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44n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01076232 | |
005 | 20100805095356 | |
007 | ta | |
008 | 020711s2001 ulka 000a kor | |
020 | ▼a 894260224X ▼g 93370: ▼c \16,000 | |
040 | ▼a 244002 ▼c 244002 ▼d 244002 | |
049 | 0 | ▼l 151117622 ▼l 151117623 |
082 | 0 4 | ▼a 372.12 ▼2 21 |
090 | ▼a 372.12 ▼b 2001a | |
245 | 0 0 | ▼a 영유아 교육기관의 개원과 운영 / ▼d 김혜경 편저. |
260 | ▼a 서울 : ▼b 창지사 , ▼c 2001. | |
300 | ▼a 391 p. : ▼b 삽도 ; ▼c 26 cm. | |
500 | ▼a 부록 : 1. 취업규칙의 예. 2. 개원을 위한 물품 목록의 예. | |
504 | ▼a 참고문헌:p.329-330 | |
700 | 1 | ▼a 김혜경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2.12 2001a | 등록번호 1511176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2.12 2001a | 등록번호 15111762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혜경(엮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에 진학하여 유아교육과 영어교육을 복수전공한 이후 다양한 경력과 학력을 소유하고 있다. 최근까지 영유아교육경영연구소를 운영하며 모교의 유아교육과 겸임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는 어린이집 원장으로 일하며 어린 천사들과 살아가고 있다. 유아교육과 영어교육 외에 각기 다른 대학교에서 교육학, 음악학, 지도자학, 문예창작을 공부하였다. 20대 후반부터 영유아와 관련된 글을 꾸준히 집필하였다. 30여 년 다양한 직업으로 유아교육을 해 왔고 양천삼성어린이집, 서울특별시청어린이집, 세곡나비어린이집 원장의 경험을 토대로 기관 운영에 대한 연구와 집필에도 관심이 많다. [주요 경력] - 영유아교육경영연구소장(www.kidsnme.org) -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겸임교수 -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겸임교수 - CTS TV 영유아문화원 고문(kids.cts.tv) “영유아가 나라의 미래다” 제작 및 진행 - EBS “라디오 멘토 부모” 육아리포트 패널 “부모라디오 알토란” / “부모의 시간” 출연진 - 서울특별시육아종합지원센터 초대 소장(어린이집 원장 겸직) - 서울특별시보육정책위원회 부위원장 - 서울특별시 서초구 보육정책위원장 -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 심의위원 - 아이낳기좋은세상 서울운동본부 위원 - 저출산 극복 운동 공로 “보건복지부장관상” 수상 - 한국육아지원학회 사업이사 - 아이코리아연수원장 / 보육교사교육원장 - 민주평통 자문위원 - 2014년 올해의 이화인 - 영유아 관련 저서 50권 [최근 대표 저서 및 연구] - 보육의 회복 : 원장의 시선(2016) - 저출산 세대의 슈퍼대디(2015) - 보육교사론(2014) - 아동음악(2014) -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제3판(2013) - 영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개정2판(2013) - 영유아음악교육(2013) - 영유아건강교육(2012) - 어린이집 개원하기(2012) - 원장리더십 : 영유아기관장의 자기경영(2012) - 부모도 이미지메이킹이 필요하다(2012) - 유아교사를 위한 교직의 이해(2011) - EBS 라디오멘토 부모(2010) - 교구교재 연구 및 지도법(2010) - 영유아음악활동의 이해(2010) - 유아를 위한 도박중독예방교육 프로그램 운영 연구(2010)

목차
목차 제1장 기관 설립을 위한 준비 = 11 1. 유형의 이해 = 13 1) 사회적 요구와 방향 = 13 2) 유치원과 보육 시설 = 13 2. 원장의 자격 기준 = 15 1) 유치원 = 15 2) 보육 시설 = 16 3. 설립 예산과 개원 일정 = 17 4. 물리적 공간 = 21 1) 수요 아동 수 = 21 2) 주변 환경 = 22 3) 실외놀이터의 활용 여부 = 22 4) 구입 및 임대시 유의 사항 = 22 5) 공간의 구성 계획 = 23 6) 면적 기준 = 23 7) 개원 작업을 위한 설비 = 23 5. 인가 서류 = 24 1) 유치원 = 24 2) 보육 시설 = 24 6. 관련 법규의 이해 = 26 제2장 관련 법규 = 29 1. 유아교육진흥법과 시행령 = 31 2. 영유아보육법과 시행령 = 37 3. 보육 사업 안내 = 45 제3장 원아 모집과 반 편성 = 71 1. 홍보 방법 = 73 2. 홍보 내용 = 74 3. 반 편성 = 74 제4장 교직원 채용과 역할 분담 = 77 1. 채용 과정 = 79 2. 역할 분담 훈련 = 80 제5장 환경 구성과 관리 요령 = 87 1. 공간 구성과 관리 요령 = 89 1) 교실 = 91 2) 유희실 = 99 3) 화장실 = 101 4) 식당과 주방 = 103 5) 양호실 = 107 6) 원장실 = 109 7) 교사실 = 109 8) 자료실 = 110 9) 현관 = 113 10) 세탁실 = 116 11) 실외 환경 = 116 2. 계절별 데코레이션 = 121 1) 봄 = 122 2) 여름 = 123 3) 가을 = 124 4) 겨울 = 125 제6장 학급 운영 관리 = 127 1. 교사 교육 = 129 2. 아동 관리 = 130 3. 교육 과정 편성 = 134 4. 교재 교구의 구입과 관리 = 137 5.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 144 제7장 행사의 기획 = 147 1. 기본 원리 = 149 2. 행사 사례 = 151 1) 개원식 = 151 2) 유치반 학부모 간담회 = 160 3) 송년의 밤 = 164 제8장 재정과 문서 관리 = 169 1. 회계를 위한 장부 = 171 1) 총계정 원장 = 171 2) 현금출납부와 증빙 서류 = 176 3) 수입부와 지출부 = 178 2. 예결산 편성 = 184 1) 절차와 방법 = 184 2) 서식의 예 = 187 3. 운영비의 관리 = 190 1) 관리 요령 = 190 2) 서식의 예 = 195 4. 사회 보장 보험 = 199 1) 국민 건강 보험 = 199 2) 국민 연금 = 199 3) 산재 보험 = 200 4) 고용 보험 = 200 5) 상해 보험 = 201 6) 화재 보험 = 202 5. 문서 작성과 관리 = 202 1) 문서의 종류 = 202 2) 작성과 관리 절차 = 203 3) 문서의 예 = 205 6. 인수 인계 서류 = 213 제9장 학부모 및 외부인 관리 = 219 1. 학부모 = 221 2. 실습생 = 228 3. 자원 봉사자 = 229 4. 견학자 = 230 제10장 운영 평가 = 233 1. NAEYC의 자료들을 중심으로 한 평가 = 235 2. 관할 관청의 평가 = 238 제11장 월별 운영 관리 일정 = 245 1. 1학기 = 248 2. 2학기 = 250 제12장 운영 관리를 위한 정보 검색 사이트 = 253 1. 행정 기관/연구 기관/학회/관련 단체 = 255 2. 어린이용 사이트 = 284 3. 물품 구매 및 기타 유아 교육 정보 = 297 참고문헌 = 329 부록 1. 취업 규칙의 예 = 331 부록 2. 개원을 위한 물품 목록의 예 =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