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35n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01059113 | |
005 | 20141022130856 | |
007 | ta | |
008 | 010412s2000 ulk 000cp kor | |
020 | ▼a 8988686128 ▼g 04890 | |
040 | ▼a 244002 ▼c 244002 ▼d 244002 ▼d 211009 | |
049 | 0 | ▼l 151096921 ▼l 151096922 ▼l 192032067 |
082 | 0 4 | ▼a 895.92213 ▼2 22 |
085 | ▼a 898.92213 ▼2 DDCK | |
090 | ▼a 898.92213 ▼b 호지명 옥a | |
100 | 1 | ▼a 胡志明, ▼d 1890-1969 ▼0 AUTH(211009)45849 |
245 | 1 0 | ▼a 옥중에 자유인 머물다 / ▼d 호지명 지음 ; ▼e 김상일 옮김 |
246 | 1 9 | ▼a 獄中日記 |
260 | ▼a 서울 : ▼b 사람생각, ▼c 2000 | |
300 | ▼a 117 p. ; ▼c 21 cm | |
440 | 0 0 | ▼a 더불어 삶 ; ▼v 2 |
700 | 1 | ▼a 김상일, ▼e 역 ▼0 AUTH(211009)13475 |
900 | 1 0 | ▼a Ho, Chiminh,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898.9221 2000 | 등록번호 192032067 |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898.92213 호지명 옥a | 등록번호 1510969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898.9221 2000 | 등록번호 192032067 |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898.92213 호지명 옥a | 등록번호 1510969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호찌민(지은이)
베트남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로 1890년 5월 19일 응에안성(省) 남단현(縣) 낌리엔리(里) 샌 마을의 조그만 오두막집에서 3남 1녀 가운데 셋째로 태어났다. 넷째 동생은 태어나서 얼마 후 사망했다. 호찌민은 나이 열 살 때 어머니 호앙티로안을 잃었다. 부친 응우옌신삭은 관리였으나 프랑스 법을 어긴 동포를 관대히 처분했다는 이유로 파면당하고 가족을 떠나 유리표박 생활을 했다. 맏누이와 형도 프랑스에 대한 반감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독립운동을 돕다가 수차례 감옥 생활을 했다. 이러한 환경에서 성장한 호찌민은 1911년 10월 10일 중국에서 신해혁명(辛亥革命 : 중국 역사상 최초로 제정 왕조를 뒤엎고 공화 정치를 확립한 혁명)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는 21세의 나이로 자신의 민족주의적 야망을 후원해 줄 수 있는 후원자를 찾으려고 사이곤 항구에 정박 중이던 프랑스 상선 ‘아미랄 라투슈 트레빌(Amiral Latouche Treville)’호의 보조 요리사로 취직, 해외로 나가게 된다. 이때부터 30년간 해외에서 독립운동을 벌이게 된다. 1942년 귀국해서 국내에서 독립운동을 지휘하다가 중국 내 베트남 교포와 연합하기 위해 중국 광시성에 갔다가 첩자로 몰려 8월 29일부터 380일 동안 중국 광시성 18개 감옥을 전전하며 감옥살이를 했다. 호찌민은 애국, 애족, 애민의 화신으로 프랑스 식민 지배로부터의 독립과 조국의 완전한 통일을 꿈꾸고 이를 위해 평생을 바쳤다. 베트남 공산당, 베트남 통일민족전선, 베트남 인민군을 창설했고, 베트남민주공화국을 건국했다. 사상가인 동시에 베트남의 대문호이자 세계적으로 유명한 문화인이다. 1945년 9월 2일 베트남의 독립 선언을 하고 베트남민주공화국을 건국한 그는 공교롭게도 자신이 독립을 선언하고 나라를 세운 기념일인 1969년 9월 2일 서거했다. 그는 24년간 베트남을 통치했다.
김상일(옮긴이)
<옥중에 자유인 머물다>

목차
목차 책머리에 = 9 책을 펴며 = 10 정서현의 감옥에 들어가며 = 11 세상 길 어려워라 = 12 아침 = 14 한낮 = 15 오후 = 16 저녁 = 17 수인의 양식 = 18 감방 동료가 피리를 불다 = 19 족쇄 = 20 장기를 배우며 = 21 보름달 = 23 물을 나누어 받다 = 24 한가위에 = 25 도박 = 26 도박범 = 27 길을 가며 = 28 해질녘 = 29 밤에 용천에서 묵다 = 30 전동 = 31 천보의 감옥에 처음 이르러 = 32 감방 동료의 처가 감옥을 찾아오다 = 33 근면에 힘쓰다 = 34 들 경치 = 35 죽 파는 집 = 36 과덕의 감옥 = 37 아침이 밝아 = 38 융안에서 동정 간 = 39 길에서 = 40 징집된 병사의 아내 = 41 동정에서 = 42 감방 동료의 종이 이불 = 43 싸늘한 밤 = 44 오랏줄 = 45 어금니 하나 떨구고 = 46 자조하여 = 47 남녕에 가다 = 48 경비병이 돼지를 메고 동행하다 = 49 발을 헛디뎌 = 50 중도에서 배를 타고 옹녕에 이르다 = 51 남녕의 감옥 = 52 고민 = 53 닭 우는 소리를 듣고 = 54 한 도박범이 죽다 = 55 또 하나 = 56 금연(종이담배) = 57 황혼 = 58 밥하는 데 드는 비용 = 59 잠들지 못해 = 60 벗을 생각하며 = 61 동료들을 대신해 보고서를 써 주다 = 62 나병 = 63 쌀 찧는 소리를 들으며 = 64 10월 10일 = 65 공습경보 = 67 문자 놀음 = 68 여관 = 69 아침에 비가 개다 = 70 월남에 소동이 일다 = 71 무명에 압송되다 = 72 포향의 개고기 = 73 길을 쌓는 인부 = 74 간수가 내 지팡이를 훔치다 = 75 이정표 = 76 등을 겨는 비용 = 77 옥중 생활 = 78 곽 선생 = 79 막 반장 = 80 기차를 타고 내빈으로 가다 = 81 그가 도망하려고 하다 = 82 내빈현 = 83 한밤중 = 84 유주에 이르러 = 85 오래도록 압송되지 않아 = 86 사령부에 도착하다 = 87 넉 달이 지나다 = 88 병이 깊어지다 = 90 계림에 도착하여 = 91 감옥에 내는 돈 = 92 무제 = 93 제4전구 정치부에 도착하다 = 94 아침 경치 = 95 청명 = 96 저녁 경치 = 97 제한 = 99 잠 못 드는 밤 = 99 오랜 비 = 100 촌음을 아끼다 = 101 가을에 느낌이 있어 = 102 상부의 명령으로 감옥외 활동을 허락 받다 = 103 가을 밤 = 104 날이 개다 = 105 천가시를 보고 느낌이 있어 = 106 경치 = 107 출옥하고 나서 산에 오르는 것을 배우다 = 108 옮긴이의 말 = 109