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입문편
제1장 서론
1. 행정학이란 = 14
2. 행정학을 배우는 이유 = 20
(1) 한국은 행정국가 = 20
(2) 문제해결의 기회 = 21
(3) 문제해결 능력의 향상 = 23
(4) 보람과 공생의 마음(Public Mind) = 26
3. 책의 구성 = 28
제2장 정부와 사회 그리고 행정
1. 기본 개념 = 31
(1) 국가와 사회 = 31
(2) 정부와 행정 = 34
2. 정부의 역할과 활동의 범위 = 36
(1) 자유방임주의 국가의 정부 기능 = 38
(2) 세계대전 기간(1930∼1940년대) = 40
(3)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 42
(4) 1980년 이후 지금까지 = 43
3. 공공부문(the public sector)의 특징과 규모 = 43
(1) 정부부문(the governmental sector) = 45
(2) 준정부부문(the quasi-governmental sector) = 50
(3) 비영리 자발부문(the non-profit voluntary sector, NPO와 NGO) = 52
제3장 정부 시스템(개관)
1. 국가의 작동 원리 : 대리인 체계 = 54
2. 시스템 모형(System Approach) = 57
(1) 시스템의 개념 = 57
(2) 행정 시스템 = 62
제2부 행정제도편
제4장 통합체계
1. 통합체계의 의의 = 69
2. 대통령과 보좌기관 및 소속기관 = 70
(1) 대통령 = 70
(2) 대통령 비서실 = 72
(3) 국무회의 = 73
(4) 기타 대통령 소속기관 및 자문기관 = 75
3. 국무총리와 보좌기관 및 소속기관 = 75
(1) 국무총리 = 75
(2) 국무총리 보좌기관 = 76
(3) 국무총리 소속기관 = 77
제5장 지원체계
1. 지원체계의 의의와 특징 = 79
2. 행정조직의 공급과 지원 = 82
3. 인력 공급 및 관리방법의 지원= 85
(1) 계급제 = 85
(2) 폐쇄형 = 86
(3) 직업공무원제도 = 89
(4) 실적주의 = 90
(5) 행정부 인사관리체계 = 91
4. 행정정보화 지원 = 92
5. 예산의 공급과 지원 = 93
6. 법률에 관한 지원체계 = 99
7. 기타 지원기관 = 100
제6장 집행체계
1. 집행체계의 의의 = 101
2. 조직목적과 기능별로 본 정부의 집행부처 = 103
(1) 중앙행정관서 = 103
(2) 중앙행정기관의 하부조직 = 104
3. 집행부처의 활동 = 108
(1) 새로운 정책의 수립 = 108
(2) 정책집행 = 114
4. 집행방법 = 116
(1) 관료제 : 대규모 조직을 운영하는 원리 = 116
(2) 리더십 = 119
(3) 집행부처의 조직관리와 정원관리 = 122
제7장 행정 시스템의 산출 : 정책과 행정 서비스
1. 개관 = 126
2. 산업정책 = 128
(1) 수출산업지원기(1960∼1972) = 128
(2) 중화학공업육성기(1973∼1979) = 128
(3) 지원정책의 조정기(1980∼1985) = 129
(4) 흑자하의 산업정책기(1986∼1989) = 130
(5) 민주화, 개방화에 따른 개혁기(1990∼현재) = 130
3. 복지정책 = 132
(1) 왜 사회복지 분야가 정부의 산출에서 중요한가? = 132
(2) 선진국의 경우 가장 산출량이 많은 분야가 사회복지 = 135
(3) 사회복지정책의 종류와 급여 내용 = 137
(4) 사회복지정책을 다루는 부처와 조직들 = 140
4. 교통정책 = 145
(1) 교통문제 연구를 위한 학문적 패러다임 = 145
(2) 교통의 의의 = 146
(3) 교통체계의 요소 = 147
(4) 교통정책환경의 변화 = 148
(5) 국가교통정책과제 = 152
5. 행정산출에 대한 요약 = 156
제8장 피드백과 정부개혁
1. 행정이념과 행정수요 그리고 현실 = 158
(1) 행정이념 = 158
(2) 행정수요 = 162
2. 다양한 피드백 장치들 = 162
3. 정부개혁에 관한 기본 지식 = 168
(1) 정부개혁의 촉발 원인 = 168
(2) 개혁의 방법 = 171
(3) 개혁의제의 성격과 추진체계 = 173
(4) 개혁과정과 추진전략 = 173
(5) 개혁에 대한 저항과 극복전략 = 174
4. 외환위기와 한국 정부의 공공부문 개혁 = 177
(1) 개관 = 177
(2) 공공부문 개혁의 주요 대상 = 180
(3) 공공부문개혁의 추진체계와 문제점 = 186
5. 외국의 정부개혁 동향과 사례 = 189
(1) 가버넌스 문제의 제기 = 189
(2) OECD 국가들의 정부개혁 동향 : 신공공관리 = 190
(3) 정부재창조론 : REGO의 사례와 10대 원칙 = 193
제3부 행정의 지혜를 얻는 방법편
제9장 학문으로서의 행정학 : 이론으로부터 얻는 지혜
1. 행정학의 시작 = 201
2. 초기의 행정 연구 = 203
(1) 경영학과 행정학이 혼재된 이론들 = 205
(2) 공공분야에 특화된 이론들 = 207
3. 행정학의 개화기 = 211
(1) 비교행정, 발전행정의 번성과 쇠퇴 = 211
(2) 조직학 및 조직발전론 = 213
(3) 정책학의 등장 = 214
(4) 관리과학의 등장 = 214
(5) 형태주의 = 216
4. 행정학으로서의 행정학(1970년대 이후) = 217
(1) 신행정(New Public Administration) = 218
(2) 행정학에서의 공공(public)의 의미 = 219
5. 최근의 행정학 : 3대 패러다임의 공존 = 220
(1) 관료제 패러다임 = 221
(2) 신공공관리 패러다임 = 221
(3) 신국정관리 패러다임 = 222
6. 요약 및 교훈 = 224
(1) 사회과학으로서의 행정학 = 224
(2) 응용과학과 종합과학으로서의 행정학 = 224
(3) 문제해결 지향과 공공성(publicness)의 추구 = 225
제10장 미국과 일본의 행정체계 : 비교로부터 얻는 지혜
1. 미국의 행정체계 = 226
(1) 연방주의(federalism)란 = 227
(2) 연방정부 = 229
(3) 개방형 관료제와 그 운영 방식 = 231
2. 일본의 행정체계 = 232
(1) 중앙행정조직 = 232
(2) 일본행정의 특징 = 234
(3) 지방행정체계 = 236
제11장 덕치행정과 개혁사상 : 역사로부터 얻는 지혜
1. 유교(儒敎)와 국가와 행정 = 238
2. 조선의 덕치행정과 개혁사상 = 243
(1) 조광조 = 243
(2) 정약용 = 244
3. 개화기의 개혁사상 : 유길준과 커즌의 비교를 중심으로 = 246
(1) 커즌 = 247
(2) 유길준 = 250
제4부 현대사회와 행정 : 특별주제편
제12장 전자정부와 Government on Demand
1. 지식정보시대에서 전자정부의 의미 = 255
2. 한국정부의 전자정부 추진 현황 = 257
(1) 행정자치부의 "전자정부의 비전과 전략"(1998) = 257
(2) 정보통신부의 "사이버코리아 21" = 260
(3) 기획예산처의 "정부개혁의 수단으로서 전자정부" = 261
3. 전자정부의 사례들 = 262
(1) 미국의 사례 = 262
(2) 일본의 사례 = 264
(3) 한국의 사례 = 265
4.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발전방안 = 266
(1) 기본 방향 = 266
(2) 고도화된 대민 서비스 개발 = 267
(3) 정부기관 홈페이지 활용의 고도화 = 268
(4) '일하는 방식'의 개혁 = 270
(5) 정보공동활용을 위한 인센티브 도입 = 271
(6) 전자문서 유통의 강화 = 272
(7) 평가체제 재정립 방안 = 273
제13장 Women in Government
1. 여성공무원 현황 분석 = 275
2. 여성공무원의 직무관련 의견조사 = 277
3. 공직사회와 민간기업의 업무환경 비교 의견 = 280
4. 주요 여성 정책 = 285
제14장 지방자치와 행정
1. 서론 = 289
2. 지방자치단체의 통합시스템 = 291
3. 지방자치단체의 집행시스템 = 292
4.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시스템 = 293
5. 지방의회 = 294
6. 시민의 참여 = 295
7. 지방자치제의 문제점과 앞 날 = 296
제15장 정부와 NGO 및 NPO
1. NGO·NPO는 어떤 조직인가 = 302
(1) NGO의 개념 = 302
(2) NPO의 개념 = 304
(3) 기타 유사 용어 = 304
(4) NGO와 NPO와의 관계 = 305
2. NGO·NPO의 종류 = 306
(1) NGO가 추구하는 목적의 수에 따라 = 306
(2) 활동무대가 국내중심적이냐, 국제적이냐에 따라 = 307
(3) 활동하는 분야에 따라 = 308
3. 왜 NGO가 미래의 행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가 = 310
(1) 세계화와 정보화 = 310
(2) 민주주의 발전과 시민사회의 성장 = 311
(3) 국가역할의 변화 = 312
4. 정부와 NGO와의 관계 = 313
(1) 사회운동형 NGO와 정부와의 관계 = 314
(2) 사회복지서비스 중심의 NPO와 정부와의 관계 = 316
5. 한국에서의 NGO 현황과 과제 = 318
(1) 최근 한국에서의 NGO·NPO성장 = 319
(2) 한국에서의 NGO·NPO의 과제 : 민주주의와 사회적 거버넌스(Social Governance) = 324
제16장 21세기 국가와 행정
1. 강한 국가로부터 강한 사회로 = 327
2. 경쟁과 공존을 위한 세계화 = 328
3. 국정관리능력 = 330
4. 정부간 국정관리능력 = 331
5. 21세기 민주주의 = 331
제17장 행정학이란?
1. 현대적 응용 학문 = 334
2. 행정학과에서 배우는 것들 : 교과과정과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 337
(1) 기초 단계 = 338
(2) 초급 단계 = 338
(3) 중급 단계 = 339
(4) 상급 단계 = 339
(5) 교육방법의 개선 = 340
3. 마치며 = 341
부록
여러분을 사장님으로 모십니다 : SimCity Korea를 이용한 행정 시뮬레이션 = 343
1. SimCity란 = 343
2. 프로그램 사용방법 = 346
(1) 기초 지식 = 346
(2) 자문위원의 활용 = 349
(3) 도시개발 연습 = 350
3. 시뮬레이션 실습 후의 소감 = 351
4. 도전! 2002 한·일 월드컵 시나리오 = 355
참고문헌 = 357
찾아보기 = 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