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기 = 5
1.1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 5
1.2 사전 연구 검토와 연구 범위 = 13
2. V₁-V₂ 연결과 홀소리 탈락 현상 = 19
2.1 굴곡에서의홀소리 탈락 현상 = 20
2.2 준굴곡에서의 홀소리 탈락 현상 = 34
2.3 파생어에서의 홀소리 탈락 현상 = 39
2.4 형태소 안에서의 홀소리 탈락 현상 = 48
2.4.1 j계 내림 두겹홀소리의 기저 음가 설정 문제 = 48
2.4.1.1 j계 내림 두겹홀소리가 /Vj/인 근거 = 48
2.4.1.2 j게 내림 두겹홀소리가 /Vj/인 근거 = 52
2.4.1.3 /Vi/ 설정에 따르는 문제점과 그 설명 방안 = 58
2.4.2 형태소 안에서의 홀소리 탈락 현상 = 65
3. V₁-V₂ 연결과 과도음 = 80
3.1 V₁-V₂ 연결과 과도음 [j] = 80
3.1.1 과도음[j] 되기 = 80
3.1.1.1 순행 과도음 [j] 되기 = 80
3.1.1.2 역행 과도음 [j] 되기 = 84
3.1.2. 과도음 [j] 첨가 = 89
3.1.2.1 순행 과도음 [j] 첨가 = 89
3.1.2.2 역행 과도음 [j] 첨가 = 100
3.2 V₁-V₂연결과 과도음 [w] = 119
3.2.1 과도음 [w] 되기 = 119
3.2.1.1 역행 과도음 [w] 도기 = 119
3.2.2. 과도음 [w] 첨가 = 127
3.2.2.1 순행 과도음 [w] 첨가 = 127
4. V₁-V₂연결과 운소 = 134
4.1 음절 줄이기와 성조 = 135
4.2 보상적 긴홀소리 되기와 문법 구조 = 137
4.2.1 음절 줄이기와 길이 = 137
4.2.2. 보상적 긴홀소리 되기와 문법 구조 = 157
5. 홀소리 부딪침 회피 현상의 음운론적 의미 = 159
5.1 홀소리 부딪침 회피 현상과 음절 구조의 자연성 = 159
5.2. 홀소리 부딪침 현상의 설명 방안 = 163
6. 마무리 = 171
참고문헌 = 175
색인 = 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