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법학입문의 길라잡이

법학입문의 길라잡이 (1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전정주
서명 / 저자사항
법학입문의 길라잡이 / 전정주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동현출판사 ,   2001.  
형태사항
349 p. : 도표 ; 25cm.
총서사항
법학총서
ISBN
8978540929
일반주기
부록: 1.프랑스 인권선언 2.세계인권선언 3.검사윤리강령 4.법관윤리강령 5.변호사윤리장전 6.법언 7.쉬운 법률용어  
서지주기
찾아보기수록 참고문헌수록
000 00728namccc200241 k 4500
001 000001065463
005 20100805082310
007 ta
008 011106s2001 ulkd 001a kor
020 ▼a 8978540929 ▼g 93360: ▼c \14,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49 ▼l 151106475 ▼l 151106476
082 0 4 ▼a 340.1 ▼2 21
090 ▼a 340.1 ▼b 2001j
100 1 ▼a 전정주
245 1 0 ▼a 법학입문의 길라잡이 / ▼d 전정주 지음.
260 ▼a 서울 : ▼b 동현출판사 , ▼c 2001.
300 ▼a 349 p. : ▼b 도표 ; ▼c 25cm.
440 0 0 ▼a 법학총서
500 ▼a 부록: 1.프랑스 인권선언 2.세계인권선언 3.검사윤리강령 4.법관윤리강령 5.변호사윤리장전 6.법언 7.쉬운 법률용어
504 ▼a 찾아보기수록
504 ▼a 참고문헌수록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0.1 2001j 등록번호 15110647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0.1 2001j 등록번호 1511064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전정주(지은이)

<법학입문의 길라잡이>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도움이 된 책들
제1부 법이란 무엇인가
 제1장 법과 사회와 인간
  제1절 인간과 사회 = 25
  제2절 사회와 규범 = 26
  제3절 법과 사회 = 27
  제4절 사회와 법지식 = 28
 제2장 법의 개념
  제1절 법이라는 말 = 33
  제2절 법률·법규·법령·법전 = 34
  제3절 법개념의 다양성 = 35
  제4절 법은 규범이다 = 38
  제5절 법은 규범인 동시에 사실이다 = 40
  제6절 법은 정치적으로 조직화된 사회규범이다 = 41
  제7절 법은 국가에 의해서 승인된 규범이다 = 41
  제8절 법은 국가에 의해서 강행되는 규범이다 = 42
  제9절 법은 행위규범이다 = 44
  제10절 법은 재판규범이다 = 44
  제11절 법은 조직규범이다 = 46
 제3장 법과 다른 사회규범
  제1절 법과 도덕규범의 구별 = 49
  제2절 법과 도덕규범의 차이 = 50
   1. 법의 외면성과 도덕의 내면성 = 50
   2. 법의 타율성과 도덕의 자율성 = 50
   3. 법은 사회생활규범 도덕은 개인생활규범 = 50
   4. 법의 적법성과 도덕의 도덕성 = 51
   5. 법의 양면성과 도덕의 편면성 = 51
   6. 법의 강제성과 도덕의 비강제성 = 51
   7. 법의 문자성과 도덕의 비문자성 = 51
   8. 법의 현실성과 도덕의 이상형 = 51
   9. 법의 보편성과 도덕의 개별성 = 52
  제3절 법과 도덕규범의 관계 = 53
   1. 내용면에서 법은 "도덕의 최소한"이다 = 53
   2. 효력면에서 법은 "도덕의 최대한"이다 = 54
  제4절 법과 종교규범 = 55
  제5절 법과 종교규범의 차이 = 56
  제6절 법과 종교규범의 관계 = 56
  제7절 법과 관습 = 57
  제8절 법과 관습의 차이 = 57
  제9절 법과 관습의 관계 = 58
 제4장 법의 이념
  제1절 법의 이념 = 61
  제2절 정의 = 63
  제3절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론 = 64
   1. 일반적 정의 = 64
   2. 평균적 정의 = 65
   3. 배분적 정의 = 66
  제4절 합목적성 = 67
  제5절 법적 안정성 = 68
  제6절 법이념 상호간의 관계 = 72
 제5장 법의 기능
  제1절 법의 기능 = 77
  제2절 사회통제 = 77
  제3절 자유보장 = 80
  제4절 평화보장 = 82
 제6장 법의 연원
  제1절 법의 연원 = 87
  제2절 성문법과 불문법 = 87
  제3절 헌법 = 89
  제4절 법률 = 90
  제5절 명령 = 91
  제6절 규칙 = 93
  제7절 자치법규 = 93
  제8절 조약 = 94
  제9절 관습법 = 95
   1. 관습법 = 95
   2. 관습법의 효력 = 96
   3. 관습법과 사실인 관습의 차이 = 97
   4. 사실인 관습의 효력범위 = 97
  제10절 판례법 = 98
  제11절 조리 = 99
 제7장 법의 분류
  제1절 법의 체계 = 105
  제2절 자연법과 실정법 = 107
   1. 실정법 = 107
   2. 자연법 = 107
   3. 자연법과 실정법 = 109
  제3절 국제법과 국내법 = 110
   1. 국제법 = 110
   2. 국내법 = 111
   3. 국제법과 국내법의 차이 = 111
  제4절 공법·사법·사회법 = 112
   1. 공법과 사법 = 112
   2. 공법과 사법의 구별의 실익 = 114
   3. 사회법 = 115
  제5절 일반법과 특별법 = 118
   1. 일반법과 특별법 = 118
   2. 일반법과 특별법의 구별 = 118
   3. 일반법과 특별법의 구별의 상대성 = 120
   4. 일반법과 특별법의 구별의 필요성 = 120
  제6절 실체법과 절차법 = 121
   1. 실체법과 절차법 = 121
   2. 실체법과 절차법의 관계 = 121
   3. 실체법과 절차법의 구별의 필요성 = 122
  제7절 강행법과 임의법 = 123
   1. 강행법과 임의법 = 123
   2. 강행법과 임의법의 구별 = 124
   3. 강행법과 임의법의 구별의 필요성 = 125
  제8절 원칙법과 예외법 = 126
   1. 원칙법과 예외법 = 126
   2. 원칙법과 예외법의 구별의 필요성 = 127
  제9절 고유법과 계수법 = 127
   1. 고유법과 계수법 = 127
   2. 계수법의 유형 = 128
   3. 고유법과 계수법의 구별의 필요성 = 129
  제0절 행위법과 조직법 = 129
   1. 행위법과 조직법 = 129
   2. 행위법과 조직법의 구별의 필요성 = 130
  제11절 기본법과 부속법 = 130
  제12절 재산법과 가족법 = 131
 제8장 법의 효력
  제1절 법의 효력 = 135
  제2절 법의 실질적 효력 = 135
  제3절 법의 타당성 = 136
  제4절 법의 타당성의 근거 = 137
   1. 신의설 = 137
   2. 자연법설 = 138
   3. 사회계약설 = 139
   4. 명령설 = 140
   5. 실력설 = 140
   6. 사실의 규범력설 = 142
   7. 역사법설 = 142
   8. 승인설 = 143
   9. 사회의식설 = 144
   10. 여론설 = 144
   11. 법단계설 = 145
   12. 목적설 = 145
  제5절 법의 실효성 = 146
  제6절 법의 타당성과 실효성 = 147
  제7절 악법 = 148
   1. 악법의 기준 = 149
   2. 악법의 준수 = 151
   3. 악법에 대한 국민의 태도 = 152
  제8절 법의 형식적 효력 = 153
  제9절 법의 시간적 효력 = 153
   1. 법의 시행 = 154
   2. 법의 폐지 = 154
   3. 법률불소급의 원칙 = 156
   4. 기득권존중의 원칙 = 157
   5. 경과규정 = 157
  제10절 법의 인적 효력 = 158
   1. 인적 효력에 관한 법원칙 = 158
   2. 인적 효력의 원칙 = 159
   3. 인적 효력의 예외 = 160
  제11절 법의 장소적 효력 = 162
   1. 장소적 효력의 원칙 = 162
   2. 장소적 효력의 예외 = 162
 제9장 법의 적용과 해석
  제1절 법의 적용 = 167
  제2절 사실의 확정 = 168
   1. 사실의 확정 = 168
   2. 사실의 확정방법 = 169
  제3절 법의 발견 = 172
  제4절 법의 적용기관 = 173
  제5절 법의 해석 = 174
   1. 법의 해석 = 174
   2. 법의 해석의 타당성 = 175
   3. 법해석의 필요성 = 176
   4. 법해석의 방법 = 177
  제6절 법해석의 태도와 변천 = 189
  제7절 개념법학 = 189
   1. 개념법학 = 189
   2. 개념법학의 진보성 = 190
   3. 개념법학에 대한 비판 = 190
  제8절 목적법학 = 191
   1. 목적법학 = 191
   2. 목적법학 비판 = 192
  제9절 자유법론 = 193
   1. 자유법론 = 193
   2. 자유법론의 사상 = 193
   3. 자유법론의 영향 = 194
   4. 자유법론의 비판 = 195
 제10장 법의 변천과 법의 계통
  제1절 법의 생성과 변천 = 199
  제2절 법의 생성 = 199
   1. 토템 = 199
   2. 타부 = 200
   3. 복수 = 200
   4. 도피처 = 201
   5. 공권력에 의한 제재 = 202
  제3절 고대사회의 법 = 202
   1. 고대사회의 법 = 202
   2. 고대로마법 = 204
  제4절 중세사회의 법 = 205
   1. 중세사회의 법 = 205
   2. 보통법과 형평법 = 206
  제5절 근대사회의 법 = 206
   1. 근대사회의 법 = 206
   2. 근대법의 특색 = 208
  제6절 현대사회의 법 = 210
   1. 현대사회의 특징 = 210
   2. 현대사회의 법 = 210
  제7절 법의 계통 = 211
   1. 법계의 형성 = 211
   2. 법계 = 212
  제8절 대륙법계 = 213
   1. 대륙법계라는 말 = 213
   2. 로마법 = 214
   3. 게르만법 = 215
  제9절 영미법계 = 216
   1. 영미법계 = 216
   2. 영국법 = 216
   3. 미국법 = 218
 제11장 법의 제재
  제1절 법의 제재 = 223
  제2절 헌법상의 제재 = 223
  제3절 행정법상의 제재 = 225
   1. 행정법상의 제재 = 225
   2. 공무원에 대한 제재 = 225
   3. 일반국민에 대한 제재 = 226
   4. 기타 행정법상의 제재 = 232
  제4절 형법상의 제재 = 232
   1. 사형 = 233
   2. 자유형 = 233
   3. 명예형 = 235
   4. 재산형 = 237
  제5절 사법상의 제재 = 239
   1. 손해배상 = 239
   2. 강제집행 = 240
   3. 실권 = 240
   4. 무효와 취소 = 241
  제6절 국제법상의 제재 = 243
 제12장 권리와 의무
  제1절 사실관계와 법률관계 = 247
  제2절 권리·의무관계 = 248
  제3절 권리의 본질 = 248
   1. 의사설 = 249
   2. 이익설 = 249
   3. 권리부인설 = 250
   4. 법력설 = 250
  제4절 권리의 개념 = 251
   1. 권한 = 252
   2. 권능 = 252
   3. 권원 = 252
   4. 권력 = 253
   5. 반사적 이익 = 253
  제5절 권리의 분류 = 254
   1. 공권 = 254
   2. 사권 = 255
   3. 사회권 = 261
  제6절 의무의 개념 = 264
   1. 의무의 본질 = 264
   2. 의무 = 265
   3. 권리와 의무의 대응관계 = 265
  제7절 의무의 분류 = 266
   1. 공의무 = 266
   2. 사의무 = 267
   3. 사회법상의 의무 = 267
   4. 적극적 의무와 소극적 의무 = 268
   5. 직접의무와 간접의무 = 268
  제8절 권리·의무의 주체와 객체 = 268
   1. 권리·의무의 주체 = 268
   2. 권리·의무의 객체 = 269
  제9절 권리의 행사와 제한 = 270
   1. 권리의 행사 = 270
   2. 권리행사의 방법 = 271
   3. 권리행사의 자유 = 272
   4. 권리행사의 제한 = 273
   5. 신의성실의 원칙 = 274
   6. 권리남용금지의 원칙 = 277
  제10절 의무의 이행 = 280
   1. 의무의 이행 = 280
   2. 의무이행의 강제 = 280
   3. 의무이행과 신의성실의 원칙 = 281
제2부 법학이란 무엇인가
 제1장 법학
  제1절 법학의 개념 = 287
  제2절 법학의 학문으로서의 지위 = 289
 제2장 법학의 분과
  제1절 법철학 = 293
  제2절 법해석학 = 294
  제3절 법사회학 = 295
  제4절 법사학 = 297
  제5절 법정책학 = 298
  제6절 비교법학 = 299
[부록]
 1. 프랑스 인권선언 = 303
 2. 세계인권선언 = 307
 3. 검사윤리강령 = 314
 4. 법관윤리강령 = 316
 5. 변호사윤리장전 = 318
 6. 법언 = 327
 7. 쉬운 법률용어 = 333
[찾아보기] = 341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삼웅 (2023)
국회도서관. 법률정보실 (2022)
Marmor, Andrei (2022)
양천수 (2022)
박주영 (2023)
손동유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