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ⅲ
제1장 한국 영어교육의 교수방법론적 재고
Ⅰ. 서론 = 1
Ⅱ. 주요 교수방법의 개관 = 2
1. 문법번역식 교수법 = 2
2. 직접식 교수법 = 4
3. 청화식 교수법 = 6
4. 인지적 교수법 = 9
5. 절충식 교수법 = 11
6. 독서본위 교수법 = 12
7. 신 교수법 = 14
Ⅲ. 교수방법별 특징분석 = 18
Ⅳ. 효율적인 교수방법 = 20
Ⅴ. 결론 = 22
제2장 청취이해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실험설계
Ⅰ. 서론 = 27
Ⅱ. 실험설계 = 29
1. 실험의 개요 = 29
2. 실험대상 = 30
3. 교수자료 = 30
4. 실험처치 = 31
5. 실험의 평가 = 32
Ⅲ. 청취이해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 32
1. 음성학적 요소(강세·축약·억양·연접) = 32
2. 배경지식 = 37
3. 영어방송 청취 = 40
4. 청취 준비단계의 활용 = 41
5. 논리구조 파악 = 44
6. 문제해결을 위한 청취활동 = 46
7. 받아쓰기 활동 = 49
8. 자율 학습지도 및 정기적 평가 = 50
Ⅳ. 결론 = 52
제3장 영어 청취이해력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학습활동
Ⅰ. 서론 = 65
Ⅱ. 청취이해의 문제점 = 67
Ⅲ. 종합적 이해를 위한 청취이해 학습 활동 = 69
1. 전신 반응법 = 69
2. 받아쓰기 = 71
3. 역할극 = 72
4. 노래를 통한 지도 = 75
5. 그림을 통한 듣기 활동 = 76
6. 완성하기 = 79
7. 예측하기 = 81
8. 특정 정보 찾기 = 82
9. 요약하기 = 83
10. 명칭 붙이기 = 84
11. 유모어, 조크, 만화 등을 통한 활동 = 84
12. 영상 매체 및 뉴스 매체를 통한 훈련 = 85
Ⅳ. 결론 = 85
제4장 읽기속도 숙달 연습과 의미파악 훈련을 통한 효율적인 영어독해력 교수학습 방안
Ⅰ. 서론 = 91
1. 연구의 필요성 = 91
2. 연구의 목적 = 93
Ⅱ. 독해력의 정의 및 구성요소 분석 = 96
1. 독해력의 정의 = 96
2. 독해력의 구성요소 분석 = 98
Ⅲ. 독해력 교수학습 방법 = 100
1. 읽기속도 = 100
2. 훑어 읽기 = 104
3. 논리전개 구조파악 = 106
4. 통사구조 파악 = 109
5. 어휘학습 = 112
6. 문화배경 및 세상지식 = 114
Ⅳ. 독해력 교수학습 실험설계 및 처치 = 116
1. 실험대상 및 실험기간 = 116
2. 연구가설 = 117
3. 교수자료 = 117
4. 설문조사 = 118
5. 가설검증 자료수집 = 119
6. 실험처치 = 120
Ⅴ. 결과 및 토의 = 121
Ⅵ. 결론 = 125
제5장 영어 쓰기 기능의 효율적인 교수 학습
Ⅰ. 서론 = 131
Ⅱ. 영어 쓰기 기능 교수 학습의 연구 동향 = 132
1. 쓰기 기능 교육의 중요성 = 132
2. 쓰기 기능 교수 학습의 발달 과정 = 135
3. 집단 활동을 통한 쓰기 학습 = 137
Ⅲ. 쓰기 기능 교수 학습 기술 = 138
1. 개요 쓰기 = 139
2. 상황에 입각한 정보처리 활동 = 139
3. 받아쓰기 활동 = 141
4. 복합적인 언어 사용 기능 숙달을 통한 쓰기 연습 = 141
5. 그림을 통한 구두 작문 = 142
6. 모방 작문을 활용한 쓰기 활동 = 143
7. 영시 창작 연습을 통한 쓰기 활동 = 144
8. 자유로운 글쓰기 = 145
9. 스킷과 인터뷰 작성을 통한 쓰기 활동 = 146
10. 집단 학습을 통한 공통 과제 쓰기 연습 = 147
Ⅳ. 설문조사 = 148
1. 개요 = 148
2. 설문 조사지의 내용 = 149
3. 설문의 분석 결과와 논의 = 150
Ⅴ. 결론 = 152
제6장 외국어교육 평가에 관한 이론적 고찰
Ⅰ. 서론 = 155
Ⅱ. 외국어 교수와 평가 = 157
1. 언어평가의 문제점 = 157
2. 교수학습과 평가 = 158
Ⅲ. 외국어 교육 평가의 동향 = 160
1. 전과학적 경향 = 161
2. 심리측정-구조주의자 경향 = 162
3. 심리언어학적-사회언어학적 경향 = 163
4. 표면구조지향적 언어평가와 의미지향적 언어평가 = 164
Ⅳ. 외국어교육 평가의 목적 = 166
1. 평가의 이유 = 166
2. 평가의 대상 = 171
Ⅴ. 외국어교육 평가의 기능적 양상 = 174
1. 판단적 양상 = 174
2. 실용적 양상 = 175
3. 교수적 양상 = 176
4. 이론적 양상 = 177
Ⅵ. 결론 = 178
제7장 교사 제작 영어시험문제의 평가분석
Ⅰ. 서론 = 183
Ⅱ. 평가와 교수학습의 순환기능 = 185
Ⅲ. 설문조사 = 187
1. 개요 = 187
2. 분석 결과 = 187
Ⅳ. 출제 문항의 평가분석 = 188
1. 평가기준의 선정 = 188
2. 분석결과 및 논의 = 193
Ⅴ. 결론 = 200
제8장 수행평가의 이해와 적용
Ⅰ. 서론 = 207
Ⅱ. 수행평가의 발전 배경 = 208
1. 전통적 평가 = 208
2. 행동주의와 인지주의 관점의 평가 = 211
3. 대안 평가 = 216
Ⅲ. 수행평가의 정의, 특징 및 유형 = 219
1. 수행평가의 정의 = 219
2. 수행평가의 특징 = 220
3. 수행평가의 유형 = 223
Ⅳ. 영역별 수행평가 항목의 예시 = 231
Ⅴ. 결론 = 246
제9장 교실수업과 이론의 연계성을 통한 영어교육 향상방안
Ⅰ. 서론 = 251
Ⅱ. 학술단체의 활성화 = 252
1. 현황 = 253
2. 개선점 = 254
Ⅲ. 대학부설 어학연구소의 활용 = 256
1. 대학 어학연구소와의 유대 강화 = 257
2. 대학교수, 중등영어교사, 장학담당자 사이의 협력활동 = 259
Ⅳ. 원어민화자의 활용 극대화 = 262
1. 언어사용에 의한 의사소통 능력 학습의 필요성 = 262
2. 원어민화자와의 대화를 통한 의사소통능력 증진 = 263
Ⅴ. 교실수업과 이론의 상호작용 = 266
1. 이론적 관점에서의 지도방안 = 267
2. 실제적 관점에서의 지도방안 토의 과정 = 267
Ⅵ. 결론 = 268
제10장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육의 발전방향 : 교육과정 모형 개발
Ⅰ. 서론 = 273
Ⅱ. 교육과정의 문제점 = 274
1. 영어교육과의 교육목표 = 274
2. 영어교육과의 교육과정 실태 = 277
Ⅲ. 교육과정의 모형 제시 = 287
1. 영어교육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에 대한 분석 = 288
2. 영어교육과 교육목표와 교육과정의 기본방향 = 293
3. 영어교육과 교육과정 모형의 제시 = 295
Ⅳ. 결론 = 297
제11장 영어교사 연수교육의 효율성 향상 방안
Ⅰ. 서론 = 303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303
2. 연구내용, 범위 및 방법 = 304
3. 국내·외 연구동향 = 306
Ⅱ. 현행 연수과정의 문제점 진단 및 분석 = 307
Ⅲ. 영어 연수교육 교과과정 편성 및 운영의 체계화 = 311
Ⅳ. 영어교사의 자질향상을 위한 종합적 대처방안 = 314
1. 교사양성 교육 프로그램과 현직연수 교육 프로그램의 체계화 = 314
2. 교사자질 향상을 위한 교수방법 = 315
Ⅴ. 결론 = 317
제12장 문화유적지 영문 안내문의 언어학적 분석
Ⅰ. 서론 = 323
Ⅱ. 영문 안내문의 언어학적 분석 기준 = 325
1. 고유명사 표기방식 = 325
2. 언어학적 고려사항 = 327
3. 분석기준의 설정 = 328
Ⅲ. 유적지 영문 안내문 분석의 실제 = 329
1. 갑사동종 = 329
2. 갑사 철당간 및 지주 = 330
3. 동학사 = 331
4. 마곡사 해탈문 = 333
5. 부소산성 = 334
6. 장곡사 금동약사불좌상 = 337
Ⅳ. 결론 = 338
제13장 Oscar Wilde의 『Lady Windermere's Fan』에 나타난 "{Oh! Oh}_" 발화의 사회언어학적 고찰
Ⅰ. 서론 = 357
Ⅱ. 의사소통 행위로서의 발화 책략 = 359
1. 언어와 사회생활 사이의 상호작용 = 359
2. 의사소통 능력 연구를 위한 정량적 패러다임 = 360
3. 사회적 맥락속의 언어 = 361
Ⅲ. "{Oh! Oh}_" 발화에 대한 분석 = 364
1. 형태상의 분류 = 364
2. 의미 기능상의 분류 = 366
3. 극의 진행과정의 관련성 = 368
4. 반복적인 표현 = 371
Ⅳ. 결론 = 372
제14장 A Sustainable Path for Spoken English Proficiency : Emphasizing Phrasal Verbs and Collocational Clusters
Ⅰ. Introduction = 379
Ⅱ. Pragmatic Interpretation = 381
Ⅲ. Syntactic Operation = 387
Ⅳ. Classroom Activities = 390
1. Classroom Activities = 391
2. Classroom Instruction for Phrasal Verbs = 393
3. Other Points for Consideration = 394
Ⅴ. Conclusion = 395
제15장 Reading Speed Techniques to Be Applied to English Reading Classes
Ⅰ. Introduction = 399
Ⅱ. Reading Speed Techniques = 401
1. Speed Proper Techniques = 402
2. Skimming/Scanning Techniques = 407
Ⅲ. Conclusion = 414
제16장 Five Strategies of Producing Utterances in One Korean Child : An Observational Study of Early Child Language Acquisition
Ⅰ. Introduction = 419
Ⅱ. Strategies of Producing Utterances = 421
1. Pointing = 424
2. Imitation = 428
3. Association = 432
4. Generalization = 436
5. Creation = 440
Ⅲ. Conclusion = 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