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61n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01074527 | |
005 | 20100805094045 | |
007 | ta | |
008 | 020611s1996 ulk 000a kor | |
020 | ▼a 8970071962 ▼g 93370 : ▼c \6,000 | |
040 | ▼a 244002 ▼c 244002 | |
041 | 1 | ▼a kor ▼h eng |
049 | 0 | ▼l 151120311 ▼l 151120312 |
082 | 0 4 | ▼a 375.001 ▼2 21 |
090 | ▼a 375.001 ▼b 1996 | |
100 | 1 | ▼a Tyler, Ralph Winfred |
245 | 1 0 | ▼a Tyler의 교육과정과 수업지도의 기본원리 / ▼d Ralph W. Tyler 지음 ; ▼e 진영은 옮김. |
246 | 0 9 | ▼a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
260 | ▼a 서울 : ▼b 양서원 , ▼c 1996. | |
300 | ▼a 151 p. ; ▼c 23 cm. | |
700 | 1 | ▼a 진영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5.001 1996 | 등록번호 151120311 | 도서상태 분실(장서관리)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5.001 1996 | 등록번호 15112031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서문 = 3 제1장 학교는 어떤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가? = 7 1. 교육목표의 원천으로서 학습자들 자신에 대한 연구 = 10 2. 학교 밖의 현대사회의 생활에 대한 연구 = 21 3. 교과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교육목표에 대한 제안 = 31 4. 교육목표 선정에서의 교육철학의 이용 = 41 5. 교육목표 선정에서의 학습심리학의 이용 = 45 6. 학습경험의 선정과 수업의 안내에 유용한 형태도와 교육목표 진술 = 51 제2장 이러한 교육목표를 달성하는데 유용한 학습경험은 어떻게 선정될 수 있는가? = 71 1. ‘학습경험’이라는 용어의 의미 = 71 2. 학습경험을 선정하는 일반적 원리 = 73 3. 다양한 유형의 교육목표를 달성하는 데 유용한 학습경험의 특성에 대한 예시 = 77 제3장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서 학습경험은 어떻게 조직될 수 있는가? = 93 1. ‘조직’이란 무엇인가 = 93 2. 효과적인 조직의 준거 = 95 3. 조직되어야 할 요소들 = 97 4. 조직의 원리 = 107 5. 조직의 구조 = 110 6. 조직의 단위를 설계하는 과정 = 113 제4장 이러한 교육목표가 달성되었는지를 어떻게 평가하는가? = 117 1. 평가의 필요성 = 117 2. 평가에 관한 기초개념 = 119 3. 평가 절차 = 123 4. 평가 결과의 활용 = 134 5. 평가 절차의 다른 가치와 활용 = 137 제5장 학교나 대학의 교직원들은 교육과정 제작에 어떻게 참여할 것인가? = 141 역자후기 =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