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기초이론
제1장 행정국가와 현대정부
제1절 국가관의 변천과 행정국가의 기능 = 2
Ⅰ. 행정국가의 등장 = 2
Ⅱ. 시장실패와 정부실패 = 4
Ⅲ. 뉴거버넌스 = 5
제2절 현대행정의 기능 = 8
제3절 현대행정의 특징과 과정 = 10
Ⅰ. 현대행정의 특징 = 10
Ⅱ. 행정관(行政官)의 역할 = 11
Ⅲ. 행정의 과정 = 13
제4절 행정과 환경 = 15
Ⅰ. 일차적 환경(내적 환경) = 16
Ⅱ. 이차적 환경(외적 환경) = 18
제5절 국제환경변화와 국제행정 = 20
Ⅰ. 국제행정의 의의 = 20
Ⅱ. 국가행정과 국제행정의 차이 = 20
Ⅲ. 국제행정의 발전방향 = 22
제2장 행정의 개념
제1절 행정개념의 다양성 = 23
Ⅰ. 행정법학적 행정개념 = 23
Ⅱ. 행정학적 행정개념 = 24
Ⅲ. 행정의 개념규정 = 26
제2절 공행정과 사행정의 비교 = 27
제3절 공공행정의 기본적 속성 = 30
Ⅰ. 공익성 = 30
Ⅱ. 합리성 = 37
Ⅲ. 조직성 = 40
제3장 행정활동의 유형
제1절 행정활동의 유형 = 45
Ⅰ. 기능별 분류 = 45
Ⅱ. 민간과의 관계에서 본 분류 = 45
Ⅲ. 성질별 분류 = 46
제2절 규제행정 = 46
Ⅰ. 규제행정의 의의 = 46
Ⅱ. 규제행정의 조직구조 = 48
Ⅲ. 행정규제의 방법 = 48
제3절 급부행정 = 49
Ⅰ. 급부행정의 의의 = 49
Ⅱ. 급부행정의 종류 = 50
Ⅲ. 급부행정의 기본원리 = 50
Ⅳ. 급부행정의 일환으로서의 조장행정 = 52
제4절 민원행정 = 53
Ⅰ. 민원행정의 의의 = 53
Ⅱ. 민원행정의 유형 = 54
Ⅲ. 민원행정의 발전방안 = 55
제5절 정부중재와 행정지도 = 56
Ⅰ. 정부중재 = 56
Ⅱ. 행정지도 = 57
제4장 행정학의 발달
제1절 행정학의 이론적 특성 = 59
제2절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 60
Ⅰ. 행정학의 과학성과 기술성 = 60
Ⅱ. 행정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 63
Ⅲ. 행정학의 전문직업적 성격 = 63
Ⅳ. 행정학의 가치중립성 = 64
제3절 관방학과 슈타인의 행정학 = 65
Ⅰ. 관방학 = 65
Ⅱ. 슈타인의 행정학 = 66
제4절 미국행정학의 발달배경 = 66
Ⅰ. 사상적 배경 = 66
Ⅱ. 행정기능의 확대·강화 = 67
Ⅲ. 정부개혁운동과 과학적 관리론 = 67
제5절 미국행정학의 발달 = 68
Ⅰ. 행정학의 발단 = 69
Ⅱ. 행정학의 패러다임의 변화 = 70
제6절 비교행정론 = 81
Ⅰ. 비교행정의 의의와 발달배경 = 81
Ⅱ. 비교행정의 발달요인 = 82
Ⅲ. 비교행정의 접근방법 = 83
Ⅳ. 리그스의 일반체제모형 = 84
Ⅴ. 프리즘적 사회의 행정체제모형(sala model) = 87
Ⅵ. 리그스의 이론모형에 대한 평가 = 87
Ⅶ. 발전행정론과의 관계 = 88
제7절 발전행정론 = 88
Ⅰ. 발전행정의 의의 = 88
Ⅱ. 발전행정의 접근방법 = 89
Ⅲ. 기관형성(institution building) = 90
Ⅳ. 국가발전을 위한 행정체제의 비교 = 94
Ⅴ. 우리나라 발전행정의 향방 = 96
제8절 신행정론 = 98
Ⅰ. 신행정론의 의의 = 98
Ⅱ. 신행정론의 내용 = 98
Ⅲ. 조직구조의 재설계 = 100
Ⅳ. 신행정론의 문제점과 영향 = 101
제9절 신공공관리론 = 102
Ⅰ. 신공공관리론의 의의와 내용 = 102
Ⅱ. 신공공관리론의 평가 = 103
제10절 한국행정학 = 103
Ⅰ. 행정학의 도입과 성장 = 103
Ⅱ. 행정학의 토착화와 과제 = 104
제5장 행정학의 체계와 접근방법
제1절 행정학의 체계 = 105
Ⅰ. 행정학과 인접학문과의 관계 = 105
Ⅱ. 행정학의 성격규정과 지향점 = 106
Ⅲ. 행정학의 체계 = 107
제2절 행정학의 접근방법 = 109
Ⅰ. 제도적 접근방법 = 109
Ⅱ. 신제도론적 접근방법 = 110
Ⅲ. 역사적 접근방법 = 110
Ⅳ. 관리기능적 접근방법 = 111
Ⅴ. 행태론적 접근방법(behavioral approach) = 111
Ⅵ. 생태론적 접근방법(ecological approach) = 113
Ⅶ. 체제론적 접근방법(systems approach) = 115
Ⅷ. 현상학적 접근방법 = 119
Ⅸ. 인간주의적 접근방법 = 120
Ⅹ. 비판론적 접근방법 = 121
XI. 공공선택론(public choice theory)적 접근방법 = 123
제6장 현대사회와 행정수요의 관리
제1절 행정수요의 의의와 관리 = 127
Ⅰ. 행정수요의 의의 = 127
Ⅱ. 행정수요의 관리방안 = 128
제2절 행정수요측정과 사회지표 = 129
Ⅰ. 사회지표의 의의 = 129
Ⅱ. 사회지표의 요건 = 130
Ⅲ. 사회지표개발의 문제점과 방향 = 131
제3절 행정서비스의 민영화 = 132
Ⅰ. 민영화의 의의 = 132
Ⅱ. 민영화의 목적과 영향 = 134
Ⅲ. 민영화의 방법 = 135
제7장 행정이념
제1절 행정이념의 의의 = 137
제2절 행정이념의 내용 = 137
제3절 행정이념간의 우선순위 = 147
제8장 현대행정과 관료제
제1절 관료제의 의의 = 149
Ⅰ. 관료제의 개념 = 149
Ⅱ. 관료제의 구조·기능적 측면 = 150
Ⅲ. 관료제의 성립요건 = 151
제2절 이념형 관료제 = 152
Ⅰ. 베버(Weber)의 이념형 = 152
Ⅱ. 관료제의 특징 = 153
제3절 베버(Weber)이론의 수정 = 153
Ⅰ. 사회학자들에 의한 수정 = 153
Ⅱ. 발전론자들에 의한 수정(1960년 이후) = 155
제4절 관료제의 병리 = 156
Ⅰ. 관료제병리의 연구 = 156
Ⅱ. 관료제의 병리현상 = 157
제5절 관료제의 정치적 맥락 = 159
Ⅰ. 관료제의 정치적 성격 = 159
Ⅱ. 관료제와 민주주의의 관계 = 161
Ⅲ. 관료제의 민주주의에 대한 저해요인 = 161
Ⅳ. 관료제의 민주주의에 대한 공헌 = 163
Ⅴ. 한국관료제의 쇄신 = 164
제9장 행정문화
제1절 행정문화의 의의 = 166
제2절 행정문화의 내용 = 167
Ⅰ. 선진국(기독교 문명권)의 행정문화 = 167
Ⅱ. 우리나라의 행정문화 = 168
제3절 행정문화의 쇄신 = 170
Ⅰ. 쇄신의 필요성 = 170
Ⅱ. 행정문화의 쇄신전략 = 171
제2편 정책론
제1장 정책학의 의의
제1절 정책문제의 중요성과 특징 = 174
Ⅰ. 정책문제의 중요성 = 174
Ⅱ. 정책연구의 특징 = 175
제2절 정책학의 등장과 정책연구의 필요성 = 176
Ⅰ. 정책학의 등장 = 176
Ⅱ. 행정분야에서의 정책연구의 필요성 = 177
제2장 정책연구의 본질과 실제
제1절 정책의 의의와 특성 = 180
Ⅰ. 정책의 개념과 구성요소 = 180
Ⅱ. 정책집행활동과 입법형식 = 182
제2절 정책과정
Ⅰ. 앤더슨(Anderson)의 정책과정론 = 184
Ⅱ. 존스(Jones)와 다이(Dye)의 정책과정론 = 185
Ⅲ. 호그우드(Hogwood)와 피터스(Peters)의 정책과정론 = 186
Ⅳ. 정책과정의 종합 = 186
Ⅴ. 정책과정의 참여자 = 187
제3절 정책유형론 = 188
Ⅰ. 로위(Lowi)의 정책유형론 = 189
Ⅱ. 로위(Lowi)의 정책유형 = 190
제4절 정책순환과 행정활동 = 191
Ⅰ. 정책의 순환회로 = 191
Ⅱ. 정치체제의 구성 = 192
Ⅲ. 정책순환단계의 변화 = 193
Ⅳ. 정책과정의 분업관계 = 194
제5절 정책환경과 행정조직 = 194
Ⅰ. 정책과 정책환경 = 194
Ⅱ. 정책과 행정조직 = 198
제6절 정책결정과 형성과정에서의 행정관료의 역할 = 201
Ⅰ. 정책결정과정에서의 행정관료의 역할 = 201
Ⅱ. 정책형성과정에서의 행정관료의 역할 = 204
제3장 정책분석
제1절 정책분석과 정책연구 = 208
Ⅰ. 정책분석의 개념 = 208
Ⅱ. 정책산출분석(policy outcome analysis) = 208
Ⅲ. 점증주의와 다원적 상호조절이론 = 209
Ⅳ. 정책분석의 절차 = 211
Ⅴ. 정책분석의 한계 = 211
제2절 정책입안의 필요성 = 212
Ⅰ. 규범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 = 212
Ⅱ. 정책대안의 발의와 입안의 계기 = 212
Ⅲ. 정책입안비용과 정책전환비용 = 214
Ⅳ. 모방 = 215
Ⅴ. 연구개발 = 215
제3절 정책대안의 현실성 = 215
Ⅰ. 정치상의 실현가능성 = 216
Ⅱ. 행정자원의 조달가능성 = 216
Ⅲ. 업무상의 집행가능성 = 216
Ⅳ. 정책대안의 폐기처분 = 216
제4절 정책대안의 합리성 = 217
Ⅰ. 합리적 선택의 규범모형 = 217
Ⅱ. 효용최대화모형 = 217
Ⅲ. 린드블롬의 비판 = 218
Ⅳ. 사이먼의 만족모형(충족모형) = 218
Ⅴ. 에치오니의 혼합관조모형 = 219
제4장 정책의제설정
제1절 정책문제 = 220
제2절 정책의제 = 221
Ⅰ. 정책의제의 의의 = 221
Ⅱ. 정책의제의 유형 = 222
제3절 정책의제설정모형 = 224
Ⅰ. 외부주도모형(outside initiative model) = 225
Ⅱ. 동원모형(mobilization model) = 225
Ⅲ. 내부접근모형(inside access model) = 226
제4절 정책의제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26
제5절 정책의제설정자 = 227
Ⅰ. 정책환경으로서의 정책의제설정자 = 228
Ⅱ. 정책의 수용장치 = 229
제5장 정책결정
제1절 정책결정의 의의 = 231
Ⅰ. 정책결정의 개념 = 231
Ⅱ. 정책결정과 의사결정의 관계 = 231
제2절 정책결정자 = 232
Ⅰ. 공식적 정책결정자 = 232
Ⅱ. 비공식적 정책참여자 = 233
제3절 정책결정의 기준 = 234
Ⅰ. 가치 = 234
Ⅱ. 정당에의 충성심 = 235
Ⅲ. 지역구의 이익 = 235
Ⅳ. 여론 = 235
Ⅴ. 경청 = 235
Ⅵ. 결정규제 = 235
제4절 정책결정과정 = 236
Ⅰ. 문제의 인지 = 236
Ⅱ. 정보의 수집 및 분석 = 236
Ⅲ. 대안의 작성 및 평가 = 236
Ⅳ. 선택 = 237
제5절 정책결정모형 = 237
Ⅰ. 합리모형(rational model) = 237
Ⅱ. 만족모형(satisfying model) = 238
Ⅲ. 점증주의모형(incremental model) = 239
Ⅳ. 혼합관조모형(mixed-scanning model) = 241
Ⅴ. 최적모형(optimal model) = 241
Ⅵ. 쓰레기통모형(garbage can model) = 243
Ⅶ. 공공선택이론 = 247
제6장 정책집행
제1절 정책집행의 의의 = 248
Ⅰ. 정책집행의 개념 = 248
Ⅱ. 정책집행의 특징 = 248
제2절 정책집행자 = 249
Ⅰ. 행정기관 = 249
Ⅱ. 입법부 = 249
Ⅲ. 법원 = 249
Ⅳ. 압력단체와 지역사회조직 = 250
제3절 정책집행의 유형 = 250
Ⅰ. 고전적 기술자형(classical technocrats) = 250
Ⅱ. 지시적 위임형(instructed delegates) = 250
Ⅲ. 협상형(bargainers) = 251
Ⅳ. 재량적 실험형(discretionary experimenters) =251
Ⅴ. 관료적 기업가형(bureaucratic entrepreneurs) = 251
제4절 정책집행과 순응 = 251
Ⅰ. 의의 = 251
Ⅱ. 순응의 원인 = 252
Ⅲ. 불응의 원인 = 253
Ⅳ. 순응확보의 전략 = 254
제5절 성공적 정책집행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 = 255
Ⅰ. 정책집행체제 내부요인 = 255
Ⅱ. 정책집행체제 외부요인 = 256
제7장 정책평가
제1절 정책평가의 의의 = 257
Ⅰ. 정책평가의 개념과 목적 = 257
Ⅱ. 정책평가의 기준 = 258
제2절 정책평가의 과정 = 259
Ⅰ. 정책목표의 식별(goal identification) = 259
Ⅱ. 영향모형의 작성(construction of an impact model) = 260
Ⅲ. 평가연구설계의 개발(development of research design) = 260
Ⅳ. 측정과 표준화(measurement and standardization) = 260
Ⅴ. 자료수집 = 260
Ⅵ. 자료의 분석과 해석(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 260
제4절 정책평가의 기법 = 261
Ⅰ. 과정평가 = 261
Ⅱ. 영향평가 = 262
제8장 정책변동
제1절 정책변동의 내용과 유형 = 264
Ⅰ. 정책변동의 내용 = 264
Ⅱ. 정책변동의 의의 = 264
제2절 정책승계의 내용과 유형 = 266
Ⅰ. 정책승계의 내용 = 266
Ⅱ. 정책승계의 유형 = 267
Ⅲ. 점증모형과의 차이 = 268
제3절 정책종결의 내용과 유형 = 268
제4절 정책변동의 원인과 한계 = 269
Ⅰ. 정책변동의 원인 = 269
Ⅱ. 정책변동의 한계 = 271
제3편 행정조직론
제1장 조직이론의 발전
제1절 조직의 의의 = 274
Ⅰ. 조직의 중요성 = 274
Ⅱ. 조직의 개념 = 274
Ⅲ. 조직의 일반적 특징 = 276
제2절 현대조직의 특징 = 276
Ⅰ. 조직의 대규모화 = 276
Ⅱ. 조직의 복잡화 = 277
Ⅲ. 조직의 전문화 = 278
Ⅳ. 조직의 통합성과 계층성 = 278
Ⅴ. 조직의 민주화 = 279
제3절 조직의 유형 = 279
Ⅰ. 파슨스(Talcott Parsons)의 분류 = 279
Ⅱ. 블라우(P. M. Blau)와 스코트(W. R. Scott)의 분류 = 280
Ⅲ. 에치오니(Amitai Etzioni)의 분류 = 281
Ⅳ. 우드워드(Joan Woodward)의 분류 = 284
Ⅴ. 카츠(Daniel Katz)와 칸(R. L. Kahn)의 분류 = 284
제4절 조직이론의 계보 = 285
Ⅰ. 고전적 조직이론 = 286
Ⅱ. 신고전적 조직이론 = 292
Ⅲ. 현대적 조직이론 = 299
제2장 조직의 목표
제1절 조직목표의 의의 = 303
Ⅰ. 조직목표의 개념 = 303
Ⅱ. 조직목표의 기능 = 303
제2절 조직목표의 유형 = 304
Ⅰ. 공식적 목표와 실질적 목표 = 304
Ⅱ. 상위목표와 하위목표 = 305
Ⅲ. 무형목표와 유형목표 = 305
Ⅳ. 에치오니의 분류에 의한 유형 = 306
Ⅴ. 페로우의 분류에 의한 유형 = 307
제3절 목표와 조직평가기준 = 307
Ⅰ. 목표모형 = 308
Ⅱ. 체제모형 = 308
Ⅲ. 전략적 환경요소 모형 = 309
Ⅳ. 기능모형 = 309
제4절 목표의 수와 목표의 과다측정 = 310
Ⅰ. 목표의 수 = 310
Ⅱ. 목표의 과다측정 = 311
Ⅲ. 목표·수단관계의 합리화 = 311
제5절 조직목표의 변동 = 312
Ⅰ. 목표의 대치 = 312
Ⅱ. 목표의 승계 = 313
Ⅲ. 목표의 다원화 및 확대 = 313
제6절 목표에 의한 관리 = 314
Ⅰ. MBO의 의의 = 314
Ⅱ. MBO의 절차 = 314
Ⅲ. MBO의 장점과 문제점 = 315
Ⅳ. MBO와 PPBS = 316
Ⅴ. MBO의 성공적 운영조건과 적용상의 주의점 = 317
제3장 조직의 원리
제1절 계층제(hierarchy)의 원리 = 319
Ⅰ. 의의 = 319
Ⅱ. 기능 = 319
Ⅲ. 계층제의 방법 = 320
Ⅳ. 계층제에 대한 비판 = 321
제2절 통솔범위(span of control) 적정화의 원리 = 322
Ⅰ. 의의 = 322
Ⅱ. 통솔범위적정화의 방법 = 322
Ⅲ. 통솔범위적정화의 원래에 대한 비판 = 323
제3절 명령계통일원화(unity of command)의 원리 = 324
Ⅰ. 의의 = 324
Ⅱ. 효용성과 폐해 = 324
Ⅲ. 명령계통일원화의 원리의 문제점과 대책 = 325
제4절 분업·전문화(division of work specialization)의 원리 = 326
Ⅰ. 의의 = 326
Ⅱ. 가설 = 326
Ⅲ. 분업화·전문화의 방법 = 326
Ⅳ. 분업화·전문화원리의 문제점 = 327
제5절 조정(coordination)의 원리 = 327
Ⅰ. 의의 = 327
Ⅱ. 조정의 방법 = 328
제4장 부성조직편성의 원리
제1절 부성조직의 편성기준 = 330
Ⅰ. 목적·기능 = 330
Ⅱ. 과정 = 331
Ⅲ. 수익자·취급물 = 332
Ⅳ. 지역·장소 = 332
제2절 부성조직편성의 원리에 대한 비판 = 333
Ⅰ. 비판 = 333
Ⅱ. 부성조직편성상의 고려사항 = 334
제5장 행정조직의 구조와 형태
제1절 계선조직과 참모조직 = 335
Ⅰ. 계선조직의 의의 = 335
Ⅱ. 참모(막료)조직의 의의 = 336
Ⅲ. 참모의 유형 = 336
Ⅳ. 참모(막료)조직의 장단점 = 338
Ⅴ. 계선·참모(막료)기관간의 제문제 = 338
제2절 애드호크러시 = 340
Ⅰ. 애드호크러시의 의의 = 340
Ⅱ. 애드호크러시의 종류 = 341
제3절 프로젝트조직과 매트리스조직 = 342
Ⅰ. 프로젝트(project)조직 = 342
Ⅱ. 매트리스(matrix)조직 = 344
제4절 준정부조직과 책임운영기관 = 346
제5절 미래의 조직형태 = 347
제6절 행정위원회제 = 348
Ⅰ. 행정위원회의 의의 = 348
Ⅱ. 행정위원회제의 장단점 = 350
Ⅲ. 행정위원회의 유형 = 351
제7절 공기업 = 357
Ⅰ. 공기업의 개념 = 357
Ⅱ. 공기업의 발달요인 = 358
Ⅲ. 공기업의 유형 = 359
Ⅳ. 공기업의 조직 = 361
Ⅴ. 한국의 공기업조직 = 362
Ⅵ. 공기업에 대한 통제 = 363
제6장 집권과 분권
제1절 집권화와 분권화 = 366
Ⅰ. 집권화와 분권화의 개념 = 366
Ⅱ. 집권화와 분권화의 형태 = 366
Ⅲ. 집권화와 분권화의 촉진요인 = 367
제2절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 370
Ⅰ. 중앙집권과 지방분권의 의의 = 370
Ⅱ. 중앙집권과 지방분권의 내용 = 370
Ⅲ. 중앙집권과 지방분권의 장·단점 = 371
Ⅳ. 신중앙집권화와 중앙통제 = 372
제3절 지방자치 = 376
Ⅰ. 지방행정과 지방자치 = 376
Ⅱ. 지방행정의 존재형식 = 377
Ⅲ. 지방자치의 본질 = 378
Ⅳ. 지방자치의 현대적 경향 = 381
Ⅴ.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 382
Ⅵ.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 = 383
Ⅶ. 지방자치단체의 기관·사무 = 384
제4절 일선기관 = 386
Ⅰ. 일선기관 = 386
Ⅱ. 지방자치의 유형과 일선기관 = 387
Ⅲ. 일선기관의 유형과 구역 = 388
제5절 광역행정 = 390
Ⅰ. 광역행정의 의의 = 390
Ⅱ. 광역행정의 방식 = 392
제7장 조직과 환경
제1절 조직과 환경 = 394
Ⅰ. 조직환경의 의의와 유형 = 394
제2절 조직과 환경의 상호영향과 적응 = 396
제3절 조직환경이론의 전개 = 400
제8장 조직과 기술
제1절 기술의 개념 = 402
제2절 기술의 유형 = 402
Ⅰ. 장계적 기술(long-linked technology) = 403
Ⅱ. 중개기술(mediating technology) = 403
Ⅲ. 집약적 기술(intensive technology) = 403
제3절 기술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 = 404
Ⅰ. 조직구조에 미치는 영향 = 404
Ⅱ. 개인 및 조직행태에 미치는 영향 = 406
제9장 조직혁신
제1절 조직혁신의 의의 = 408
Ⅰ. 조직혁신의 개념과 특성 = 408
Ⅱ. 조직혁신의 접근방법 = 409
제2절 조직혁신의 단계와 담당자 = 410
제3절 조직혁신의 저항과 극복 = 414
제4절 변화(혁신)지향·대응조직으로서의 학습조직 = 415
Ⅰ. 학습조직의 개념과 특징 = 415
Ⅱ. 학습조직의 관련개념 = 416
Ⅲ. 학습조직의 구축방안 = 416
제4편 행정관리론
제1장 행정관리의 기초이론
제1절 행정관리의 체계 = 420
Ⅰ. 행정관리의 개념 = 420
Ⅱ. 행정과 관리의 관계 = 421
Ⅲ. 행정관리의 체계 = 422
제2절 행정관리의 인간화와 효율화 = 426
Ⅰ. 행정관리의 준거 - 인간성 존중 = 426
Ⅱ. 행정관리의 인간화·효율화 방안 = 426
제3절 조직의 관리계층과 역할 = 428
Ⅰ. 최고관리층(Top Management) = 428
Ⅱ. 중간관리층(middle management) = 428
Ⅲ. 하위관리층(lower management) = 428
제4절 행정관리의 신동향 = 429
Ⅰ. 총체적 품질관리(TQM) = 429
Ⅱ. 전략적 관리 = 431
Ⅲ. 지식관리 = 433
제2장 기획
제1절 기획의 본질 = 435
Ⅰ. 기획의 개념과 효용성 = 435
Ⅱ. 기획의 필요성 = 436
제2절 기획의 유형 = 436
제3절 기획과정과 효과적 기획의 원칙 = 438
Ⅰ. 효과적 기획의 원칙 = 441
제4절 기획의 제약 = 443
제5절 국가기획제도 = 445
Ⅰ. 자유와 기획의 양립 = 445
Ⅱ. 국가기획제도의 발달요인 = 445
Ⅲ. 기획기구 = 446
제3장 관리통제
제1절 관리통제의 의의 = 448
Ⅰ. 관리통제의 개념과 기준 = 448
Ⅱ. 진행과정상의 통제 = 449
제2절 관리통제의 원칙 = 450
Ⅰ. 목표와 성격의 관점에서의 통제원칙 = 450
Ⅱ. 구조적 관점에서의 통제원칙 = 451
Ⅲ. 절차적 관점의 통제원칙 = 452
제3절 관리통제의 절차 = 453
Ⅰ. 통제기준설정의 단계 = 453
Ⅱ. 현상파악의 단계 = 455
Ⅲ. 비교검토와 평가단계 = 456
Ⅳ. 시정조치의 단계 = 457
제4절 한국의 관리통제 = 459
제4장 의사결정
제1절 의사결정의 의의 = 461
제2절 의사결정의 유형과 기법 = 462
Ⅰ. 의사결정의 유형 = 462
Ⅱ. 집단의사결정의 기법 = 463
제3절 의사결정의 과정과 제약요인 = 465
Ⅰ. 의사결정의 과정 = 465
Ⅱ. 합리적 의사결정의 제약요인 = 466
제5장 의사소통
제1절 의사소통의 의의 = 468
Ⅰ. 의사소통의 개념(communication) = 468
Ⅱ. 의사소통의 기능 = 468
Ⅲ. 의사소통의 일반적 과정 = 469
제2절 의사소통의 유형과 방법 = 471
Ⅰ. 공식적 의사소통 = 471
Ⅱ. 비공식적(자생적) 의사소통 = 472
Ⅲ. 외적 의사소통 = 472
제3절 의사소통의 장애요인 = 473
Ⅰ. 장애요인 = 473
Ⅱ. 효율적 의사소통의 확립과 유지 = 474
제6장 조정
제1장 조정의 의의 = 476
Ⅰ. 조정의 의의와 기능 = 476
Ⅱ. 조정의 유형 = 477
Ⅲ. 조정의 저해요인 = 478
제2절 대내적 조정 : 조직의 내부적 요소의 조정 = 479
Ⅰ. 조정의 원칙 = 479
Ⅱ. 조정의 과정 = 480
제3절 조정의 방법 = 482
제5편 행정조직행태론
제1장 개인과 동기부여
제1절 개인행동의 이해 = 486
Ⅰ. 개인행동의 차원 = 486
Ⅱ. 인간관과 관리전략 = 488
제2절 동기부여의 이론과 실제 = 490
Ⅰ. 동기부여의 개념 = 490
Ⅱ. 동기부여의 내용이론 = 491
Ⅲ. 동기부여의 과정이론 = 494
Ⅳ. 동기부여의 실제 = 495
제2장 소집단과 집단역학
제1절 집단의 의의와 유형 = 499
Ⅰ. 집단의 의의 = 499
Ⅱ. 집단의 유형 = 499
제2절 집단역학 = 503
제3장 갈등관리
제1절 갈등의 의의 = 505
Ⅰ. 갈등의 개념과 특징 = 505
제2절 갈등관의 변천과 갈등의 기능 = 506
Ⅰ. 갈등관의 변천 = 506
Ⅱ. 갈등의 기능 : 순기능과 역기능 = 507
제3절 갈등의 유형 = 508
Ⅰ. 좌절갈등(frustration conflict) = 508
Ⅱ. 목표갈등(goal conflict) = 508
Ⅲ. 역할갈등(role conflict) = 508
Ⅳ. 대안선택의 곤란으로 인한 갈등 = 509
제4절 갈등상황 : 갈등야기의 조건 = 509
제5절 갈등의 관리방안 = 511
제4장 권위와 권력
제1절 권위의 의의 = 514
Ⅰ. 권위의 개념과 기능 = 514
Ⅱ. 권위의 유형 = 515
Ⅲ. 권위의 수용 = 516
제2절 권력의 의의와 유형 = 516
Ⅰ. 권력의 의의 = 516
Ⅱ. 권력의 유형 = 517
Ⅲ. 권력과 조직정치 = 518
제5장 리더십
제1절 리더십의 의의 = 520
Ⅰ. 리더십의 개념 = 520
Ⅱ. 리더십이론의 변천 = 521
제2절 리더십의 차원분류 = 522
Ⅰ. 리더십의 1차원 유형 = 522
Ⅱ. 리더십의 2차원 유형 = 523
제3절 리더십의 상황이론 = 525
Ⅰ. 피들러의 상황이론 = 525
Ⅱ. 경로-목표이론 = 527
Ⅲ. 리더십의 규범이론 = 528
Ⅳ. 허쉬와 블랜차드의 상황이론 = 528
제4절 리더십 이론의 새로운 경향 = 530
Ⅰ. 수직쌍연결이론 = 530
Ⅱ. 카리스마적 리더십이론 = 530
Ⅲ. 변환적 리더십이론 = 531
제6장 조직발전과 조직동태화
제1절 조직발전의 의의 = 532
제2절 조직발전의 과정 = 533
Ⅰ. 조직진단과정(organizational diagnosis) = 533
Ⅱ. 실행개입과정(action intervention) = 533
Ⅲ. 평가과정(Evaluation) = 534
제3절 조직발전의 기법과 적용 = 534
Ⅰ. 조직발전의 기법 = 534
Ⅱ. 조직발전의 적용 = 536
제4절 조직동태화 = 538
Ⅰ. 조직동태화의 의의 = 538
Ⅱ. 조직동태화의 방법 = 539
Ⅲ. 인간능력의 발전 = 540
Ⅳ. 한국 행정조직의 동태화 = 540
제7장 조직문화
제1절 조직문화의 의의 = 542
Ⅰ. 조직문화의 개념 = 542
Ⅱ. 조직문화의 기능 = 542
제2절 조직문화의 구성요소 = 543
제3절 조직문화의 개발 = 545
Ⅰ. 조직문화개발의 이유 = 545
Ⅱ. 조직문화개발의 주요과정 = 546
Ⅲ. 조직문화개발의 방법 = 546
Ⅳ. 조직문화의 정착과 유지 = 547
제6편 인사행정론
제1장 정부인사관리(인사행정)의 개념과 발달
제1절 정부인사관리(인사행정)의 의의 = 550
Ⅰ. 정부인사관리의 개념 = 550
Ⅱ. 정부인사관리의 특성 = 550
제2절 정부인사관리의 발달 = 551
Ⅰ. 정실주의와 엽관주의 = 551
Ⅱ. 실적주의 = 554
Ⅲ. 대표관료제 = 561
제2장 정부인사관리(인사행정)의 기초
제1절 인사관계법령 = 565
제2절 중앙인사기관 = 566
Ⅰ. 중앙인사기관의 설치이유(동기) = 566
Ⅱ. 중앙인사기관의 성격 = 566
Ⅲ. 중앙인사기관의 기능 = 567
Ⅳ. 외국의 중앙인사기관 = 569
Ⅴ. 한국의 중앙인사행정기관 = 571
제3절 공직분류와 공무원제도 = 572
Ⅰ. 분류의 의의 = 572
Ⅱ. 공직의 유형 = 573
Ⅲ.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 574
Ⅳ. 직위분류제의 기본용어와 수립절차 및 관리 = 579
Ⅴ. 직업공무원제 = 584
Ⅵ. 폐쇄적 공무원제와 개방적 공무원제 = 586
제3장 신규채용
제1절 모집 = 588
Ⅰ. 모집의 의의 = 588
Ⅱ. 적극적 모집의 조건 = 588
Ⅲ. 지원자격요건 = 589
제2절 시험 = 592
Ⅰ. 시험의 의의 = 592
Ⅱ. 시험의 종류 = 592
Ⅲ. 시험의 효용성 = 595
제3절 임명 = 596
Ⅰ. 임용후보자명부 = 596
Ⅱ. 추천 = 596
Ⅲ. 시보임용 = 597
제4장 능력개발과 경력관리
제1절 교육훈련 = 598
Ⅰ. 교육훈련의 의의 = 598
Ⅱ. 교육훈련의 목적과 효용 = 598
Ⅲ. 교육훈련의 종류 = 599
Ⅳ. 교육훈련방법 = 600
Ⅴ. 교육훈련의 평가 = 603
Ⅵ. 교육훈련에 대한 저항과 대책 = 604
제2절 공무원평정 = 605
Ⅰ. 근무성적평정 = 605
Ⅱ. 경력평정 = 611
Ⅲ. 교육훈련성적의 평정 = 613
Ⅳ. 가점평정 = 613
제3절 인사이동 = 614
Ⅰ. 상이한 계급 또는 직급간의 인사이동 - 승진과 강임 = 614
Ⅱ. 동일한 계급 또는 직급간의 인사이동·전직·전보 = 618
제5장 보수와 연금
제1절 보수 = 620
Ⅰ. 보수의 의의 = 620
Ⅱ. 보수체계 = 620
Ⅲ. 보수의 결정 = 623
Ⅳ. 승급 = 626
제2절 연금(퇴직연금) = 627
Ⅰ. 퇴직연금의 의의 = 627
Ⅱ. 퇴직연금제도의 효용성 = 628
Ⅲ. 퇴직연금기금의 조성 = 628
Ⅳ. 퇴직연금급여의 종류 = 629
제6장 보건, 안전 및 복리후생
제1절 보건 = 632
Ⅰ. 의의 = 632
Ⅱ. 직업병과 작업환경적 조건 = 633
제2절 안전 = 633
Ⅰ. 의의 = 633
Ⅱ. 안전관리 = 633
제3절 복리후생 = 634
Ⅰ. 의의 = 634
Ⅱ. 복리후생활동의 유형 = 634
제7장 사기와 인간관계관리
제1절 사기 = 635
Ⅰ. 사기의 의의 = 635
Ⅱ. 사기의 요인과 앙양방법 = 636
Ⅲ. 사기의 조사 = 636
제2절 인간관계관리 = 637
Ⅰ. 인사상담 = 637
Ⅱ. 고충처리 = 638
Ⅲ. 제안제도 = 639
제3절 공무원단체 = 641
Ⅰ. 의의 = 641
Ⅱ. 공무원단체의 활동 = 642
Ⅲ. 한국의 공무원단체 = 643
제8장 복무와 근무규율
제1절 공무원의 행동규범, 의무 및 충성 = 644
Ⅰ. 행동규범, 의무 = 644
Ⅱ. 공무원의 충성 = 644
제2절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 645
Ⅰ. 정치적 중립의 개념 = 645
Ⅱ. 필요성 = 645
Ⅲ. 정치적 중립의 문제점 = 646
제3절 공직자윤리 = 646
Ⅰ. 의의 = 646
Ⅱ. 공직자윤리법의 주요내용 = 646
Ⅲ. 공직자윤리법 운영상의 유의점 = 648
제4절 징계와 소청 = 648
Ⅰ. 신분보장 = 648
Ⅱ. 징계 = 650
Ⅲ. 소청 = 651
제7편 재무행정론
제1장 재무행정의 기초이론
제1절 재무행정의 개념 = 654
Ⅰ. 재무행정의 의의 = 654
Ⅱ. 재무행정의 연구대상 = 654
제2절 한국의 재무행정조직 = 655
Ⅰ. 기획예산처 = 655
Ⅱ. 재정경제부 = 656
Ⅲ. 감사원 = 657
Ⅳ. 조달청 = 657
제3절 재무행정의 법적 기초 = 657
Ⅰ. 예산회계법 = 657
Ⅱ. 기업예산회계법 = 658
Ⅲ. 정부투자기관관리기본법 = 658
제2장 예산의 일반이론
제1절 예산의 개념 = 660
Ⅰ. 예산의 의의 = 660
Ⅱ. 예산의 기능 = 661
Ⅲ. 예산의 종류 = 663
제2절 예산제도의 발달 = 665
Ⅰ. 통제지향적 예산제도(품목예산제도) = 665
Ⅱ. 관리지향적 예산제도(성과주의예산제도) = 665
Ⅲ. 계획지향적 예산제도(계획예산제도) = 665
Ⅳ. 우선순위지향적 예산제도(영기준예산제도) = 666
제3절 예산기관 = 666
Ⅰ. 중앙예산기관 = 666
Ⅱ. 부처예산기관 = 668
제4절 예산원칙 = 669
Ⅰ. 전통적 예산원칙 - 노이마르크(F. Neumark)의 원칙 = 669
Ⅱ. 현대적 예산원칙 - 스미스(H. Smith)의 원칙 = 670
제5절 예산분류 = 671
Ⅰ. 예산분류의 의의 = 671
Ⅱ. 예산분류의 필요조건(목적) = 671
Ⅲ. 예산분류의 유형 = 671
제3장 예산의 과정
제1절 예산편성 = 676
Ⅰ. 의의 = 676
Ⅱ. 예산편성의 과정 = 676
제2절 예산심의 = 678
Ⅰ. 의의 = 678
Ⅱ. 예산심의 절차 = 679
제3절 예산집행 = 680
Ⅰ. 의의 = 680
Ⅱ. 예산집행에 있어서의 재정통제 = 681
Ⅲ. 예산집행의 신축성 확보 = 682
제4절 회계검사 = 684
Ⅰ. 의의 = 684
Ⅱ. 회계검사기관 = 684
Ⅲ. 회계검사의 종류 = 686
제5절 결산 = 687
Ⅰ. 의의 = 687
Ⅱ. 결산의 기능과 효과 = 687
Ⅲ. 한국의 결산제도 = 688
제4장 예산제도개혁
제1절 성과주의예산제도 = 690
Ⅰ. 의의 = 690
Ⅱ. 성과주의예산제도의 발달 = 690
Ⅲ. 성과주의예산제도의 장·단점 = 691
Ⅳ. 성과주의예산제도 도입상의 문제점 = 692
제2절 계획예산제도(PPBS) = 692
Ⅰ. 의의 = 692
Ⅱ. PPBS의 기본원칙 = 693
Ⅲ. PPBS의 효용 = 694
Ⅳ. PPBS에 있어서의 사업구조(프로그램체계) = 695
Ⅴ. PPBS의 한계(문제점) = 695
제3절 영기준예산제도(ZBB) = 697
Ⅰ. 의의 = 697
Ⅱ. ZBB의 특징 = 697
Ⅲ. ZBB의 절차 = 698
Ⅳ. ZBB의 효용과 문제점 = 699
제4절 일몰예산과 감축관리 = 700
Ⅰ. 일몰예산 = 700
Ⅱ. 감축관리(cut-back management) = 701
제5절 자본예산제도 = 702
Ⅰ. 의의 = 702
Ⅱ. 자본예산의 장점 = 703
Ⅲ. 자본예산의 문제점 = 703
제5장 물품관리와 구매행정
제1절 물품관리 = 704
Ⅰ. 물품관리의 개념 = 704
Ⅱ. 물품관리의 내용 = 704
Ⅲ. 물품관리기관과 물품의 분류 = 705
Ⅳ. 물품의 표준화 = 706
제2절 구매행정 = 706
Ⅰ. 구매행정의 의의 = 706
Ⅱ. 집중구매제도 = 707
Ⅲ. 구매행정의 절차 = 708
제3절 저장관리와 분배관리 = 711
Ⅰ. 저장관리 = 711
Ⅱ. 분배관리 = 711
제4절 정비관리와 불용품처분 = 712
Ⅰ. 정비관리 = 712
Ⅱ. 불용품처분 = 712
제8편 정보사회와 행정
제1장 행정정보체제
제1절 정보화와 정보의 기능 = 714
Ⅰ. 정보화와 조직변화 = 714
Ⅱ. 정보의 기능 = 716
Ⅲ. 정보기술과 정보체계 = 719
제2절 행정정보체제의 의의와 특징 = 719
Ⅰ. 관리정보체제(MIS)의 의의 = 719
Ⅱ. 행정정보체제의 의의 = 720
Ⅲ. 행정정보체제의 특징 = 721
제3절 정보체제의 기본구조 = 722
Ⅰ. 협의적 정보체제의 구조 = 723
Ⅱ. 광의적 행정정보체제의 구조 = 725
제4절 정보체제와 행정조직의 변화 = 728
Ⅰ. 관리과정적 측면의 변화 = 728
Ⅱ. 인간관계적 측면의 변화 = 731
Ⅲ. 신체적 측면의 변화 = 733
Ⅳ. 정보화로 인한 문제점의 해결방안 = 734
제2장 정보자원관리
제1절 정보자원관리의 의의 = 736
Ⅰ. 정보자원관리의 개념과 목적 = 736
Ⅱ. 정보자원관리의 내용 = 738
Ⅲ. 정보담당관리자제도(CIO) = 739
제2절 정보자원관리의 과제 = 741
제9편 행정통제와 행정개혁
제1장 행정책임과 행정통제
제1절 행정책임에 관한 일반이론 = 744
Ⅰ. 프리드리히(C. J. Friedrich)의 이론 = 744
Ⅱ. 파이너(H. Finer)의 이론 = 745
Ⅲ. 양이론의 종합적 고찰 = 745
제2절 행정책임의 본질 = 746
Ⅰ. 봉사자로서의 책임 = 746
Ⅱ. 책임과 통제 = 747
제3절 행정책임의 확보방안 : 행정통제 = 747
Ⅰ. 행정통제의 의의 = 747
Ⅱ. 행정통제의 중요성 = 748
Ⅲ. 행정통제의 방법 = 749
Ⅳ. 행정통제기능의 한계 = 755
Ⅴ. 우리 나라의 효율적인 행정통제방향 = 756
제2장 시민의 행정참여
제1절 행정참여의 개념 = 757
Ⅰ. 행정참여의 의의 = 757
Ⅱ. 행정참여의 대두와 필요성 = 758
제2절 행정참여의 유형 = 759
Ⅰ. 제도화 정도에 따른 분류 = 759
Ⅱ. 행정과정에 따른 분류 = 760
Ⅲ. 주도권소재에 의한 분류 = 760
Ⅳ. 정치·행정과정의 구분에 따른 분류 = 761
제3절 행정참여의 한계 = 761
Ⅰ. 정책과정의 지연·복잡화 = 761
Ⅱ. 행정내부의 저항과 혼잡 및 대립 = 761
Ⅲ. 참여의 정도 및 능력의 격차 = 762
제4절 한국의 행정참여의 실태 = 762
Ⅰ. 행정참여의 실제적 수단 = 762
Ⅱ. 문제점 = 766
Ⅲ. 개선방향 = 767
제3장 민의수렴과 행정PR
제1절 행정PR의 본질과 등장요인 = 769
Ⅰ. 행정PR의 의의 = 769
Ⅱ. 행정PR의 등장요인과 필요성 = 769
제2절 행정PR의 과정과 원칙 = 771
Ⅰ. 행정PR의 과정 = 771
Ⅱ. 행정PR의 원칙과 한계 = 772
제3절 한국의 행정PR의 문제점 = 773
Ⅰ. 국가발전과 행정PR = 773
Ⅱ. 우리 나라 행정PR의 문제점과 방향 = 774
제4장 정보공개제도
제1절 정보공개와 국민의 알 권리 = 775
Ⅰ. 정보공개의 의의 = 775
Ⅱ. 국민의 알 권리 = 775
제2절 미국의 정보공개제도 = 776
Ⅰ. 정보공개법(Freedom of Information Act) = 776
Ⅱ. 공개회의법(Government in the Sunshine Act) = 776
제3절 한국의 정보공개 = 777
Ⅰ. 행정기관의 정보공개 = 777
Ⅱ. 정보공개제도의 발전방향 = 778
제5장 행정개혁
제1절 행정개혁의 의의 = 780
Ⅰ. 행정개혁의 개념 = 780
Ⅱ. 행정개혁의 기본요소 = 780
제2절 행정개혁의 필요성 = 781
제3절 행정개혁의 접근방법 = 782
Ⅰ. 구조적·기술적 접근방법 = 782
Ⅱ. 인간관계적 접근방법 = 783
Ⅲ. 종합적 접근방법 = 784
제4절 행정개혁의 과정 = 784
Ⅰ. 제1단계 : 개혁의 필요성 인식 = 784
Ⅱ. 제2단계 : 개혁안의 작성 및 결정 = 785
Ⅲ. 제3단계 : 개혁의 실행 = 785
Ⅳ. 제4단계 : 개혁의 평가 = 786
제5절 행정개혁과 저항 = 786
Ⅰ. 저항의 원인 = 786
Ⅱ. 저항에 대한 대책 = 787
제6절 각국의 행정 개혁 동향과 평가 = 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