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의 머리말 = ⅹ
제2판의 머리말 = xii
그림 목록 = xiii
도표 목록 = xix
약어 목록 = xx
제1장 서론 = 1
1.1 음성학과 음운론 = 1
1.2 이론과 분석 = 6
1.3 다른 분야와의 관계 = 8
1.4 이 책의 개요 = 10
연습문제 = 13
제2장 분절음의 조음 = 14
2.1 개요 = 14
2.2 음성의 생성과정에 대한 기능상의 개관 = 15
2.3 음성기관 = 20
2.4 언어음에 대한 기술 = 22
2.5 기류의 기제 = 23
2.6 발성방식 = 27
2.7 모음성 소리 = 32
2.8 모음에서의 지속시간과 전이음 = 48
2.9 자음 = 53
2.10 성도의 위치 = 57
2.11 혀의 위치 = 61
2.12 조음방식 = 63
2.13 협착 = 72
2.14 조음의 상대적인 힘 = 74
2.15 음장 = 75
2.16 발성개시 = 76
연습문제 = 79
제3장 음성 단위 = 81
3.1 말소리 단위의 규명 = 82
3.2 복합조음 = 92
3.3 비음화 = 93
3.4 순음화 = 94
3.5 구개음화 = 95
3.6 연구개음화와 인두음화 = 96
3.7 파찰음화 = 97
3.8 이중조음 = 97
3.9 모음 반전음화 = 98
3.10 이중모음화 = 99
3.11 성절성 = 100
3.12 분절음화와 분절구조 = 103
3.13 이중모음과 그에 관련된 현상들 = 108
3.14 해석 = 113
연습문제 = 121
제4장 음소조직 = 124
4.1 음성적 다양성 = 125
4.2 음소 = 137
4.3 이음 = 142
4.4 음소표준형 = 150
4.5 유형과 대칭성 = 152
4.6 음운론적 실재 = 158
4.7 단위와 경계 = 160
4.8 불변성과 중복 = 164
4.9 양방향 유일성과 중화 = 167
4.10 형태음소 교체 = 175
4.11 자유변이 = 179
4.12 세계 언어의 음성 = 181
연습문제 = 192
제5장 음운론의 생성적 접근 = 195
5.1 생성음운론의 기원 = 196
5.2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 200
5.3 생성음운론에서의 기본 규칙 표기 = 203
5.4 형식주의와 평가 = 212
5.5 규칙표기에서의 축약장치 = 215
5.6 규칙순서 = 225
5.7 기능적 고찰 = 229
5.8 자연성과 유표성 = 236
5.9 추상성 = 239
연습문제 = 245
제6장 음성생성의 해부학과 생리학 = 247
6.1 개요 = 248
6.2 해부학적 기술에 대한 관례 = 248
6.3 신경계통 = 251
6.4 호흡기계통 = 259
6.5 후두 = 271
6.6 발성 = 282
6.7 인두 = 290
6.8 연구개와 비강 = 291
6.9 구강 = 296
6.10 혀 = 297
6.11 입술 = 301
6.12 하악골 = 304
연습문제 = 307
제7장 음성생성의 음향학 = 309
7.1 소리의 본질 = 310
7.2 소리의 전파 = 313
7.3 단순배음진동 = 314
7.4 복합진동 = 323
7.5 공명 = 326
7.6 음파의 기본 진폭 특성 = 330
7.7 음파의 시간영역 특성 = 335
7.8 음파의 주파수 영역 특성 = 337
7.9 음파의 몇 가지 기본 지각 특성 = 343
7.10 음성생성의 음향적 모델 = 348
7.11 음원으로서의 발성 = 349
7.12 마찰음원 = 354
7.13 모음생성에서의 성도여과기 = 357
7.14 음성의 스펙트로그램 분석 = 369
7.15 모음의 음향적 특성 = 386
7.16 자음생성에서의 성도여과기 = 397
7.17 음절에서 자음의 음향적 특성 = 407
7.18 음성생성의 조음적, 음향적 특성 사이의 관계 = 420
7.19 운율의 음향적 자질 = 425
연습문제 = 431
제8장 음성인지 = 433
8.1 개요 = 433
8.2 청각계 = 435
8.3 청각계의 심리물리학적 특성 = 439
8.4 음성인지도 = 443
8.5 음향-음성 인지 = 448
8.6 모음인지 = 451
8.7 자음인지 = 453
8.8 인지단위 = 455
8.9 운율인지 = 459
8.10 단어인식 = 461
8.11 음성인지 모델 = 462
8.12 결론 = 464
연습문제 = 465
제9장 운율 = 466
9.1 개요 = 466
9.2 초분절음의 음성학적 기초 = 471
9.3 운율의 체계적 조직 = 482
9.4 성조언어 = 487
9.5 피치-악센트 언어 = 494
9.6 영어의 강세 = 497
9.7 강세할당 = 503
9.8 영어의 억양 = 511
연습문제 = 518
제10장 자질체계 = 520
10.1 개요 = 521
10.2 음향자질 = 522
10.3 조음자질 = 522
10.4 인지자질 = 524
10.5 변별자질 = 525
10.6 통합자질 = 528
10.7 추상자질 = 530
10.8 정확성과 보편성 = 531
10.9 보편 자질체계 = 537
10.10 자질과 분별성 = 539
10.11 자질의 계층적 조직 = 541
10.12 자질기하학 = 546
10.13 개관 = 547
연습문제 = 549
제11장 음운론의 발전과정 = 551
11.1 이론의 흐름 = 552
11.2 20세기 이전의 음성학과 음운론 = 557
11.3 음소 = 560
11.4 음성학의 전통 = 561
11.5 북미의 음운론 = 563
11.6 프라하(Prague) 학파 = 566
11.7 언리학과 성층음운론 = 568
11.8 운율음운론 = 570
11.9 생성음운론 = 574
11.10 자연생성 음운론 = 576
11.11 자연음운론 = 578
11.12 자립분절 음운론 및 CV 음운론 = 580
11.13 율격음운론 = 586
11.14 어휘음운론 = 590
11.15 종속음운론 = 592
11.16 실험음운론 = 595
11.17 결론 = 598
연습문제 = 602
부록 1 : 음성기호 = 604
1.1 모음기호 = 604
1.2 자음기호 = 606
1.3 복합조음의 구별부호 및 규약 = 609
1.4 영어 표기에 사용되는 기호 = 609
부록 2 : 자질 = 613
2.1 Jakobson과 Halle의 변별자질 = 613
2.2 Chomsky와 Halle의 음성자질의 보편적 모형 = 614
2.3 Ladefoged의 '전통적 자질' = 615
2.4 종속음운론의 구성요소 = 617
참고문헌 = 618
한글 색인 = 648
영문 색인 = 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