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국어과 교육의 원리
Ⅰ. 국어과 교육의 성격
1. 국어과의 성격 = 1
2. 초등 국어과 교육의 성격 = 10
Ⅱ. 초등 국어과 교육의 목표와 내용
1. 초등 국어과 교육 목표 = 11
2. 초등 국어과 교육의 내용 = 13
Ⅲ. 국어과 교수ㆍ학습의 원리와 방법
1. 국어과 교수ㆍ학습의 원리 = 27
2. 국어과 교수ㆍ학습 방법 = 32
3. 국어과 교수ㆍ학습 유형 = 40
Ⅳ. 국어과 교수ㆍ학습 평가
1. 교수ㆍ학습 평가의 방향 = 52
2. 평가 계획 수립 시 고려할 점 = 56
3. 평가의 목표와 내용 및 방법 = 57
4. 평가 결과의 활용 = 61
5. 국어과 수행 평가의 방향 = 62
탐구 문제 = 65
제2장 국어과 교육과정의 이해
Ⅰ. 교육과정 변천의 요인
1. 정치, 사회적 요인 = 70
2. 교육 사조의 변천 = 70
3. 학문적 연구의 진보 = 71
Ⅱ. 국어과 교육의 변천 시기
1. 구한말의 국어과 교육 = 72
2. 일제 하의 국어과 교육(조선어 시대) = 74
3. 미 군정하의 국어과 교육 = 76
Ⅲ.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
1. 제1차 교육과정과 국어과 교육 = 79
2. 제2차 교육과정과 국어과 교육 = 82
3. 제3차 교육과정과 국어과 교육 = 84
4. 제4차 교육과정과 국어과 교육 = 88
5. 제5차 교육과정과 국어과 교육 = 91
Ⅳ. 현행 교육과정(6-7차)
1. 제6차 교육과정 = 94
2. 제7차 교육과정 = 103
탐구 문제 = 109
제3장 국어 지식 영역의 교수ㆍ학습
Ⅰ. 국어 지식 영역의 성격
1. 국어 지식 영역의 성립 = 111
2. 국어 지식 영역의 성격과 자리 = 114
Ⅱ. 국어 지식 영역의 목표와 내용
1. 국어 지식 영역의 목표 = 119
2. 제7차 교육 과정에서의 국어 지식 영역의 내용 = 121
Ⅲ. 국어 지식 영역의 지도방안
1. 국어 지식 영역에서의 교수ㆍ학습 절차 = 127
2. 국어 지식 교육을 위한 방법과 자료 = 131
Ⅳ. 국어 지식 영역의 평가
1. 국어 지식 영역 평가의 원리 = 142
2. 국어 지식 영역 평가의 방법 = 144
탐구 문제 = 148
제4장 듣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Ⅰ. 듣기 기능의 본질과 성격
1. 듣기 교육의 중요성 = 151
2. 듣기의 개념과 성격 = 153
3. 듣기의 과정 = 156
Ⅱ. 듣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내용
1. 듣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목표 = 159
2. 듣기 영역의 내용 체계 = 160
3. 듣기 영역의 학년별 교수ㆍ학습 내용 = 163
Ⅲ. 듣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방안
1. 듣기 교수ㆍ학습의 방향 = 169
2. 활동 단계별 듣기 교수ㆍ학습 방법 = 173
Ⅳ. 듣기 영역의 평가
1. 듣기 평가 원리 = 177
2. 듣기 평가의 내용 = 179
3. 듣기 평가 방법 = 181
탐구 문제 = 183
제5장 말하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Ⅰ. 말하기 기능의 본질과 성격
1. 말하기의 개념과 성격 = 185
2. 말하기 능력의 개념과 구성 요소 = 191
3. 말하기의 과정 = 193
Ⅱ. 말하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내용
1. 말하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목표 = 196
2. 말하기 영역의 내용체계 = 197
3. 말하기 영역의 학년별 교수ㆍ학습 내용 = 200
Ⅲ. 말하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방안
1. 말하기 교수ㆍ학습의 방향 = 206
2. 말하기 교수ㆍ학습 방법 = 209
Ⅳ. 말하기 영역의 평가
1. 말하기 평가 원리 = 212
2. 말하기 평가의 내용 = 214
3. 말하기 평가 방법 = 216
탐구 문제 = 218
제6장 읽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Ⅰ. 읽기의 본질과 과정
1. 읽기의 본질 = 221
2. 읽기의 과정 = 225
Ⅱ. 읽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내용
1. 읽기의 내용 체계와 학년별 내용 = 228
Ⅲ. 읽기 교수ㆍ학습 방법
1. 읽기 지도의 방향 = 236
2. 읽기 지도 활동 = 237
3. 읽기의 방법 = 240
4. 읽기의 전략 = 247
5. 읽기 교재 연구의 원리 = 251
Ⅳ. 읽기 영역의 평가
1. 읽기 평가의 원리 = 253
2. 읽기 평가의 목표와 내용 = 256
3. 읽기 평가 방법 = 257
탐구 문제 = 259
제7장 쓰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Ⅰ. 글쓰기의 본질
1. 글쓰기의 본질 = 261
2. 문장력 지도 = 265
3. 쓰기 과정 = 269
Ⅱ. 쓰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내용
1. 쓰기 영역의 목표 = 275
2. 쓰기 영역의 내용 = 275
Ⅲ. 쓰기 영역의 교수ㆍ학습 방법
1. 문제 해결 과정 쓰기의 성격 = 285
2. 과정 중심 쓰기 교수ㆍ학습 방법 = 286
Ⅳ. 쓰기 영역의 수행 평가
1. 쓰기 영역의 평가 방향 = 290
2. 쓰기 수행 평가 원리 = 292
3. 쓰기 수행 평가 방법 = 294
탐구 문제 = 300
제8장 문학 영역의 교수ㆍ학습
Ⅰ. 문학교육의 본질과 성격
1. 문학의 본질 = 303
2. 문학의 교육적 기능 = 306
3. 문학교육의 성격 = 310
Ⅱ. 문학 영역의 교수ㆍ학습 내용
1. 7차 교육과정의 이념과 목표 = 315
2. 문학교육의 내용 = 318
Ⅲ. 문학 영역의 교수ㆍ학습 방법
1. 행위 지향 교수ㆍ학습 = 327
2. 역할 수행 교수ㆍ학습 = 329
3. 전문가 교수ㆍ학습 = 331
4. 창의적 사고 교수ㆍ학습 = 332
Ⅳ. 문학 영역의 평가
1. 문학교육 교수ㆍ학습의 수행평가 기준 = 335
2. 수행평가 기준 안의 활용 방법 = 336
탐구 문제 =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