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부 유아언어교육이론
제1장 언어의 이해 = 13
1. 언어의 본질 = 13
1) 언어의 정의 = 13
2) 언어의 기능 = 15
3) 언어의 특성 = 17
4) 언어의 형태 = 18
2. 언어 습득 이론 = 20
1) 행동주의 이론 = 21
2) 천성주의 이론 = 22
3) 상호작용주의 이론 = 23
제2장 유아기 언어 발달 = 25
1. 음성언어의 발달 = 25
1) 언어 이전 시기 = 25
2) 언어 시기 = 31
2. 문자언어의 발달 = 32
1) 읽기의 발달 = 33
2) 쓰기의 발달 = 39
제3장 유아기 언어 발달의 영향 요인 = 49
1. 언어의 발달 장애 = 49
1) 언어 장애의 의미 = 49
2) 유아의 언어 장애 = 50
2. 유아기 언어 발달 영향 요인 = 54
1) 유아의 개인적 조건 = 54
2) 유아의 환경적 요인 = 56
제2부 유아언어 교육방법
제4장 유아언어 교육방법 = 63
1. 유아언어교육의 개념 = 63
1) 의의 = 63
2) 유아언어교육의 필요성 = 64
3) 언어교육의 목적 = 67
2. 유아언어 교육과정 = 68
1) 언어생활의 성격 = 68
2) 언어생활의 목표 = 70
3) 유아언어생활의 내용 = 72
제5장 유아기 언어 영역별 지도 = 95
1. 유아기의 듣기 지도 = 95
1) 듣기의 의미 = 95
2) 듣기 지도의 전략 = 95
3) 듣기 관련 활동 = 97
2. 유아기의 말하기 지도 = 101
1) 말하기의 의미 = 101
2) 말하기 지도의 전략 = 102
3) 말하기 관련 활동 = 103
3. 유아기의 읽기 지도 = 106
1) 읽기의 의미 = 106
2) 읽기 지도의 전략 = 106
3) 읽기 지도의 방법 = 109
4) 읽기 관련 활동 = 111
4. 유아의 쓰기 지도 = 112
1) 쓰기의 의미 = 112
2) 쓰기 지도 방법 = 113
3) 쓰기 관련 활동 = 116
제6장 통합 유아언어교육 = 119
1. 통합적 언어교육의 개념 = 119
1) 언어의 영역간의 통합 = 120
2) 언어와 다른 생활 영역간의 통합 = 123
2. 유아언어교육의 원리 = 125
3. 유아언어교육 교수방법 = 127
4. 유아언어교육 환경 = 133
1) 기본 원리 = 133
2) 영역별 환경 구성 = 135
3) 학습안내센터 제시 = 142
4) 벽면의 구성 = 144
5. 통합적 유아언어교육 '예시' = 147
1) 주제를 중심으로 한 통합의 '예(또래친구)' = 147
2) 동화 중심 통합 언어교육 '예(흥부와 놀부)' = 161
제7장 교사의 역할 = 183
1. 교수-학습에서의 교사의 위치 = 184
2. 교사의 역할 = 185
1) 준비된 환경의 제공자 = 185
2) 상호작용자 = 186
3) 학습의 조력자 = 187
4) 유아의 모방과 동일시 대상자 = 188
5) 학습 안내자 = 189
6) 조사·연구·관찰자 = 190
7) 유아의 격려자 = 190
제8장 유아기 언어교육 활동 유형 = 191
1. 주제 접근 언어교육 활동 = 191
1) 이야기 나누기 = 191
2) 자유선택활동 = 195
3) 동화·동시 들려 주기 = 200
4) 집단토의 = 208
2. 언어 영역 구성을 통한 언어교육 = 217
1) 영역의 구성 = 217
2) 기본 설비 및 자료 = 218
3) 영역별 언어활동 = 218
3. 신문을 활용한 언어교육 = 223
1) 신문활용교육의 의미 = 223
2) 필요성 및 목적 = 223
3) 신문활용교육 방법 = 225
4) 신문활용 언어교육 유형 = 228
5) 유아교육기관의 신문활용교육 = 230
6) 신문활용교육 활동 '예시' = 239
4. 유아교육기관과 가정과의 연계활동 = 250
1) 가정의 문해환경과 언어의 민감기 = 250
2) 유아언어교육과 부모 참여 = 252
3) 자녀와 부모가 함께 하는 언어활동 = 254
제3부 유아언어교육의 실제
제9장 듣기 = 261
1. 말소리 듣기 = 262
2. 낱말과 문장 듣고 이해하기 = 272
3. 이야기 듣고 이해하기 = 278
4. 동화, 동요, 동시 듣기 = 286
5. 바른 태도로 듣기 = 298
제10장 말하기 = 309
1. 바르게 발음하여 말하기 = 310
2. 낱말과 문장을 말하기 = 320
3. 경험, 생각, 느낌 말하기 = 329
4. 상황에 맞게 말하기 = 337
5. 바른 태도로 말하기 = 347
제11장 읽기·쓰기에 관심 가지기 = 357
1. 말과 글의 관계 알기 = 358
2. 글자에 관심 가지기 = 368
3. 쓰기에 관심 가지기 = 378
4. 책에 관심 가지기 = 390
5. 읽어 주는 글 이해하기 = 405
참고문헌 =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