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11namccc200205 k 4500 | |
001 | 000001066228 | |
005 | 20100805083127 | |
007 | ta | |
008 | 011116s2001 ulk 000a kor | |
020 | ▼a 8986009129 ▼g 03800: ▼c \7,000 | |
040 | ▼a 244002 ▼c 244002 ▼d 211009 | |
041 | 0 | ▼a kor ▼a eng |
049 | 0 | ▼l 151108531 ▼l 151108532 |
085 | ▼a 897.87008 ▼2 DDCK | |
090 | ▼a 897.87008 ▼b 2001 | |
110 | ▼a 한미친선군민협의회 | |
245 | 1 0 | ▼a 50년의 우정 = ▼x 50 Years of friendship : ▼b 주한미군 한국생활 체험수기집 / ▼d 韓美親善軍民協議會 [편]. |
260 | ▼a 서울 : ▼b 문무사 , ▼c 2001. | |
300 | ▼a 246p. ; ▼c 23cm.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897.87008 2001 | 등록번호 1511085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897.87008 2001 | 등록번호 1511085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주한미군을 대상으로 한국생활 체험수기를 1994년부터 7년간 공모해 약 600여명 중에서 역대 수상자들의 작품만을 모은 작품집입니다. 발간사에서 발췌사람들은 누구나 낯선 세계, 미지의 세계에 대한 두려움이 있습니다. 지구의 반대편에 있는 한국이라는 나라, 생활습관이나 언어, 음식, 또 가치관이 너무도 다른 문화권에 근무하는 주한미군들의 혼란과 두려움은 더할 나위가 없을 것입니다. 같은 내무반에서 매일 마주치는 카투사 김 병장의 행동은 왜 저럴까? 가끔 접하게 되는 한국 음식은 왜 그렇게도 매운지. 꿈에도 생각지 못했던 서울의 인파와 자동차의 홍수, 하루가 멀다 하고 부대 앞에서 서성대는 데모대, 모든 것이 낯설고 이해되지 않는 것들 투성이일 것입니다. 한미친선군민협의회가 주한미군을 대상으로 한국 생활수기 공모행사를 시작한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과연 주한미군들의 한국 근무에 대한 생각과 태도는 어떤 것일까? 한국에 대한 인식은 또 어떤 것인지. 그들을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그들의 생각을 알고 싶었습니다. 1994년에 시작하여 7회째를 거듭해 오면서 저는 그들의 글을 통해 깊은 감동을 받았습니다. 그들의 글에는 한국을 이해하려는 성실하고도 적극적인 자세, 한국인과 엮어내는 끈끈한 우정,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해가는 그들의 한국에 대한 인식과 한국을 위한 따뜻한 충고는 물론, 자유 수호를 위한 자신들의 임무에 대한 보람과 자긍심 등이 너무도 잘 배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들 글의 한 구절 한 구절은 한미간의 우정, 나아가 굳건한 한미우호 정신의 뿌리가 어디에 있는지를 우리에게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동안의 수상작들을 모아 이렇게 단행본으로 발간하게 된 것은 서로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정보제공 :

목차
목차 2000년 - The American Soldier in Korea : 50 Years of Friendship 대상 50년 전의 초컬릿 한 조각 / 마이클 B. 시글[대위] = 11 1등 가까워지면서 쌓인 존경과 신뢰 / 케빈 B. 스튜어트[상사] = 20 미 육군의 힘 / 에드가 R. 곤잘레스[일병] = 32 2등 피로 일궈낸 '자유의 숲' / 칼 D. 포터[중령] = 40 이제 이방인이 아니다 / 랜달 S. 프리어[중사] = 48 자유와 안정을 지키는 방파제 / 정광욱[대위] = 54 1999년 대상 문화적 전통 / 토머스 클랜턴[중사] = 63 1등 가르치는 것은 쌍방통행 / 앤터니 J. 알피디[대위] = 74 나의 고향 / 랜스 오스키[대위] = 82 2등 축복받은 12년 / 아타나시오 델바이예레스[중사] = 90 평화스러운 우정 / 크리스토퍼 C. 버틀러[하사] = 97 결혼식 날의 추억 / 게리 J. 크레간[대위] = 105 1998년 대상 허물을 벗고 / 월리엄 C. 우드워드[하사] = 113 1등 타자는 타석으로 / 찰스 H. 마이어[중사] = 120 2등 아내의 눈물 / 로저 D. 제인스[중사] = 128 1997년 대상 손을 맞잡고 붙들어 주는 것 / 메리 E. 카드[대위] = 136 1등 조용한 아침의 나라에서의 1년 / 티모시 A. 스나이더[하사] = 144 2등 우리는 이곳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 / 클리트 D. 존슨[소위] = 154 1996년 대상 '작은 미국'을 둘러싼 벽들 / 랄프 R. 저드킨스 Ⅲ세[대위] = 164 1등 낯선 틈새를 이어주는 가교가 되어 / 멜빈 D. 데이비드[하사] = 172 2등 꿈과 희망으로 가득찬 나라 / 스테이시 C. 미첼[일병] = 180 나의 한국 탐사 / 다이애나 C. 램[일병] = 188 1995년 대상 인생은 스스로 창조해 나가는 것 / 레이몬드 K. 브라운[하사] = 196 잊을 수 없는 사람들 / 로버트 P. 스코프만[중령] = 203 1994년 대상 한국의 영상 / 칼 L. 알렌[대위] = 214 1등 작은 감자들 / 데이비드 A. 카마이클[소령] = 222 2등 문화의 다양성 / 킴벌리 디크맨[교사] = 229 3등 나의 개인적인 한국 체험 / 토머스 R. 로바스[대위] =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