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음성학과 음운론

음성학과 음운론 (Loan 3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Clark, John Yallop, Colin 구희산 고도흥 양병곤 김기호 안상철
Title Statement
음성학과 음운론 / John Clark ; Colin Yallop [공]지음 ; 구희산 [외]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신문화사 ,   1998.  
Physical Medium
xxi, 701p. : 삽도 ; 23cm.
Varied Title
(An) Introduction to Phonetics & Phonology
ISBN
8934805226
General Note
공역자 : 고도흥, 양병곤, 김기호, 안상철  
부록 : 음성기호, 자질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 p. 618-647 색인 : p. 648-701
000 00966namccc200337 k 4500
001 000001080949
005 20100805102116
007 ta
008 021028s1998 ulka 1a kor
020 ▼a 8934805226 ▼g 93740 : ▼c \18,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41 1 ▼a kor ▼h eng
049 0 ▼l 151130304 ▼l 151130305
082 0 4 ▼a 414 ▼2 21
090 ▼a 414 ▼b 1998a
100 1 ▼a Clark, John
245 1 0 ▼a 음성학과 음운론 / ▼d John Clark ; ▼e Colin Yallop [공]지음 ; ▼e 구희산 [외]옮김.
246 1 9 ▼a (An) Introduction to Phonetics & Phonology
260 ▼a 서울 : ▼b 한신문화사 , ▼c 1998.
300 ▼a xxi, 701p. : ▼b 삽도 ; ▼c 23cm.
500 ▼a 공역자 : 고도흥, 양병곤, 김기호, 안상철
500 ▼a 부록 : 음성기호, 자질
504 ▼a 참고문헌 : p. 618-647
504 ▼a 색인 : p. 648-701
700 1 ▼a Yallop, Colin
700 1 ▼a 구희산
700 1 ▼a 고도흥
700 1 ▼a 양병곤
700 1 ▼a 김기호
700 1 ▼a 안상철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414 1998a Accession No. 15113030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414 1998a Accession No. 15113030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John Clark(지은이)

<음성학과 음운론>

구희산(옮긴이)

미국 Texas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출제위원이었으며 2008년 현재 중앙대학교 영어교육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지은책으로는 <영어교육론>, &gt;Read & Pass&lt;, <영어음성학>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의 머리말 = ⅹ
제2판의 머리말 = xii
그림 목록 = xiii
도표 목록 = xix
약어 목록 = xx
제1장 서론 = 1
 1.1 음성학과 음운론 = 1
 1.2 이론과 분석 = 6
 1.3 다른 분야와의 관계 = 8
 1.4 이 책의 개요 = 10
 연습문제 = 13
제2장 분절음의 조음 = 14
 2.1 개요 = 14
 2.2 음성의 생성과정에 대한 기능상의 개관 = 15
 2.3 음성기관 = 20
 2.4 언어음에 대한 기술 = 22
 2.5 기류의 기제 = 23
 2.6 발성방식 = 27
 2.7 모음성 소리 = 32
 2.8 모음에서의 지속시간과 전이음 = 48
 2.9 자음 = 53
 2.10 성도의 위치 = 57
 2.11 혀의 위치 = 61
 2.12 조음방식 = 63
 2.13 협착 = 72
 2.14 조음의 상대적인 힘 = 74
 2.15 음장 = 75
 2.16 발성개시 = 76
 연습문제 = 79
제3장 음성 단위 = 81
 3.1 말소리 단위의 규명 = 82
 3.2 복합조음 = 92
 3.3 비음화 = 93
 3.4 순음화 = 94
 3.5 구개음화 = 95
 3.6 연구개음화와 인두음화 = 96
 3.7 파찰음화 = 97
 3.8 이중조음 = 97
 3.9 모음 반전음화 = 98
 3.10 이중모음화 = 99
 3.11 성절성 = 100
 3.12 분절음화와 분절구조 = 103
 3.13 이중모음과 그에 관련된 현상들 = 108
 3.14 해석 = 113
 연습문제 = 121
제4장 음소조직 = 124
 4.1 음성적 다양성 = 125
 4.2 음소 = 137
 4.3 이음 = 142
 4.4 음소표준형 = 150
 4.5 유형과 대칭성 = 152
 4.6 음운론적 실재 = 158
 4.7 단위와 경계 = 160
 4.8 불변성과 중복 = 164
 4.9 양방향 유일성과 중화 = 167
 4.10 형태음소 교체 = 175
 4.11 자유변이 = 179
 4.12 세계 언어의 음성 = 181
 연습문제 = 192
제5장 음운론의 생성적 접근 = 195
 5.1 생성음운론의 기원 = 196
 5.2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 200
 5.3 생성음운론에서의 기본 규칙 표기 = 203
 5.4 형식주의와 평가 = 212
 5.5 규칙표기에서의 축약장치 = 215
 5.6 규칙순서 = 225
 5.7 기능적 고찰 = 229
 5.8 자연성과 유표성 = 236
 5.9 추상성 = 239
 연습문제 = 245
제6장 음성생성의 해부학과 생리학 = 247
 6.1 개요 = 248
 6.2 해부학적 기술에 대한 관례 = 248
 6.3 신경계통 = 251
 6.4 호흡기계통 = 259
 6.5 후두 = 271
 6.6 발성 = 282
 6.7 인두 = 290
 6.8 연구개와 비강 = 291
 6.9 구강 = 296
 6.10 혀 = 297
 6.11 입술 = 301
 6.12 하악골 = 304
 연습문제 = 307
제7장 음성생성의 음향학 = 309
 7.1 소리의 본질 = 310
 7.2 소리의 전파 = 313
 7.3 단순배음진동 = 314
 7.4 복합진동 = 323
 7.5 공명 = 326
 7.6 음파의 기본 진폭 특성 = 330
 7.7 음파의 시간영역 특성 = 335
 7.8 음파의 주파수 영역 특성 = 337
 7.9 음파의 몇 가지 기본 지각 특성 = 343
 7.10 음성생성의 음향적 모델 = 348
 7.11 음원으로서의 발성 = 349
 7.12 마찰음원 = 354
 7.13 모음생성에서의 성도여과기 = 357
 7.14 음성의 스펙트로그램 분석 = 369
 7.15 모음의 음향적 특성 = 386
 7.16 자음생성에서의 성도여과기 = 397
 7.17 음절에서 자음의 음향적 특성 = 407
 7.18 음성생성의 조음적, 음향적 특성 사이의 관계 = 420
 7.19 운율의 음향적 자질 = 425
 연습문제 = 431
제8장 음성인지 = 433
 8.1 개요 = 433
 8.2 청각계 = 435
 8.3 청각계의 심리물리학적 특성 = 439
 8.4 음성인지도 = 443
 8.5 음향-음성 인지 = 448
 8.6 모음인지 = 451
 8.7 자음인지 = 453
 8.8 인지단위 = 455
 8.9 운율인지 = 459
 8.10 단어인식 = 461
 8.11 음성인지 모델 = 462
 8.12 결론 = 464
 연습문제 = 465
제9장 운율 = 466
 9.1 개요 = 466
 9.2 초분절음의 음성학적 기초 = 471
 9.3 운율의 체계적 조직 = 482
 9.4 성조언어 = 487
 9.5 피치-악센트 언어 = 494
 9.6 영어의 강세 = 497
 9.7 강세할당 = 503
 9.8 영어의 억양 = 511
 연습문제 = 518
제10장 자질체계 = 520
 10.1 개요 = 521
 10.2 음향자질 = 522
 10.3 조음자질 = 522
 10.4 인지자질 = 524
 10.5 변별자질 = 525
 10.6 통합자질 = 528
 10.7 추상자질 = 530
 10.8 정확성과 보편성 = 531
 10.9 보편 자질체계 = 537
 10.10 자질과 분별성 = 539
 10.11 자질의 계층적 조직 = 541
 10.12 자질기하학 = 546
 10.13 개관 = 547
 연습문제 = 549
제11장 음운론의 발전과정 = 551
 11.1 이론의 흐름 = 552
 11.2 20세기 이전의 음성학과 음운론 = 557
 11.3 음소 = 560
 11.4 음성학의 전통 = 561
 11.5 북미의 음운론 = 563
 11.6 프라하(Prague) 학파 = 566
 11.7 언리학과 성층음운론 = 568
 11.8 운율음운론 = 570
 11.9 생성음운론 = 574
 11.10 자연생성 음운론 = 576
 11.11 자연음운론 = 578
 11.12 자립분절 음운론 및 CV 음운론 = 580
 11.13 율격음운론 = 586
 11.14 어휘음운론 = 590
 11.15 종속음운론 = 592
 11.16 실험음운론 = 595
 11.17 결론 = 598
 연습문제 = 602
부록 1 : 음성기호 = 604
 1.1 모음기호 = 604
 1.2 자음기호 = 606
 1.3 복합조음의 구별부호 및 규약 = 609
 1.4 영어 표기에 사용되는 기호 = 609
부록 2 : 자질 = 613
 2.1 Jakobson과 Halle의 변별자질 = 613
 2.2 Chomsky와 Halle의 음성자질의 보편적 모형 = 614
 2.3 Ladefoged의 '전통적 자질' = 615
 2.4 종속음운론의 구성요소 = 617
참고문헌 = 618
한글 색인 = 648
영문 색인 = 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