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육과정 속에서 놀이 촉진하기 = 1
놀이는 무엇이고 왜 가치 있는 것인가? = 4
놀이와 교육과정 = 6
아동이 전혀 놀이를 하지 않을 때 = 9
아동의 놀이에서 지원이 필요할 때 = 9
"학습을 위한 결정적 순간"이 발생할 때 = 10
교사가 왜 아동과 함께 놀이를 해야 하는가? = 11
언제 개입해야 하는가? = 12
아동이 교사를 놀이에 초대할 때 = 13
이 책의 활용방안 = 13
요약 = 13
제안 활동 = 14
참고 자료 = 15
유아교육과정 지침서 = 16
2 놀이 촉진하기 : 지침 및 기술 = 17
놀이개입에 관한 핵심적인 결정 = 20
아동과 놀이할 때와 놀이하지 않을 때 = 20
놀이상황에 들어가고 나오는 법 = 21
개입유형 = 24
얼마만큼 도움을 주어야 하는가 = 27
놀이개입 행동 = 31
일대일로 안내하기 = 31
질문하기 = 34
모델링 = 38
따뜻함 = 40
격려 = 40
요약 = 43
제안 활동 = 44
참고 자료 = 45
3 사회극적 놀이 촉진하기 = 47
사회극적 놀이의 가치 = 50
사회극적 놀이와 인지 발달 = 50
사회극적 놀이와 사회성 발달 = 51
사회극적 놀이와 정서 발달 = 51
사회극적 놀이에서 성인의 역할 = 52
Smilansky의 놀이개입 프로그램 = 53
주의점 및 지침 = 54
사회극적 놀이를 촉진하는 교사 행동 = 55
사회극적 놀이 기술 = 56
언어화 = 56
사회적 상호작용 = 60
문해 놀이와 주제-환상 규칙 = 70
놀이의 지속 = 72
놀이촉진 기술에 대한 마지막 조언 = 73
첨단과학 시대의 사회극적 놀이 = 73
텔레비젼 = 73
컴퓨터 = 76
요약 = 78
제안 활동 = 78
참고 자료 = 79
4 사회적 유능성 증진시키기 = 81
사회적 유능성이란 무엇인가? = 84
인기아, 거부아, 무시아 = 84
사회적 기술을 촉진시키기 = 92
일반적인 지침 = 93
사회적 참여 = 97
친구관계 촉진시키기 = 102
사회적인 행동 가르치기 = 103
요약 = 113
제안 활동 = 114
참고 자료 = 115
5 구어 및 문해 증진시키기 = 117
구어 격려하기 = 118
구어의 정교화 = 119
반응하기 = 120
확장과 부연 = 123
부모처럼 말하기 = 124
질문하기 = 128
도서와 쓰기영역에서 개입하기 = 130
무릎에 앉혀 읽기 = 130
주변의 문자 해석하기 = 136
아동의 쓰기 격려하기 = 137
요약 = 142
제안 활동 = 144
참고 자료 = 145
6 논리·수학적 사고 증진시키기 = 147
논리·수학적 지식 = 150
숫자에 대한 이해 증진시키기 = 153
수영역에서의 개입 = 156
집단 게임에서의 개입 = 162
일상 교실 생활에서의 개입 = 168
블록영역에서의 개입 = 169
컴퓨터에 관한 조언 = 177
과도한 개입에 관한 조언 = 178
요약 = 179
제안 활동 = 179
참고 자료 = 181
7 과학활동 촉진하기 = 183
과학하기 VS. 과학에 대해 배우기 = 186
자연을 관찰하고 반성적으로 사고하기 = 187
과학영역에서 반성적 사고 증진시키기 = 189
자연 속에서 반성적 사고 증진시키기 = 196
과학적인 질문하기 = 197
반응하기 = 198
지원하기 = 199
모델링하기 = 200
가설을 공식화하기 = 201
결과를 해석하기 = 203
요약 = 206
제안 활동 = 207
참고 자료 = 208
8 심미적인 표현 증진시키기 = 209
예술이란 무엇인가? = 211
심미적 발달 = 211
미술영역 = 211
음악영역 = 212
미술영역에서 발달을 촉진하기 = 214
아동의 작품 관찰하기 = 215
아동 자신의 작품에 대해 아동과 이야기 나누기 = 217
재료 제공하기 = 222
새로운 프로젝트의 창조를 격려하기 = 223
미술활동을 꺼리는 아동을 유인하기 = 225
프로젝트를 지속하도록 아동을 돕기 = 226
아동의 작품에 대해 존중하기 = 227
협력하도록 격려하기 = 230
교육과정을 통해 미술을 통합하기 = 231
음악영역에서 발달을 촉진하기 = 232
자유놀이 시간에 음악을 창조하기 = 233
대·소집단 시간에 음악적 경험하기 = 238
요약 = 239
제안 활동 = 240
참고 자료 = 241
9 운동 능력 증진시키기 = 243
아동기의 운동 능력 발달 = 245
성숙-교육 논쟁 : 새로운 시각 = 249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논쟁 = 250
구조화된 게임 또는 개방적인 동작 = 252
경쟁에 대한 논쟁 = 254
특별한 운동 기술 증진시키기 = 258
잡기와 던지기 = 258
오르기 = 260
뛰기/걷기 = 262
점프하기 = 264
균형잡기 = 265
자전거 타기 = 266
신속하게 반응하기 = 267
안전에 대한 지침 = 269
소근육 발달 = 269
"우리 같이 해볼까" = 270
"나는 이쪽을 할께, 너는 저쪽을 해." = 271
요약 = 272
제안 활동 = 273
참고 자료 = 274
10 정서발달 지지하기 = 275
건강한 정서발달을 촉진하기 = 277
신뢰감 = 278
자율성 = 286
주도성 = 295
유능감 = 301
부모와 함께 지원하기 = 308
아동이 위기를 극복하도록 도와주기 = 308
비지식적인 놀이치료 = 309
요약 = 314
제안 활동 = 314
참고 자료 = 316
11 놀이중재 및 문화적 다양성 = 317
교사-아동 상호작용과 문화적 다양성 = 320
의사소통의 차이와 놀이개입 = 321
다중언어 교육과 놀이개입 = 326
모든 언어에 대해 존중하기 = 327
놀이의 다양성과 사회적 중재 = 330
문화적 다양성과 교사-부모 상호작용 = 332
성차와 놀이개입 = 338
거친 신체 놀이와 활동 수준 = 338
놀이주제 = 339
놀이에서의 상징화 = 339
혼합 놀이집단 = 340
성유형화된 가작놀이 = 340
놀이개입과 특별한 요구를 지닌 아동 = 345
활성화 = 345
특별한 요구를 지닌 아동을 지원하기 = 345
시각 탐지 = 347
놀이감 적응 = 347
의사 결정 = 348
자조기술 발달 = 348
사회적 상호작용 = 349
의미확대 의사소통 = 351
편견없는 교육과정 = 352
편견없는 환경 조성하기 = 352
편견에 도전하는 활동하기 = 353
편견없는 교사-아동 상호작용하기 = 353
요약 = 355
제안 활동 = 356
참고 자료 = 357
참고문헌 = 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