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25n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01080811 | |
005 | 20100805102025 | |
007 | ta | |
008 | 021024s1998 ulkd 000a kor | |
020 | ▼a 8976263669 ▼g 94710 : ▼c \15,000 | |
020 | 1 | ▼a 8976263693(전2권) |
040 | ▼a 244002 ▼c 244002 | |
049 | 0 | ▼l 151130229 ▼l 151130230 |
082 | 0 4 | ▼a 495.71 ▼2 21 |
090 | ▼a 497.15 ▼b 1998e ▼c 2 | |
245 | 0 0 | ▼a 音韻. ▼n 2 / ▼d 李秉根 ; ▼e 朴昌遠 [共]編. |
260 | ▼a 서울 : ▼b 太學社 , ▼c 1998. | |
300 | ▼a 616p. : ▼b 도표 ; ▼c 23cm. | |
440 | 0 0 | ▼a 國語學講座 ; ▼v 5 |
504 | ▼a 참고문헌수록 | |
700 | 1 | ▼a 이병근 |
700 | 1 | ▼a 박창원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97.15 1998e 2 | 등록번호 15113023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병근(엮은이)
1940년 경기도 용인에서 태어나 수원에서 컸고 서울에서 성장했다. 서울대학교(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 및 대학원을 수료하고, 서울대학교 교수, 프랑스 파리7대학교 연합교수,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장을 역임했다. 한국언어학회 부회장, 진단학회 회장, 국어학회 회장, 한국사전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애산학회 이사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음운현상에 있어서의 제약』, 『한국어 사전의 역사와 방향』, 『어휘사』, 『음운 연구를 위하여』, 『방언 연구를 향하여』, 『국어음운론』(공저), 『국어연구의 발자취 1』(공저), 『한국언어지도』(공저) 외에 공편 다수가 있다.

목차
목차 머리말 = 3 차례 = 5 解題 = 6 中世國語 母音論 現狀과 課題 / 李基文 = 11 近代國語의 音韻論的 認識 / 宋敏 = 35 派生語形成과 逆行同化規則들 / 李秉根 = 59 國語 움라우트의 硏究史的 考察 / 崔明玉 = 81 '아오으우'의 대립관계와 圓脣母音화 / 白斗鉉 = 125 비음절화 규칙의 통시적 변화와 그 의미 / 한영균 = 155 고대국어의 치음 / 박창원 = 187 'ㄱ'弱化·脫落의 通時的 考察 / 李丞宰 = 225 어두자음 /ㅋ/에 대한 한 연구 / 朴盛鍾 = 259 中世國語 喉音에 대한 -考察 / 金京芽 = 283 ㅂ-불규칙 용언 어간의 변화에 대하여 / 정인호 = 307 體言語幹末 舌端子音의 摩擦音化 對하여 / 郭忠求 = 339 구개음화의 통시적 전개 과정과 특성 / 김주필 = 365 성조의 재구 방법 / 김성규 = 401 鹿代 聲調의 再構를 위한 基礎的 연구 / 權仁澣 = 413 中世國語 聲調의 變動과 基本形 / 鄭然桀 = 439 音韻變化와 音素의 分布 / 金完鎭 = 497 古代國語 音韻變化의 두 方向 / 都守熙 = 521 十五世紀 國語의 表記法에 대한 音韻論的 考察 / 宋喆儀 = 553 18세기 後期 國語의 一考察 / 田光鉉 = 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