, ▼e
900 1 0 ▼a 슐라퍼, 하인츠, 저
900 1 0 ▼a Pyon, Hak-su, ▼e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01 1982c 19 등록번호 1511354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801 1982c 19 등록번호 15113546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반경환(지은이)

1954년 충북 청주에서 태어났으며, 1988년 『한국문학』 신인상과 198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반경환의 저서로는 『시와 시인』, 『행복의 깊이』 1, 2, 3, 4권, 『비판, 비판, 그리고 또 비판』 1, 2권, 『반경환 명시감상』 1, 2, 3, 4권,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명문장들』 1, 2권, 『반경환 명구산책』 1, 2, 3권이 있고, 『반경환 명언집』 1, 2권, 『쇼펜하우어』, 『니체』, 『사상의 꽃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권 등이 있다. 지난 15년 동안 총 18권에 1,030여 명의 시를 다룬 기념비적인 명시감상! 『사상의 꽃들』은 ‘반경환 명시감상’으로 기획된 것이지만, 보다 새롭고 좀 더 쉽게 수많은 독자들에게 다가가기 위한 포켓북이라고 할 수가 있다. 사상은 시의 씨앗이고, 시는 사상의 꽃이다. 그는 시를 철학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철학을 예술(시)의 관점에서 이해한다. 그의 글쓰기의 목표는 시와 철학의 행복한 만남을 통해서, 문학비평을 예술의 차원으로 끌어올리는 것이다. 따라서 반경환의 문학비평은 다만 문학비평이 아니라 철학예술이라고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시는 행복한 꿈의 한 양식이며, 낙천주의를 양식화시킨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한국어 번역에 즈음하여 = ⅲ
저자 서문 = 7
Ⅰ
 제1장 철학자와 음유시인 : 소크라테스와 이온 = 11
 제2장 시문학으로서의 지식 : 도취 = 27
 제3장 그리스인들에게 있어 허구 의식의 발생 = 47
 제4장 허구 비평이 고대 그리스 문학에 미친 영향 = 64
 제5장 시문학에 대한 철학적 제한과 정당화로서의 고대 시학 = 80
Ⅱ
 제6장 시문학과 그 전형식들과의 관계 = 97
 제7장 미적 형식 속의 신화적 의미와 잔존 = 109
 제8장 시대에 뒤떨어진 학문으로서의 근대 문학 = 123
 제9장 해방으로서의 손실 : 허구적 의미 = 139
 제10장 허구에 대한 지식 = 152
Ⅲ
 제11장 문헌학의 정초 = 169
 제12장 문헌학적 인식 = 190
 제13장 하이네 학파 : 문헌학적 비평의 귀결 = 208
 제14장 삶의 형식으로서의 문헌학 = 225
 제15장 시문학적 학문 = 249
역자 후기 = 260
인명 색인 = 26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