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8
감사의 글 = 11
역자서문 = 13
약어와 기호 = 16
국제음성문자 = 18
1장 도입 : 언어란 무엇인가 ? = 19
1.1 인간 언어의 특성 = 19
1.1.1 신호체계로서의 언어 = 20
1.1.2 기능과 형태를 지닌 언어적 상징 = 21
1.1.3 규칙에 의한 언어 단위 = 24
1.1.4 인간 고유의 언어 = 27
1.1.5 언어의 창조적 사용 = 27
1.1.6 언어사용의 제약 = 29
용어해설 = 32
참고문헌 = 34
제1부 소리 = 35
2장 음성 = 37
2.1 음과 철자 = 38
2.1.1 국제음성문자 = 41
2.2 조음 음성학 = 45
2.2.1 발음기관 = 45
2.2.2 발화생산 = 48
2.2.3 모음 = 58
보충 연습문제 = 64
3장 영어 음운론 = 67
도입 - 음 : 동일음과 상이음 = 67
3.1 음소찾기 = 70
3.1.1 상보적 분포 = 72
3.1.2 결함분포 = 72
3.1.3 평행분포 = 73
3.1.4 자유변이 = 78
3.1.5 변이와 방언 = 79
3.2 음소와 이음소 재고 = 80
3.3 음소분석 = 82
3.3.1 음소체계 = 82
3.3.2 음소배열 규칙 = 82
3.3.3 이음소 규칙 = 85
3.4 이음소 과정 = 88
3.4.1 기음화 = 88
3.4.2 동화 = 90
3.4.3 탈락 = 94
3.4.4 삽입 = 95
3.5 이음소 = 96
3.5.1 파열음 = 96
3.5.2 유성마찰음 = 98
3.5.3 공명음 = 98
3.5.4 모음 = 99
3.6 도출 = 99
3.7 자질 = 100
3.7.1 자질의 필요성 = 101
3.7.2 영어의 변별자질 = 103
3.7.3 분류 기능을 갖는 자질 = 104
3.7.4 비음 = 105
3.7.5 조음위치 자질 = 105
3.7.6 설신자질 = 105
3.7.7 기타 조음 자질 = 106
3.7.8 조음방법 자질 = 108
3.7.9 근원자질 = 108
3.7.10 자질행렬과 잉여성 = 109
3.7.11 자연군 = 110
3.7.12 복수형 재고 = 112
보충 연습문제 = 116
4장 음절과 초분절음 = 117
4.1 음절 = 117
4.1.1 음절경계와 음소배열 규칙 = 118
4.1.2 음절구조 = 119
4.1.3 음절핵, 각운, 두음, 말음 = 120
4.2 영어의 초분절 자질 = 123
4.2.1 음조 = 124
4.2.2 억양 = 125
4.3 강세 = 132
4.3.1 강세의 단계 = 133
4.3.2 연속발화에서의 강세 - 운율 = 134
보충 연습문제 = 136
용어해설 = 138
참고문헌 = 148
제2부 단어 = 149
5장 단어의 형태와 기능 = 151
도입 : 사전과 어휘소 = 151
5.1 단어와 문법범주 : 통사범주와 굴절 = 153
5.1.1 도입 = 153
5.1.2 명사 = 154
5.1.3 형용사 = 157
5.1.4 동사 = 160
5.1.5 부사 = 163
5.1.6 전치사 = 164
5.2 어형성 = 166
5.2.1 합성 = 166
5.2.2 파생접사화 = 169
5.2.3 전환 = 173
5.3 형태소의 종류 = 174
5.3.1 의존형태소와 자유형태소 = 174
5.3.2 어간과 접사 = 174
5.3.3 굴절형태소 재고 = 175
5.4 형태자질 = 178
5.4.1 실재어, 비실재어, 가능어, 불가능어 = 178
5.4.2 생산성 = 178
5.4.3 단어 구조의 도형화 = 180
보충 연습문제 = 183
6장 단어의미와 어휘 = 187
6.1 단어의 의미 = 187
6.1.1 의의의 동일성과 상이성 = 188
6.1.2 반대의 의의 = 191
6.1.3 의의성분 = 193
6.1.4 은유 = 198
6.1.5 문맥에서의 단어의미 = 199
6.1.6 지시 = 202
6.1.7 단어 연상과 어감 = 203
6.2 어휘 = 205
6.2.1 어휘첨가 = 206
6.2.2 새 단어의 생성 = 210
6.2.3 시대적 변화 = 211
6.2.4 용법의 축소, 고어, 소실 = 214
6.2.5 단어의 역사 = 215
6.2.6 방언어휘 = 216
6.2.7 전문어휘 = 221
6.2.8 형식성과 어휘 = 222
6.2.9 사전 = 223
보충 연습문제 = 227
용어해설 = 229
참고문헌 = 236
제3부 문장 = 237
7장 단문의 구조 = 239
도입 = 239
7.1 단순구 = 240
7.1.1 구를 확인할 수 있는 세 가지 방법 = 240
7.1.2 핵어와 수식어 = 243
7.1.3 명사구 = 246
7.1.4 형용사구 = 253
7.1.5 전치사구 = 257
7.1.6 동사구 = 258
7.2 단문과 기능 구성소 = 267
7.2.1 주어 = 267
7.2.2 술어 = 269
7.2.3 목적어 = 270
7.2.4 강조 보충어 = 274
7.2.5 부사류 = 276
보충 연습문제 = 278
8장 복합문장의 구조 = 280
8.1 복합구와 복합절 = 280
8.1.1 구 핵어의 하위 범주화 = 286
8.1.2 등위접속 = 290
8.2 통사적 연관성 = 294
8.2.1 Yes / no 의문문 = 294
8.2.2 wh-의문문과 wh-이동 = 297
8.2.3 관계절과 wh-이동 = 302
8.2.4 명령문 = 303
8.2.5 수동태 = 304
8.2.6 주절과 종속절 = 306
8.2.7 공구성소 = 308
8.2.8 문법적 변화 = 309
8.3 어휘화된 구와 절 = 311
보충 연습문제 = 313
용어해설 = 316
참고문헌 = 320
연습문제 해답 = 321
찾아보기 =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