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DCE란 무엇인가
1.1 DCE의 역사 = 15
1.2 이기종 분산환경과 DCE = 18
1.3 분산환경 = 20
1.4 분산 컴퓨팅 모델 = 22
1.5 DCE 아키텍처 = 25
1.6 DCE 시스템의 예 = 27
제2장 DCE 입문
2.1 리모트 프로시저 콜 = 31
1. RPC 메커니즘 = 33
2. RPC 구성요소 = 35
2.2 디렉토리 서비스 = 43
1. 셀의 개념과 CDS/GDS = 44
2. DCE 디렉토리 서비스의 이점 = 45
3. 네이밍 공간 = 47
4. CDS의 기술 = 49
2.3 보안 서비스 = 51
1. 인증 기능 = 53
2. 인가 기능 = 60
3. 암호화 기능 = 62
4. 감사 기능 = 63
2.4 분산 타임 서비스(DTS) = 64
1. 분산 타임 서비스 구성요소 = 65
2. 분산타임 서비스의 메커니즘 = 66
3. 타임 서비스 API = 69
2.5 쓰레드 = 69
1. DCE 쓰레드란 = 70
2. 쓰레드를 사용할 때의 고려점 = 71
2.6 분산 파일 서비스 = 73
1. DFS의 이점 = 74
2. DFS의 기술 = 76
제3장 인터넷 시대의 DCE
3.1 인터넷과 인트라넷 = 85
3.2 DCE-Web = 89
1. 분산 시스템의 보안 = 89
2. DCE-Web의 보안 = 90
3. DCE-Web의 기본구성 = 93
4. WanD 서버 = 94
5. 시스템 예 = 97
3.3 Java와 DCE = 98
제4장 DCE와 분산 객체 기술
4.1 분산 객체 기술 = 103
1. 객체 지향 기술의 진화 = 103
2. 여러 가지 분산 객체 기술 = 106
4.2 OSF DCE R 1.2.1의 분산 객체 지원 = 108
1. 객체의작성과 등록 = 109
2. 객체의 오퍼레이션 호출 = 110
3. DCE R 1.2.1의 장점 = 111
4.3 HP OODCE = 112
1. OODCE의 개요 = 112
2. OODCE의 특징 = 112
3. DCE에서의 개발 스타일과 OODCE에서의 개발 스타일 = 113
4. idl++컴파일러 = 115
5. OODCE의 클래스 라이브러리 = 116
6. OODCE의 예외처리 모델 = 120
7. 소스 코드 예 = 123
제5장 DCE 보안 서비스
5.1 암호화 방식 = 127
1. 비밀키 암호방식 = 127
2. 공개키 암호방식 = 128
5.2 3계층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에서의 보안 = 130
1. 3계층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 130
2. DCE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 131
3. 델리게이션(대리)기능의 개요 = 132
4. 다층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모델의 예 = 133
5. 델리게이션의 억세스 제어 리스트 엔트리(ACL) = 135
5.3 GSS-SPI = 136
1. DCE 어플리케이션의 인증 = 137
제6장 DCE의 디렉토리 서비스
6.1 계층화 셀 = 143
1. 셀과 네임 스페이스 = 143
2. 셀의 접속관계 = 144
3. 셀의 계층화와 다른 셀명 = 145
4. 계층화 셀의 구축 = 146
6.2 XFN = 150
1. XFN의 목적 = 150
2. XFN의 구현 = 151
제7장 DFAM-DCE와 NetWare의 연계 도구
7.1 개발 배경 = 155
7.2 DFAN의 특징 = 156
7.3 DFAN의 시스템 구성 = 158
7.4 DFAN의 기능개요 = 159
1. DFAN 볼륨 할당 기능 = 159
2. 리다이렉트 기능 = 160
3. DCE 로그인 기능 = 161
4. DFAN 에이전트 다중화 지원 기능 = 161
5. 장해처리 기능 = 162
7.5 DFAN의처리방식 = 163
1. 파일공용 = 163
2. 확장성 = 169
3. 보안 = 171
4. 호환성 = 172
5. 장해처리 = 173
6. 관리기능 = 174
7. 국제화 대용 = 177
제8장 RPC를 이용한 분산 어플리케이션 개발
8.1 분산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순서 = 181
8.2 인터페이스 정의파일의 기술 = 186
1. 인터페이스 정의파일의 구성 = 186
2. 인터페이스 속성선언부 = 187
3. 인터페이스 기술부 = 190
4. 속성구성 파일의 작성 = 195
5. 스터브 헤더 파일의 생성 = 197
8.3 서버 프로그램의 개발 = 198
1. 서버의 초기화 처리 = 199
2. 서버의 종료처리 = 205
3. 원격 프로시저의 실장 = 207
4. 예외 처리 = 209
5. 백킹 스토어 = 210
6. 쓰레드 관리 = 212
7. 메모리 관리 = 213
8.4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개발 = 214
1. 클라이언트의 초기화 처리 = 216
2. 원격 프로시저 호출 = 218
3. 클라이언트의 종료 처리 = 218
제9장 국제화 분산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9.1 국제화 어플리케이션 = 223
9.2 문자세트와 코드세트 = 224
1. 로케일(locale) = 225
2. 문자 세트 = 225
3. 코드세트 = 225
4. 문자 세트 및 코드세트의 등록 = 226
9.3 메시지 텍스트의 분리 = 226
1. 메시지 카탈로그 = 227
2. 메시지 텍스트의 취득 = 229
9.4 국제화 RPC의 메커니즘 = 230
1. 국제화 RPC의 처리순서 = 231
2. 코드세트 등록부 = 233
9.5 인터페이스 정의파일과 속성구성 파일의 작성 = 234
1. 인터페이스 정의(IDL)파일의 작성 = 234
2. 속성구성 파일(ACF)의 작성 = 236
9.6 서버 프로그램의 개발 = 240
1. 초기화처리 = 240
2. 종료처리 = 242
3 원격 프로시저의 처리 = 242
9.7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개발 = 244
1. 초기화 처리 = 244
2. 원격 프로시저의 호출 = 246
부록
부록A. 프로그램 예 = 249
부록B. 오픈그룹 일본 벤더 협의회 조직 = 274
참고문헌 = 277
찾아보기 =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