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1.1 구조주의 음운론 = 3
1.1.1 단계분리이론 = 3
1.1.2 음소단계 = 7
1.1.3 설명적 타당성 = 10
1.2 표준 이론 = 13
1.2.1 규칙의 형식화 = 13
1.2.2 음운표시의 단순성 = 15
1.3 본서의 구성 = 17
제2장 자립분절 음운론
2.1 성조현상 = 23
2.1.1 굴곡성조의 표기 = 23
2.1.2 성조 안정성 = 28
2.1.3 성조선율 = 29
2.1.4 결손 형태소 = 32
2.1.5 성조치환 = 33
2.1.6 연결원리 = 34
2.2 모음조화 = 40
2.2.1 투명모음 = 42
2.2.2 불투명모음 = 44
2.2.3 떠돌이 조화분절음 = 45
2.2.4 굴곡분절음 표기 = 47
2.2.5 연결방향의 검토 = 50
제3장 음절음운론
3.1 초기 비선형이론 = 59
3.1.1 음절구분 = 60
3.1.2 음절과 음운규칙 = 64
3.2 CV음운론 = 67
3.2.1 중복음 표기 = 68
3.2.2 보상적 자음화 = 74
3.2.3 CV층렬 = 76
3.2.4 형태소로서의 CV 충렬 = 87
3.2.4.1 비연속형태론 = 87
3.2.4.2 중첩 = 91
3.3 모라음운론 = 97
3.3.1 보상적 장음화 = 98
3.3.2 최소단어 요건 = 106
3.3.3 중첩 = 109
3.4 음절음운론 = 113
제4장 율격음운론
4.1 SPE에서의 강세 = 123
4.2 율격음운론에서의 강세 128
4.2.1 Liberman/Prince의 방법 = 129
4.2.2. Hayes의 율격이론 = 138
4.2.2.1 율격규칙 = 138
4.2.2.2 율격예외성 = 145
4.2.2.3 영어 강세규칙 = 149
4.3 구절단계에서의 강세 = 161
4.3.1 강세충돌 = 161
4.3.2 율동규칙 = 166
4.3.3 괄호매긴 격자이론 = 173
4.3.3.1 가장자리규칙 = 178
4.3.3.2 Move X = 180
4.3.3.3 탈강세규칙 = 181
4.3.3.4 박자첨가 = 182
4.4 율격이론의 응용 = 185
4.4.1 음절의 율격구조 = 185
4.4.2 보상적 장음화 = 189
제5장 어휘음운론
5.1 어휘부의 구조 = 194
5.1.1 경계부호 = 194
5.1.2 단계유순가설 = 196
5.1.3 확대유순가설 = 201
5.2 어휘음운론 = 205
5.2.1 저지 = 206
5.2.2 불규칙 굴절과 합성어 형성 = 212
5.2.3 전환 = 215
5.2.4 순환성 = 218
5.2.5 어휘규칙과 후어휘규칙 = 226
5.2 어휘음운론의 문제점 = 232
5.3.1 괄호매김 모순 = 232
5.3.2 층위의 수 = 238
5.3.3 순환성과 어휘규칙 = 241
제6장 운율음운론
6.1 통사구성소와 음운규칙의 적용 영역 = 247
6.2 운율구성소 = 252
6.2.1 음절과 운각 = 255
6.2.2 음운단어 = 259
6.2.3 접어군 = 262
6.2.4 음운구 = 264
6.2.5 억양구 = 268
6.2.6 음운발화 = 271
6.3 통사구조와 운율구조의 관계 = 272
6.3.1 직접적 관계 = 273
6.3.1.1 이탈리아어의 통사적 중복 = 275
6.3.1.2 불어의 연음현상 = 277
6.3.1.3 Ewe 성조융합 = 279
6.3.1.4 Kimatuumbi 구절음운론 = 280
6.3.2 간접적 관계 = 282
6.3.2.1 Xiamen 성조융합 = 282
6.3.2.2 반박자 첨가 = 284
6.3.2.3 Papago 성조 = 285
6.3.2.4 Ewe 성조융합 = 287
6.3.2.5 구성소 가지치기 = 288
제7장 불완전명시이론
7.1 불완전명시의 필요성 = 297
7.2 이론전 배경 = 301
7.3 대조적 명시와 급진적 불완전명시 = 310
7.3.1 투명성 = 312
7.3.2 불균형성 = 317
7.3.3 유표체계의 구분 = 320
7.4 불완전명시의 응용 = 321
7.4.1 어휘규칙 = 321
7.4.2 모음조화 = 324
제8장 자질 기하학이론
8.1 이론적 배경 = 333
8.2 자질 묶음 = 341
8.2.1 뿌리 마디 = 343
8.2.2 후두 마디와 상후두 마디 = 345
8.2.3 조음방식 자질 = 348
8.2.4 조음점 마디 = 353
8.2.4.1 순음 마디 = 354
8.2.4.2 설정음 마디 = 358
8.2.4.3 설배음 마디 = 361
8.3 복합분벌음 = 363
8.3.1 복합분절음의 표기 = 363
8.3.2 단일분절음으로서의 복합음 = 366
8.3.2.1 음절구조 = 366
8.3.2.2 보상적 장음화 = 369
8.3.2.3 비음화 = 371
8.3. 주조음 기관 = 374
8.4 자음자질과 모음자질 = 377
8.4.1 일차 모음점자질과 이차 조음점자질 = 377
8.4.2 자·모음자질의 통합 = 380
8.5 불완전명시된 자질 수형도 = 387
8.5.1 중화 = 387
8.5.2 설정음 마디의 특성 = 389
8.6 미해결점 = 396
제9장 최적성 이론
9.1 이론적 배경 = 402
9.2 이론의 적용 = 411
9.2.1 음절구분 = 411
9.2.2 삽입음 첨가 = 413
9.2.3 삽입사 첨가 = 428
9.2.4 중첩 = 432
9.3 대응이론 = 437
9.3.1 중첩과 음운과정 = 437
9.3.1.1 기본 제약 = 441
9.3.1.2 과잉적용 = 445
9.3.1.3 과소적용 = 450
9.3.1.4 정상적용 = 455
9.3.1.5 무적용과 무표형의 출현 = 458
9.3.2 절단어 형성 = 461
9.4 최적성이론의 문제점 = 472
9.4.1 제약 = 472
9.4.2 제약 위계 = 473
9.4.3 중간 도출단계 = 475
참고문헌 = 479
주제색인(한영) = 489
주제색인(영한) = 499
인명색인 = 509
언어색인 = 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