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정부론

한국정부론 (1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서순복
서명 / 저자사항
한국정부론 / 서순복 저.
발행사항
서울 :   학림사 ,   2001.  
형태사항
x,291 p. : 도표 ; 24 cm.
ISBN
8995042265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548namccc200205 k 4500
001 000001082155
005 20100805102945
007 ta
008 021125s2001 ulkd 000a kor
020 ▼a 8995042265 ▼g 93350: ▼c \15,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49 0 ▼l 151131656 ▼l 151131657
082 0 4 ▼a 351.519 ▼2 21
090 ▼a 351.53 ▼b 2001n1
100 1 ▼a 서순복
245 1 0 ▼a 한국정부론 / ▼d 서순복 저.
260 ▼a 서울 : ▼b 학림사 , ▼c 2001.
300 ▼a x,291 p. : ▼b 도표 ; ▼c 24 cm.
504 ▼a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53 2001n1 등록번호 15113165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53 2001n1 등록번호 15113165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제1장 서론 = 1

 제1절 정부의 기능과 역할 = 1

  1. 개발연대의 적극적 정부 역할 = 1

  2. 개방화·자율화 시대의 정부역할 = 2

  3. 세계화 시대 정부의 역할 = 4

  4. 지식정보시대 정부의 역할 = 9

 제2절 정부론에 관한 이론적 접근방법 = 12

  1. 정치·행정체제 = 13

  2. 정치·행정체제의 구조와 기능 = 15

   1) 투입 = 15

   2) 전환관리 = 16

   3) 산출·배분관리 = 16

   4) 환류 = 17

   5) 환경 = 17

 제3절 정책과정과 주요 행위자(actors) = 18

  1. 정책과정 = 18

  2. 정책과정의 참여자(행위자) = 18

제2장 우리나라 권력구조와 정부형태 = 23

 제1절 문제제기 = 23

 제2절 정부형태의 이론적 논의 = 26

  1. 정부형태의 의의와 분류 = 26

  2. 대통령제 = 27

   1) 대통령제의 의의와 특징 = 27

   2) 미국식 대통령제의 성공조건 = 28

   3) 라틴아메리카 대통령제의 경험 = 30

  3. 의원내각제 = 31

   1) 의원내각제의 의의와 특징 = 31

   2) 영국의 의원내각제 = 31

   3) 의원내각제의 성공조건 = 32

 제3절 정부형태와 선거제도의 연계 = 33

  1. 정부형태와 선거제도의 관계유형 = 33

  2. 다수대표제와 비례대표제 = 34

  3. 결선투표제 = 35

 제4절 우리나라 정부형태의 유형과 특징에 관한 고찰 = 36

  1. 제1공화국의 정부형태 = 37

  2. 제2공화국의 정부형태 = 39

  3. 제3공화국의 정부형태 = 39

  4. 제4공화국의 정부형태 = 40

  5. 제5공화국의 정부형태 = 41

  6. 제6공화국의 정부형태 = 43

 제5절 우리나라 정부형태의 선택 논의 = 44

제3장 한국 정치·행정체제와 권력엘리트 = 51

 제1절 역대정권의 정치·행정체제 = 51

  1. 정치·행정체제의 의미  = 51

  2. 이승만정권 정치·행정체제의 목표와 성격 = 52

   1) 목표 = 52

   2) 정치·행정체제의 성격 = 53

  3. 장면정권 정치·행정체제의 목표와 성격 = 54

   1) 목표 = 54

   2) 정치·행정체제의 성격 = 55

  4. 박정희정권(제3공화국) 정치·행정체제의 목표와 성격 = 55

   1) 목표 = 56

   2) 정치·행정체제 = 56

  5. 박정희정권(제4공화국) 정치·행정체제의 목표와 성격 = 57

   1) 목표 = 57

   2) 정치·행정체제 = 58

   3) 박정희정권 정치·행정체제에의 투입구조 = 59

  6. 전두환정권 정치·행정체제의 목표와 성격 = 65

   1) 목표 = 65

   2) 정치·행정체제 = 66

  7. 노태우정권 정치·행정체제의 목표와 성격 = 67

   1) 목표 = 67

   2) 정치·행정체제 = 67

  8. 김영삼정권 정치·행정체제의 목표와 성격 = 68

   1) 목표 = 68

   2) 정치·행정체제 = 68

 제2절 역대정권의 권력엘리트 = 72

  1. 권력엘리트 개념과 유형 = 72

   1) 권력엘리트의 개념 = 72

   2) 권력엘리트의 유형 = 73

  2. 한국 권력엘리트의 전개과정 = 74

   1) 한국의 권력엘리트 = 74

   2) 한국 권력엘리트의 전개과정 = 75

  3. 한국 권력 엘리트 충원상의 변화 = 79

   1) 입법 엘리트 충원상의 특징 변화 = 79

   2) 사법 엘리트 충원상의 특징적 변화 = 81

   3) 행정 엘리트 충원상의 특징적 변화 = 83

  4. 한국의 정치권력엘리트의 평가 = 86

제4장 대통령 = 89

 제1절 대통령의 리더쉽의 중요성 = 89

 제2절 정치지도자 대통령의 자질 = 90

  1. 리더쉽 이론과 정치지도자의 자질 = 90

   1) 비전 = 91

   2) 상황판단과 정책구상 = 92

   3) 개혁의지와 추진력 = 92

   4) 동기부여와 민심수습 = 92

   5) 외교 타개 능력 = 93

   6) 철학과 도덕성 = 93

  2. 정보화시대의 대통령 리더쉽 = 93

 제3절 대통령학과 그 연구 정향 = 94

  1. 대통령학의 의의 = 94

  2. 대통령학의 연구정향 = 95

 제4절 대통령과 정책과정 = 97

  1. 정책의제형성단계에서의 역할 = 97

  2. 정책결정단계에서의 역할 = 98

  3. 정책집행과 정책평가단계에서의 역할 = 99

 제5절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에 관한 비교 평가 = 99

  1. 역대 대통령의 개인적 인상과 특성 비교 = 100

   1) 이승만 대통령 = 103

   2) 장면 총리 = 104

   3) 박정희 대통령 = 105

   4) 전두화 대통령 = 106

   5) 노태우 대통령 = 107

   6) 김영삼 대통령 = 107

 제6절 대통령의 경제정책관리 스타일 = 108

  1. 박정희 대통령 경제정책 운영 스타일 = 109

  2. 전두환 대통령의 경제정책 운영 스타일 = 109

  3. 노태우 대통령의 경제정책 관리 = 110

제5장 정부관료제 = 113

 제1절 정부관료제의 개념과 특징 = 113

 제2절 정통 관료제 원리 = 114

  1. 베버의 관료제 이념형 = 114

   1) 권한과 관할범위의 규정 = 115

   2) 계서제적 구조 = 115

   3) 문서화의 원리 = 115

   4) 임무수행의 비개인화 = 115

   5) 관료들의 전문화와 전임화 = 116

  2. 베버의 이론적 공헌과 한계 = 116

  3. 조직구조설계의 고전적 원리 = 117

   1) 분업의 원리 = 117

   2) 조정(통합)의 원리 = 117

 제3절 관료제도와 민주주의 = 118

 제4절 관료제의 권력관계 = 119

  1. 관료제의 부서할거주의(sectionalism) = 119

  2. 정치적 임용자와 종신 임용자 = 120

  3. 전문직과 일반직 = 121

  4. 조직의 균형 = 123

 제5절 현대 관료제 이론 = 124

  1. Weber Paradigm의 비판적 수정 = 124

  2. 신보수주의적 반관료제 이론과 탈관료제화 = 126

 제6절 관료제와 정치발전 = 128

 제7절 신공공관리(NPM)적 행정개혁 = 129

  1. 연구 배경 = 129

  2. 신공공관리론의 의의와 이론적 기반 = 131

   1) 의의 = 131

   2) 이론적 기반 = 134

  3. 신공공관리론의 특징 = 138

  4. 신공공관리론의 전망과 과제 = 141

 제8절 한국 행정관료제의 평가 = 144

  1. 한국 행정관료제에 대한 평가 시각 = 144

  2. 한국관료제의 문제점 진단(박경효, 1992 : 94-103) = 145

   1) 행정문화연구적 측면 = 146

   2) 정치사회적 요인 측면 = 147

  3. 한국 행정관료제에 대한 공무원 자신의 평가 = 148

   1) 긍정적 평가(최민호, 2000) = 148

   2) 부정적 평가(허명환, 1999) = 149

  4. 한국 행정관료제의 신뢰 = 150

   1) 행정관료제에 대한 불신 원인 = 150

   2) 정부관료제에 대한 불신 해소의 기본 방안 = 150

제6장 입법부 = 153

 제1절 입법부의 의의와 역할 = 153

  1. 대의제도와 의회 = 153

  2. 의회의 기능 = 154

   1) 대표기능 = 154

   2) 입법기능 = 155

   3) 행정부 감독기능 = 155

   4) 갈등해결기능 = 156

  3. 국회의원 의정활동의 과정 = 156

   1) 예·결산심의 = 157

   2) 법률안심사 = 159

   3) 국정감사 = 159

 제2절 우리나라 헌정사에서의 국회 지위 = 160

  1. 헌법상 국회지위의 변천 = 160

   1) 제1공화국의 국회 = 160

   2) 제2공화국의 국회 = 161

   3) 제3공화국의 국회 = 162

   4) 제4공화국의 국회 = 162

   5) 제5공화국의 국회 = 163

   6) 제6공화국의 국회 = 163

  2. 국회 활동의 평가 = 164

 제3절 국회와 정책과정 = 166

  1. 정책과정과 입법부 = 166

  2. 정책의제형성과 입법부 = 167

  3. 정책문제의 입법부에의 투입 = 168

   1) 문제의식의 형성과 문제의 제기 = 168

   2) 국회의 독자적 문제의식 = 168

   3) 국회 밖에서의 정책문제투입 = 170

  4. 정책문제의 행정부에의 귀속 = 170

   1) 정부의제 및 정책의제의 형성 = 170

   2) 대정부질문 정책질의와 정책의제형성 = 170

  5. 정책의제형성과정에서의 국회 역할 개선 = 171

 제4절 입법부와 행정부와의 관계 = 172

  1. 입법부와 행정부의 관계유형 = 172

   1) 의회우위형 - 영국 = 172

   2) 양립관계형 - 미국 = 172

   3) 행정부 우월형 - 신생국, 한국 = 173

   4) 집권당의 지배형 - 공산국 = 173

  2. 대정부질문을 통한 국회의 행정부에 대한 영향력 = 173

   1) 대정부질문을 중심으로 한 국회의 행정부 관계분석의 의의 = 173

   2) 대정부질문과 답변의 유형화 = 174

   3) 대정부질문과 답변의 시대적 경향 = 175

   4) 정책유형과 정당 그리고 당선배경별 차이 = 176

   5) 어느 시민의 소감 = 178

  3. 국회의 행정부 통제 : 예산심의를 중심으로 = 179

   1) 서설적 고찰 = 179

   2) 의회의 행정부통제의 의의, 방법 그리고 유형 = 179

   3) 한국의 예산결정과정에 있어서 국회의 행정부통제의 특징 = 181

   4) 국회와 행정부의 관계와 예산단계별 통제활동 = 181

   5) 예산안 수정내용의 분석 및 논의 = 183

  4. 국회의 행정입법에 대한 통제 = 185

   1) 행정입법의 국회제출제도 = 185

   2) 행정입법의 국회제출 현황 및 문제점 = 186

   3) 국회에 제출된 행정입법에 대한 처리 = 188

   4) 개선방안 = 189

 제5절 국회 생산성 향상을 위한 운영 개선 = 191

  1. 국회활동의 생산성 평가와 제언 = 191

   1) 예산·결산심의의 생산성 = 191

   2) 법률안 심사의 생산성 = 193

   3) 국정감사의 생산성 = 194

  2. 국회운영의 개선 방안 = 196

   1) 입법정보의 수집 강화 = 196

   2) 입법 전문성에 대한 보좌기능 강화 = 196

   3) 충분한 심의기간의 확보 = 197

   4) 소위원회의 개선 = 197

   5) 표결에 있어서의 자율권 향상 = 197

   6) 상임위원회의 전문성 강화 = 198

제7장 사법부 = 201

 제1절 법과 행정, 법과 정책 = 201

  1. 법과 행정의 관계 맥락에서 본 근대 100년 회고적 평가 = 201

  2. 행정법학과 행정학 = 204

   1) 행정과 행정법 교류의 필요성 = 204

   2) 행정학과 행정법학의 연계 = 205

   3) 법적 정책결정과정 = 207

 제2절 법원의 지위 = 210

  1. 심급별 법원의 지위와 구성 = 210

   1) 대법원의 지위와 구성 = 210

   2) 고등법원 = 211

   3) 지방법원 및 지원 = 211

   4) 가정법원 = 212

  2. 정책과정과 법원 = 212

   1) 법원이 권한 = 212

   2) 권리구제와 정책과정에서의 역할 = 213

 제3절 헌법재판소 = 216

  1. 헌법재판소와 입법부 = 217

   1) 통제강도 = 217

   2) 우리나라의 구체적 사례 = 218

  2. 헌법 재판소와 행정부 = 219

   1) 통제강도 = 219

   2) 우리나라의 구체적 사례 = 220

  3. 헌법 재판소와 법원 = 221

   1) 통제강도 = 221

   2) 우리나라의 구체적 사례 = 221

제8장 정당 = 225

 제1절 정당의 의의 및 유형화, 양당제와 다당제 = 225

  1. 정당의 의의 = 225

  2. 정당체제의 분류 = 225

  3. 양당제와 다당제 = 227

   1) 양당제 = 228

   2) 다당제 = 228

 제2절 한국 정당체제의 전개과정 = 229

  1. 정당체제의 전개과정 = 229

   1) 해방직후('45∼'48)의 정당체제 = 229

   2) 제1공화국의 정당체제 = 230

   3) 제2공화국('60)하의 정당체제 = 232

   4) 제3공화국의 정당체제 = 234

   5) 제4공화국의 정당체제 = 236

   6) 제5공화국의 정당체제 = 237

   7) 제6공화국의 정당체제 = 238

 제3절 한국정당의 특징과 문제점 = 239

  1. 한국 정당체계 전개과정의 특징 = 239

  2. 한국 정당정치의 문제점 = 241

   1) 소수 중심의 정당 구조 = 242

   2) 불명확한 정당 이데올로기 = 243

   3) 정당 운영자금의 비공개 = 243

   4) 유명무실한 정책정당 = 245

   5) 지구당의 병폐 = 246

 제4절 한국정당체계의 개선방향 = 247

  1. 제도적 발전방향 = 247

  2. 정당의 민주화 = 249

  3. 정치 이데올로기의 차별화 = 250

  4. 선거 자금의 공개 = 250

  5. 정당 보조금의 폐지 = 251

  6. 정책정당화 = 252

  7. 지구당의 자율화 = 252

제9장 이익집단과 공익단체 = 255

 제1절 이익집단의 이론적 기초 = 255

  1. 이익집단의 개념과 기능 = 255

  2. 이익집단의 형성에 관한 올슨의 부산물이론 = 256

  3. 이익대표체계의 이론적 기초 = 259

 제2절 우리나라 정부와 이익집단간의 관계 = 263

  1. 이익대표체계 연구경향의 변천 = 263

  2. 우리나라에서 코포라티즘 적용 사례 = 264

  3. 우리나라 이익집단정치의 활성화 = 265

 제3절 공익단체(NGO) = 267

  1. 거버넌스와 NGO = 267

  2. NGO에 관한 이론적 고찰 = 270

   1) NGO의 개념 정의와 등장배경 = 271

   2) NGO의 기능과 역할 = 274

   3) 지방정부와 NGO의 관계 유형 = 277

  3. 정책과정에 대한 NGO의 영향 = 278

  4. 정책과정에서 이익집단과 NGO = 280

 제4절 우리나라 공익단체 : 참여연대와 경실련 = 281

  1. 경실련과 참여연대의 특징 = 281

  2. 경실련과 참여연대의 비교 : 조직내적 측면 = 282

   1) 단체의 설립 목적 = 282

   2) 인적 구성 = 283

   3) 조직의 구조와 운영 = 284

  3. 경실련과 참여연대의 비교 : 조직외적 측면 = 285

   1) 정부와의 관계 = 285

   2) 기업과의 관계 = 28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