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서론 = 1
1.1 범주형 반응자료 = 1
1.2 표본추출모형 = 4
1.3 비율에 대한 추론 = 9
연습문제 = 15
2장 이차원 분할표 = 19
2.1 분할표에서의 확률구조 = 19
2.2 2×2 분할표에서 비율의 비교 = 23
2.3 오즈비(Odds ratio) = 26
2.4 카이제곱검정법과 독립성 = 33
2.5 순서형 자료(Ordinal Data)의 독립성검정 = 41
2.6 소표본의 정확추론 = 47
연습문제 = 56
3장 삼차원 분할표 = 65
3.1 부분연관성(Partial Association) = 66
3.2 Cochran-Mantel-Haenszel 방법 = 73
3.3 조건부연관성에 관한 정확추론 = 79
연습문제 = 83
4장 일반화선형모형 = 87
4.1 일반화선형모형의 성분 = 88
4.2 이항자료에 대한 일반화선형모형 = 91
4.3 도수자료에 대한 일반화선형모형 : 포아송 회귀모형 = 98
4.4 모형추론과 모형진단 = 107
4.5 일반화선형모형의 적합 = 114
연습문제 = 120
5장 로지스틱 회귀모형 = 127
5.1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해석 = 127
5.2 로지스틱 회귀모형에 대한 추론 = 133
5.3 모형진단 = 137
5.4 질적 예측변수들에 대한 로짓 모형 = 145
5.5 다중 로지스틱 회귀모형(Multiple logistic regression) = 150
5.6 로지스틱 회귀모형에 대한 표본크기와 검정력 = 158
5.7 로지스틱 회귀모형에 대한 정확추론 = 161
연습문제 = 166
6장 분할표에 대한 로그 선형모형 = 177
6.1 이차원 분할표에 대한 로그 선형모형 = 177
6.2 삼차원 분할표에 대한 로그 선형모형 = 183
6.3 로그 선형모형의 추론 = 188
6.4 고차원 로그 선형모형 = 192
6.5 로그 선형모형과 로짓 모형과의 관련성 = 198
연습문제 = 204
7장 로짓 모형과 로그 선형모형의 응용 = 211
7.1 연관성그래프와 붕괴가능성 = 211
7.2 순서연관성(Ordinal Association)의 모형화 = 219
7.3 조건부독립성검정 = 224
7.4 희박한 자료(Sparse Data) = 231
7.5 모형적합에 관한 몇 가지 이론 배경 = 237
연습문제 = 243
8장 다범주 로짓 모형 = 251
8.1 명목형 반응변수들에 대한 로짓 모형 = 251
8.2 순서형 반응변수들에 대한 누적 로짓 모형(Cumulative Logit Model) = 259
8.3 순서형 반응변수에 대한 짝범주 로짓 = 264
연습문제 = 270
9장 대응쌍에 대한 모형 = 277
9.1 종속비율들의 비교 = 278
9.2 대응쌍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 280
9.3 정방형 분할표에 대한 대칭성모형과 준대칭성모형 = 287
9.4 주변분포들의 비교 = 293
9.5 평가자의 의견 일치성 분석 = 297
9.6 대응쌍의 선호도에 대한 Bradley-Terry 모형 = 302
연습문제 = 306
10장 범주형 자료분석의 20세기 여행 = 315
10.1 PEARSON-YULE의 연관성 논쟁 = 315
10.2 R.A. FISHER의 공헌 = 317
10.3 로지스틱 회귀모형과 로그 선형모형 = 319
10.4 이후의 발전 = 322
부록 = 325
참고문헌 = 341
찾아보기 =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