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초등 국어과 교육

초등 국어과 교육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방민, 方旻, 1955-, 저 정길남, 저 양태식, 저 원진숙, 저 엄해영, 저 황정현, 저
서명 / 저자사항
초등 국어과 교육 / 方仁泰 ...[등저]
발행사항
서울 :   박이정,   2000.  
형태사항
viii, 339p. : 도표 ; 23cm
기타표제
제7차 교육과정을 위한
ISBN
8978784186
일반주기
공저자: 정길남, 양태식, 원진숙, 엄해영, 황정현  
방민의 본명은 방인태 임  
서지주기
참고문헌:p.339
000 00000nam c2200205 k 4500
001 000001077609
005 20220825162858
007 ta
008 020819s2000 ulkd 000a kor
020 ▼a 8978784186 ▼g 93710 : ▼c \12,000
040 ▼a 244002 ▼c 244002 ▼d 211009
049 0 ▼l 151111014 ▼l 151111015
082 0 4 ▼a 372.6 ▼2 21
090 ▼a 372.6 ▼b 2000b
245 0 0 ▼a 초등 국어과 교육 / ▼d 方仁泰 ...[등저]
246 1 3 ▼a 제7차 교육과정을 위한
260 ▼a 서울 : ▼b 박이정, ▼c 2000.
300 ▼a viii, 339p. : ▼b 도표 ; ▼c 23cm
500 ▼a 공저자: 정길남, 양태식, 원진숙, 엄해영, 황정현
500 ▼a 방민의 본명은 방인태 임
504 ▼a 참고문헌:p.339
700 1 ▼a 방민, ▼g 方旻, ▼d 1955-, ▼e▼0 AUTH(211009)5549
700 1 ▼a 정길남, ▼e
700 1 ▼a 양태식, ▼e
700 1 ▼a 원진숙, ▼e
700 1 ▼a 엄해영, ▼e
700 1 ▼a 황정현, ▼e
900 1 0 ▼a 방인태, ▼g 方仁泰, ▼e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72.6 2000b 등록번호 1511110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방인태(지은이)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교육대학교를 졸업하였으며, 서경대 국문학과 및 서울대 대학원 국문학과 석 박사과정 수료,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 및 연구 논문으로는 우리시문학 연구, 자주적 한국어 교육론, 그 고요한 떨림(시집), 중용 혹은 삼류문학의 길(평론집), 국어교육과 국문학, 문학교육론(공저), 시창작교육론(공저), 초등 국어과 교육(공저), 초등학교 독서교육(공저), 초등학교 한자교육(공저)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국어과 교육의 원리
 Ⅰ. 국어과 교육의 성격
  1. 국어과의 성격 = 1
  2. 초등 국어과 교육의 성격 = 10
 Ⅱ. 초등 국어과 교육의 목표와 내용
  1. 초등 국어과 교육 목표 = 11
  2. 초등 국어과 교육의 내용 = 13
 Ⅲ. 국어과 교수ㆍ학습의 원리와 방법
  1. 국어과 교수ㆍ학습의 원리 = 27
  2. 국어과 교수ㆍ학습 방법 = 32
  3. 국어과 교수ㆍ학습 유형 = 40
 Ⅳ. 국어과 교수ㆍ학습 평가
  1. 교수ㆍ학습 평가의 방향 = 52
  2. 평가 계획 수립 시 고려할 점 = 56
  3. 평가의 목표와 내용 및 방법 = 57
  4. 평가 결과의 활용 = 61
  5. 국어과 수행 평가의 방향 = 62
 탐구 문제 = 65
제2장 국어과 교육과정의 이해
 Ⅰ. 교육과정 변천의 요인
  1. 정치, 사회적 요인 = 70
  2. 교육 사조의 변천 = 70
  3. 학문적 연구의 진보 = 71
 Ⅱ. 국어과 교육의 변천 시기
  1. 구한말의 국어과 교육 = 72
  2. 일제 하의 국어과 교육(조선어 시대) = 74
  3. 미 군정하의 국어과 교육 = 76
 Ⅲ.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
  1. 제1차 교육과정과 국어과 교육 = 79
  2. 제2차 교육과정과 국어과 교육 = 82
  3. 제3차 교육과정과 국어과 교육 = 84
  4. 제4차 교육과정과 국어과 교육 = 88
  5. 제5차 교육과정과 국어과 교육 = 91
 Ⅳ. 현행 교육과정(6-7차)
  1. 제6차 교육과정 = 94
  2. 제7차 교육과정 = 103
 탐구 문제 = 109
제3장 국어 지식 영역의 교수ㆍ학습
 Ⅰ. 국어 지식 영역의 성격
  1. 국어 지식 영역의 성립 = 111
  2. 국어 지식 영역의 성격과 자리 = 114
 Ⅱ. 국어 지식 영역의 목표와 내용
  1. 국어 지식 영역의 목표 = 119
  2. 제7차 교육 과정에서의 국어 지식 영역의 내용 = 121
 Ⅲ. 국어 지식 영역의 지도방안
  1. 국어 지식 영역에서의 교수ㆍ학습 절차 = 127
  2. 국어 지식 교육을 위한 방법과 자료 = 131
 Ⅳ. 국어 지식 영역의 평가
  1. 국어 지식 영역 평가의 원리 = 142
  2. 국어 지식 영역 평가의 방법 = 144
 탐구 문제 = 148
제4장 듣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Ⅰ. 듣기 기능의 본질과 성격
  1. 듣기 교육의 중요성 = 151
  2. 듣기의 개념과 성격 = 153
  3. 듣기의 과정 = 156
 Ⅱ. 듣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내용
  1. 듣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목표 = 159
  2. 듣기 영역의 내용 체계 = 160
  3. 듣기 영역의 학년별 교수ㆍ학습 내용 = 163
 Ⅲ. 듣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방안
  1. 듣기 교수ㆍ학습의 방향 = 169
  2. 활동 단계별 듣기 교수ㆍ학습 방법 = 173
 Ⅳ. 듣기 영역의 평가
  1. 듣기 평가 원리 = 177
  2. 듣기 평가의 내용 = 179
  3. 듣기 평가 방법 = 181
 탐구 문제 = 183
제5장 말하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Ⅰ. 말하기 기능의 본질과 성격
  1. 말하기의 개념과 성격 = 185
  2. 말하기 능력의 개념과 구성 요소 = 191
  3. 말하기의 과정 = 193
 Ⅱ. 말하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내용
  1. 말하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목표 = 196
  2. 말하기 영역의 내용체계 = 197
  3. 말하기 영역의 학년별 교수ㆍ학습 내용 = 200
 Ⅲ. 말하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방안
  1. 말하기 교수ㆍ학습의 방향 = 206
  2. 말하기 교수ㆍ학습 방법 = 209
 Ⅳ. 말하기 영역의 평가
  1. 말하기 평가 원리 = 212
  2. 말하기 평가의 내용 = 214
  3. 말하기 평가 방법 = 216
 탐구 문제 = 218
제6장 읽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Ⅰ. 읽기의 본질과 과정
  1. 읽기의 본질 = 221
  2. 읽기의 과정 = 225
 Ⅱ. 읽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내용
  1. 읽기의 내용 체계와 학년별 내용 = 228
 Ⅲ. 읽기 교수ㆍ학습 방법
  1. 읽기 지도의 방향 = 236
  2. 읽기 지도 활동 = 237
  3. 읽기의 방법 = 240
  4. 읽기의 전략 = 247
  5. 읽기 교재 연구의 원리 = 251
 Ⅳ. 읽기 영역의 평가
  1. 읽기 평가의 원리 = 253
  2. 읽기 평가의 목표와 내용 = 256
  3. 읽기 평가 방법 = 257
 탐구 문제 = 259
제7장 쓰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Ⅰ. 글쓰기의 본질
  1. 글쓰기의 본질 = 261
  2. 문장력 지도 = 265
  3. 쓰기 과정 = 269
 Ⅱ. 쓰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내용
  1. 쓰기 영역의 목표 = 275
  2. 쓰기 영역의 내용 = 275
 Ⅲ. 쓰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방법
  1. 문제 해결 과정 쓰기의 성격 = 285
  2. 과정 중심 쓰기 교수ㆍ학습 방법 = 286
 Ⅳ. 쓰기 영역의 수행 평가
  1. 쓰기 영역의 평가 방향 = 290
  2. 쓰기 수행 평가 원리 = 292
  3. 쓰기 수행 평가 방법 = 294
 탐구 문제 = 300
제8장 문학 영역의 교수ㆍ학습
 Ⅰ. 문학교육의 본질과 성격
  1. 문학의 본질 = 303
  2. 문학의 교육적 기능 = 306
  3. 문학교육의 성격 = 310
 Ⅱ. 문학 영역의 교수ㆍ학습 내용
  1. 7차 교육과정의 이념과 목표 = 315
  2. 문학교육의 내용 = 318
 Ⅲ. 문학 영역의 교수ㆍ학습 방법
  1. 행위 지향 교수ㆍ학습 = 327
  2. 역할 수행 교수ㆍ학습 = 329
  3. 전문가 교수ㆍ학습 = 331
  4. 창의적 사고 교수ㆍ학습 = 332
 Ⅳ. 문학 영역의 평가
  1. 문학교육 교수ㆍ학습의 수행평가 기준 = 335
  2. 수행평가 기준 안의 활용 방법 = 336
 탐구 문제 = 338

관련분야 신착자료

한성심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